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는 유식문헌에서 설하는 법무아설의 의미가 무엇이며, 그것이 어떤 맥락에서 등장했으며, 이를 성취하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다루었다. 법무아설이란 개아뿐 아니라 모든 구성요소의 비존재를 주장하는 것인데, 초기 유식문헌인 「보살지」에서 법무아는 소지장의 제거를 위한 것으로서 간주되고 있다. 여기서 일체법의 불가언설이라는 전제 하에서 법무아의 증득은 법을 유-무로 파악하는 것을 떠난 것이다. 여기서 유-무로서의 파악이란 이전 시기의 실재 이해를 표현한 것이다. 보통 유식문헌에서 일반적으로 법무아를 증득하는 방법은 삼성설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지만, 본고에서는 삼성설이 도입되기 이전의 유식학의 사유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진실의품>에서 논해진 8종 분별과 세 가지 사태의 분류의 의미를 다루었다. 여기서 相(nimitta)과 명칭(nāman), 분별(vikalpa)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사실상 三性 중에서 변계소집성과 의타기성에 대한 논의일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법무아를 증득하는 구체적인 관법으로서 <진실의품>에서 설명된 4심사와 4여실변지의 의미를 다루었다. 거기서의 자성과 차별이란 주제는 바로 『해심밀경』에서 변계소집상을 정의할 때 나오는 단어로서, 이들 4종 심사와 이에 대한 여실한 관찰로서의 4종 여실변지를 통해 어떻게 사유 속에서 명칭을 통해 대상의 존재성이 정립되는지, 그리고 그 정립된 실체화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키워드

법무아, 소지장, 삼성설, 보살지, 자성과 차별, 4종 심사, 4종 여실변지

참고문헌(52)open

  1. [단행본] P. L. Vaidya / 1960 / Aṣṭasāhasrikā prajñāpāramitā with Haribhadra's commemtary called Aloka / The Mithilal Institute

  2. [기타] Nalinaksha Dutt / 1978 / Bodhisattvabhūmi

  3. [기타] / rNal ’byor spyod pa’i sa las byang chub sems dpa’i sa’i rnam par bshad pa . D 4047, P 5548

  4. [기타] G. Nagao / 1964 / Madhyānta-vibhāga-Bhāṣya

  5. [기타] S. Yamaguchi / 1934 / Madhyāntavibhāga-Ṭīkā

  6. [기타] S. Lévi / 1983 / Mahāyāna-sūtrālaṃkāra

  7. [단행본] 長尾雅人 / 1982 / 攝大乘論 上

  8. [기타] / Theg pa chen po bsdus pa'i 'grel pa (Mahāyāna-Saṃgraha-Bhāṣya) . sDe dge Tibetan Tripitaka, 東北目錄 No. 4050

  9. [기타] E. H. Johnston / 1950 / Ratnagotravibhāga

  10. [학술지] E. Lamotte / Saṃdhinirmocana-sūtra

  11. [기타] / 大正新修大藏經

  12. [기타] / see TrBh

  13. [기타] Hartmut Buescher / 2007 / Triṃśikā-bhāșya

  14. [기타] S. Levi / 1925 / Viṃśatikā Vijñaptimatratāsiddhi =Viṃśikāvṛtti (Vasubandhu)

  15. [기타] Jongcheol Lee / 2001 / The Tibetan Text of the Vyākhyāyukti of Vasubandhu

  16. [기타] Bhattacharya / 1957 / Yogācārabhūmi of Ācārya Asaṅga

  17. [기타] / Yum gsum Sher phyin ’bum pa dang nyi khri lnga stong pa dang khri brgyad stong pa’i rgya cher ’grel pa (=Yum gsum gnod ’jom ) D3808; P5206

