초록

첨단과학기술이 지향하는 강화(enhancement)가 인간의 도덕성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주장에서 가장 쟁점이 되는 부분은 도덕적 행위주체(moral agent)의 자율성과 그 주체가 펼쳐낼 수 있는 능력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이다. 신경기술을 통한 도덕성 강화가 인간의 도덕적 행위능력에 대한 심각한 도전이라고 한다면, 이러한 도전에 대한 확실한 비판은 어떤 이론적 틀거리와 내용을 기반으로 해야 하는가?이 글은 그 비판의 출처로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과 매킨타이어의 덕윤리를 선택할 것이다. 우선 아리스토텔레스가 『니코마코스 윤리학』 6권에서 밝힌 ‘사유적 욕구’ 혹은 ‘욕구적 지성’이라는 핵심 개념에 주목하여, 도덕판단에서 감정의 중요성과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신경과학 연구의 동향이 일면적 주장임을 논증할 것이다. 나아가 정서주의에 대한 매킨타이어의 핵심 비판을 적용하여 신경기술을 통한 도덕성 강화의 핵심전제, 이른바 인간의 감정에 대한 완벽한 조작가능성의 한계가 무엇인지 찾아볼 것이다. 첨단 과학기술은 인간의 도덕성보다 더 큰 진전을 이루고 있다. 치료와 강화의 경계선이 불분명한 상황에서 특히 신경과학기술의 활용과 관련하여 윤리적 한계 설정은 그만큼 중요해지고 있다. 인간의 도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정한 방식이 무엇인가에 대해 정교한 접근이 필요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이 글은 포스트휴머니즘의 도덕성 강화 기획이 진정한 의미에서 인간의 도덕적 행위능력을 고양시키지 못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결국 포스트휴머니즘이 설정하는 인간, 사회 변화에 대한 보다 정교한 철학적 성찰의 필요성을 제기할 것이다.

키워드

강화의 윤리학, 도덕적 인격의 육성, 덕윤리, 도덕적 탁월성, 도덕성 강화, 도덕적 정당화, 실천윤리, 전통, 트랜스휴머니즘, 프로네시스, 포스트휴머니즘, 합리성

참고문헌(24)open

  1. [단행본] 황경식 / 2012 / 덕윤리의 현대적 의의: 의무윤리와 결과윤리가 상보하는 제3윤리의 모색 / 아카넷

  2. [단행본] Beauchamp Tom L. / 1994 /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Fourth Edition / Oxford University Press

  3. [단행본] MacIntyre, Alasdair / 1998 / Whose justice? whose rationality? / Univ. of Notre Dame Press

  4. [단행본] Allan, D. J. / 1970 /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이해 / 고려원

  5. [단행본] 김재홍 / 2006 / 니코마코스 윤리학 / 이제이북스

  6. [단행본] Aristoteles / 2007 / 수사학 2권 / 리젬

  7. [단행본] MacIntyre, Alasdair / 1997 / 덕의 상실 / 문예출판사

  8. [학술지] 김정현 / 2008 / 매킨타이어의 전통 개념 연구 / 해석학연구 (22) : 335 ~ 373

  9. [학술지] 김효은 / 2009 / 도덕적 판단의 본성: 신경윤리학적 접근 / 과학철학 12 (2) : 63 ~ 85

  10. [학술지] 박재주 / 2000 /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에 있어서의 덕의 감정적 구조 / 동서철학연구 20 (1)

  11. [학술지] 이상헌 / 2009 / 신경윤리학의 등장과 쟁점들 / 철학논집 19 : 99 ~ 128

  12. [학술지] 이상헌 / 2009 / 인간 뇌의 신경과학적 향상은 윤리적으로 잘못인가? / 철학논집 18 : 223 ~ 245

  13. [학술지] Gadiner, P. / 2003 / A virtue ethics approach to moral dilemmas in medicine / J . Med. Ethics 29

  14. [학술지] Gross, D. / 2009 / Blessing or curse? Neurocognitive enhancement by 'brain engineering' / Medicine Studies 1

  15. [학술지] Haidt, J. / 2001 / The emotional dog and its rational tail: A social intuitionist approach to moral judgment / Psychological Review 108 (4)

  16. [기타] Hughes, J. / Becoming a better person / Lecture at TransVision 06

  17. [학술지] Jotterrand, F. / 2011 / 'Virtue Engineering' and Moral Agency; Will Post-Humans still need the Virtues?," / AJOB Neuroscience 2 (4)

  18. [학술지] MacIntyre, Alasdair / 1984 / Does applied ethics rest on a mistake? / Monist 67

  19. [학술지] Persson․ Savulescu / 2010 / Moral Transhumanism / Journal of Medicine and Philosophy

  20. [학술지] Schaefer, G. Owen. / 2011 / What is the Goal of Moral Engineering? / AJOB Neuroscience 2 (4)

  21. [단행본] 홍성욱 / 2012 / 뇌과학 경계를 넘다: 신경윤리와 신경인문학의 새지평 / 바다출판사

  22. [단행본] MacIntyre, Alasdair / 1998 / The MacIntyre reader / Polity Press

  23. [단행본] Maclntyre, Alasdair / 1998 / The MacIntyre Reader / Polity Press

  24. [인터넷자료] / http://www.transhumanism.org/resources/faq.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