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의 목적은 혜강 최한기의 인식론를 천주교 토미즘에 근거한 선교사들의 인식론과 비교해 어떤 부분이 수용되고 어떤 부분이 비판되었는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최한기 인식론의 특징이 무엇인가를 밝히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논자는 첫째, 종교적 관점에서 소개된 영혼과 의학적 관점에서 소개된 프뉴마를 분석하고, 그것을 다시 최한기의 신기와 비교하여 인식의 주체 문제를 살펴보았다. 둘째, 이러한 인식의 주체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인식이 출발하게 되는가를 살펴보았다. 선교사들은 인식이 눈, 귀, 코, 입, 몸이라는 신체기관을 통하여 감각함으로 시작된다고 하면서, 감각 이전의 상태를 백지상태에 비유하였다. 최한기 역시 제규(諸窺)라는 감각 기관이 외부 사물과 접촉함으로써(諸觸) 인식이 출발한다고 보았고, 인식 이전을 백지 상태처럼 묘사하였다. 즉 최한기와 선교사들 모두 인식 대상이 외부에 객관적으로 존재하고 경험을 통하여 인식된다는 실재론적 경험론을 주장하였다는 데서 그 유사성을 찾아볼 수 있다. 셋째, 인식 주체에 수용된 감각이 어떤 방식으로 개념화되는가? 라는 문제를 살펴보았다. 토미즘에서는 이 개념화가 비물질적인 영혼의 지성 부분에서 성립한다고 보았고, 최한기는 신기의 용(用)인 추측에서 성립한다고 보았다. 그런데 선교사들은 지성이 비물질적이기 때문에 추론에 의하여 신의 존재를 알 수 있고, 또 신의 심판이 대상이 되는 영혼이 불멸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최한기는 인식 주체를 신기로 봄으로 그들을 비판하게 된다. 논자는 이러한 세 가지 측면에서 최한기의 인식론을 토미즘과 비교하면서 최한기 인식론을 특징을 밝혀 보았다.

키워드

Choi Han-Gi, Thomism, soul, pneuma, shinki(神氣)

참고문헌(15)open

  1. [단행본] 崔漢綺 / 2002 / 增補明南樓叢書(神氣通, 推測錄, 人政, 氣學, 身機踐驗) / 대동문화연구원

  2. [단행본] 利瑪竇 / 1965 / 天主實義(天學初函) / 學生書局

  3. [단행본] 畢方濟 / 1965 / 靈言蠡勺(天學初函) / 學生書局

  4. [단행본] 湯若望 / 1965 / 主制群徵(天學初函) / 學生書局

  5. [단행본] 토마스아퀴나스 / 2003 / 신학대전 10권 / 바오로딸

  6. [단행본] 꼬지, G. 달사쏘-R / 1993 /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 요약 / 카톨릭대학교 출판부

  7. [단행본] 케니, 앤소니 / 1999 / 아퀴나스의 심리철학 / 카톨릭대학출판부

  8. [단행본] Gilson, Etienne / 1994 / The Christian Philosophy of ST Thomas Aquinas / Random House

  9. [단행본] Pasnau, Robert / 2002 / The Thomas Aquinas on Human Natur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단행본] Osler, Margaret J / 1991 / Atoms, Pneuma, and Tranquillity: Epicurean and Stoic Themes in European Thought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학위논문] 김성준 / 1999 / 18 19세기 조선에 전해진 서구 뇌주설과 혜강 최한기의 대응

  12. [학술지] 안영상 / 2004 / 동서 문화의 융합 충돌과정에 나타난 성호학파의 철학적 특징의 일단면-인체관에 나타난 pneuma와 心氣론을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 (41)

  13. [학술지] 안영상 / 2005 / 토미즘과 비교를 통해서 본 정약용의 인심도심론 / 한국실학연구 (9) : 219 ~ 260

  14. [학술지] Hill, Boyd H / 1965 / Jr, The Grain and the Spirit in Mediaeval Anatomy / Speculum 40 (1)

  15. [학술지] Quin, C. E / 1994 / The soul and pneuma in the function of the nervous system after Gallen / Journal of Royal Society of Medicine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