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명대 유학은 대체적으로 理學에서 心學으로 변화하였지만, 조선 유학은 초기부터 말기까지 程朱理學이 지배적이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이로 인하여 조선 성리학의 학문으로 폐쇄성과 편협성이 자주 거론된다. 그런데 이 글에서는 조선 중기 성리학에서 명대 심학자들이 가졌던 문제의식이나 방법이 결여된 것이 아니라 자생적으로 그러한 문제제기를 이미 하고 있었고 또 이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있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주학-백사학-양명학-화담학-퇴계학이 어떤 측면에서 서로 맞물려 있고, 또 어떤 측면에서 대립되고 있는가를 밝히려고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조선 중기 성리학 특징의 일단면을 살펴보았다.

키워드

Cheng Xhu study(程朱學), Baisha study(白沙學), Yangming study (陽明學), Hwadam study(花潭學) and Toigye study(退溪學).

참고문헌(21)open

  1. [단행본] 罗钦顺 / 1990 / 困知记 / 中华书局

  2. [단행본] 湛若水 / 1980 / 甘泉文集(同治丙寅葺刻本) / 風間書房

  3. [단행본] 徐敬德 / 1990 / 花潭集 / 韓國文集叢刊

  4. [단행본] 王畿 / 1978 / 龍溪王先生全集 / 汲古書院

  5. [단행본] 王守仁 / 1995 / 王陽明全集 / 上海古籍出版社

  6. [단행본] 柳世鳴 / 1998 / 寓軒先生文集 / 景仁文化社

  7. [기타] 陸徿其 / 松陽講義

  8. [단행본] 李侗 / 1972 / 延平問答 / 中文出版社

  9. [단행본] 李 滉 / 1980 / 退溪全書(言行錄)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0. [단행본] 李滉 / 1990 / 退溪集 / 韓國文集叢刊

  11. [단행본] 張維 / 1991 / 谿谷集 / 韓國文集叢刊

  12. [단행본] 鄭齊斗 / 霞谷集 / 韓國文集叢刊

  13. [단행본] 朱熹 / 1997 / 朱熹集 / 四川敎育出版社

  14. [단행본] 陣獻章 / 1987 / 陳獻章集 / 中和書局

  15. [기타] 賀欽 / 醫閭集

  16. [단행본] 洪仁祐 / 1990 / 恥齋遺稿 / 韓國文集叢刊

  17. [단행본] 黃宗羲 / 1975 / 宋元學案 / 河洛圖書出版社

  18. [단행본] 黃宗羲 / 1983 / 明儒學案 / 華世出版社

  19. [단행본] 簡又文 / 1970 / 白沙子硏究 / 集性圖書公司

  20. [학술지] 안영상 / 2006 / 大山學派의 中和 논쟁과 그 의미 / 동양철학 23

  21. [학술지] 佐藤仁 / 1990 / 이퇴계와 이연평에 관하여 / 퇴계학보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