  18. [기타] 眞諦 / 決定藏論T30, No.1584

  19. [기타] 眞諦 / 三無性論T31, No.1617

  20. [기타] 眞諦 / 攝大乘論T31, No.1593

  21. [기타] 玄奘 / 攝大乘論T31, No.1594

  22. [기타] 世親 / 攝大乘論釋T31, No.1595

  23. [기타] 世親 / 攝大乘論釋T31, No.1597

  24. [기타] 護法 / 成唯識論T31, No.1585

  25. [기타] 龍樹 / 十八空論T31, No.1616

  26. [기타] 天親 / 中邊分別論T31, No.1599

  27. [기타] 世親 / 辯中邊論T31, No.1600

  28. [기타] 世親 / 轉識論T31, No.1587

  29. [기타] 眞諦 / 顯識論T31, No.1618

  30. [기타] / 解深密經T15, No.676

  31. [단행본] 김성철 / 2008 / 섭대승론 : 증상혜학분 연구 / 씨아이알

  32. [학술지] 김재권 / 2008 / 『중변분별론』에 있어서 삼성설의 구조적 특징 / 인도철학 (25) : 101 ~ 119

  33. [학위논문] 김태우 / 2016 / 菩薩地 「眞實義品」에 등장하는 네 가지 심사와 네 가지 여실변지의 사상적 연원과 발전 양상

  34. [단행본] 시모다 마사히로 / 2015 / 여래장과 불성 / 씨아이알

  35. [학술지] 이평래 / 2004 / 人·法, 二無我의 성립에 관한 연구 / 한국불교학 (38) : 1 ~ 26

  36. [학술지] 안성두 / 2005 / 티베트 불교에서의 여래장 해석__ 自空說과 他空說의 차이를 중심으로 / 인도철학 (18) : 103 ~ 129

  37. [학술지] 안성두 / 2005 / 유식문헌에서의 三性說의 유형과 그 해석 / 인도철학 (19) : 61 ~ 90

  38. [학술지] 안성두 / 2014 / 眞諦의『三無性論』에 나타난 삼성설 해석의 특색 _인도유식문헌과 관련하여 (I)_ / 인도철학 (41) : 327 ~ 364

  39. [학술지] 안성두 / 2014 / <삼무성론>에 나타난 진제의 삼성설 해석의 특징 (II) _유식문헌의 인용과 그 해석상의 차이를 중심으로_ / 인도철학 (42) : 261 ~ 299

  40. [학술지] 안성두 / 2015 / 眞諦의 삼성설 해석과 阿摩羅識 / 불교연구 (42) : 101 ~ 150

  41. [학술지] 안성두 / 2015 / 『해심밀경』에 나타난 3성설의 해석과 후대 인도-티벳 전통에 끼친 영향 / 인도철학 (44) : 75 ~ 126

  42. [학술지] 안성두 / 2016 / 보성론 I.154-155의 공성 해석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들 / 인도철학 (46) : 127 ~ 159

  43. [학술지] 안성두 / 2016 / 유식(vijñaptimātra)에 대한 관념론적 해석 비판 – 분별과 진여 개념을 중심으로 / 철학사상 (61) : 3 ~ 40

  44. [단행본] 안성두 / 2017 / 불성·여래장사상의 형성 수용과 변용 / 씨아이알

  45. [학술지] 안성두 / 2018 / 식의 자기인식(Self-awareness)과 삼성설 / 인도철학 (52) : 5 ~ 47

  46. [단행본] 안성두 / 2015 / 보살지 / 세창출판사

  47. [학술지] 장규언 / 2010 / 眞諦의 三性ㆍ三無性論에 대한 圓測의 이해와 비판 - 淸辨과 護法의 대비 속에서 眞諦 읽기 - / 불교학보 (55) : 181 ~ 217

  48. [학술지] 정호영 / 2011 / 초기유식 삼성설의 두 형태와 불가분리성 / 불교연구 (34) : 9 ~ 49

  49. [단행본] Aramaki, Noritoshi[荒牧典俊] / 2000 / Wisdom, Compassion, and the Search for Understanding: the Buddhist studies legacy of Gadjin M. Nagao

  50. [단행본] Conze, Edward / 1968 / Melanges d’Indienisme a la memoire de Louis Renou / Publications de ’Institut de Civilisation Indienne : 28

  51. [단행본] Franco, Eli / 1997 / Dharmakīrti on Compassion and Rebirth. Wiener Studien zur Tibetologie und Buddhismuskunde Heft 38 / Universität Wien

  52. [단행본] Frauwallner, Erich / 1982 / Beiträge zur indischen Philologie und Altertumskunde : 637 ~ 6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