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논문은 이제까지의 조선 시대 가족에 관한 연구가 조선사회에 유학 이념이 전파되는 과정과 가족제도를 연관 짓는 방식에만 급급함으로써, 조선 전기 유학의 특징이 무엇이었고 또한 그것이 조선 전기 가족과 여성정체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충실히 다루지 못하였음을 비판적으로 인식한다. 본 논문은 조선 전기 유학을 중기 이후의 유학의 특징에 기준하여 논의하는 것이 조선 전기 유학의 독자성과 특징을 온전히 드러낼 수 없음을 인식한다. 따라서 조선 전기 유학이 주자학에 동일화되는 측면 보다는 본격적인 주자학 논의와 조선 전기 유학이 구분되는 측면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조선 전기 유학의 특징을 유불공존의 측면으로 상정하며, 조선 전기 유학의 특징이 조선 전기 가족의 문제에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논의한다. 본 논문에서 이러한 문제는 특히 소혜왕후의 유교와 불교에 대한 이중적 의식을 통하여 논의된다.

키워드

가족, 조선 유학, 불교, 소혜왕후, 여성

참고문헌(27)open

  1. [기타] / 경국대전

  2. [기타] / 내훈

  3. [기타] / 삼강행실도

  4. [기타] / 소학

  5. [기타] / 조선왕조실록

  6. [기타] / 양촌집(陽村集)

  7. [기타] / 속동문선(續東文選)

  8. [기타] / 삼봉집(三峯集)

  9. [단행본] 권명아 / 2000 / 가족이야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책세상

  10. [단행본] 김미영 / 2004 / 유교 문화와 여성 / 살림

  11. [단행본] 김두헌 / 1968 / 한국가족제도사연구 / 서울대학교출판부

  12. [단행본] 김홍경 / 1996 / 조선 초기 관학파의 유학 / 한길사

  13. [기타] 문숙자 / 2004 / 조선 시대 재산상속과 가족

  14. [단행본] 이이효재 / 2003 / 조선조 사회와 가족 / 한울아카데미

  15. [단행본] 정진석 / 1988 / 조선철학사(상) / 이성과 현실사

  16. [단행본] 최재석 / 1996 / 한국가족제도사연구 / 일지사

  17. [기타] 한영우 / 1983 / 鄭道傳思想의 硏究

  18. [학위논문] 김언순 / 2005 / 조선 시대 여훈서에 나타난 여성의 정체성 연구

  19. [단행본] 신수진 / 1998 / 한국의 가족주의 전통과 그 변화 /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20. [학위논문] 이순구 / 1994 / 조선 초기 종법의 수용과 여성지위의 변화

  21. [단행본] 강진옥 / 2007 / 고전 서사 문학에 나타난 가족과 여성의 존재양상 in: 한국고전문학 속의 가족과 여성 / 월인

  22. [학술지] 김혜련 / 2007 / 서사담론으로서의 가족애 / 한국여성철학 (7) : 59 ~ 86

  23. [학술지] 문철영 / 조선 초기의 신유학 수용과 그 성격 / 한국학보 36

  24. [학술지] 이경아 / 2004 / 소혜왕후의 불교옹호발언과 젠더권력관계 / 한국여성학 20 (1)

  25. [단행본] 이수건 / 1992 / 조선전기의 사회변동과 상속제도 in: 한국친족제도 연구 / 일조각

  26. [학술지] 이순구 / 1996 / 조선 초기 여성의 신앙생활 / 역사학보 150

  27. [학술지] 한우근 / 1976 / 조선왕조초기에 있어서의 유교이념의 실천과 신앙·종교 / 한국사론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