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논문은 한주(이진상, 1818~1886)과 만구(이종기, 1837~1902)의 서신내용을 중심으로 19세기 심설논쟁의 발단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본문에서는 정재(유치명)의 학문을 계승한 만구와 한주의 이론적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심설논쟁의 발단을 제공한 한주와 정재의 논변에서 한주와 만구로 그 범위를 확장시켜 전개하고자 한다. 한주와 만구의 이론적 차이를 밝힘으로써 역으로 한주와 정재가 전개한 심설논쟁의 내용들이 좀 더 분명해질 수 있을 것이다. 『한주집』에는 만구에게 보낸 9통의 서신이 실려 있으며, 『만구집』에도 한주에게 보낸 3통의 서신이 실려 있다. 이들 서신에는 두 사람의 학문상에 일정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이들의 서신내용을 중심으로 그 이론적 차이를 밝힘으로써 결국 이들의 이론적 차이가 심설논쟁의 하나의 발단양상으로 이어짐을 확인한다. 특히 이기에 대한 해석은 그대로 심에 대한 해석으로 이어진다. 심에 대한 해석은 주자의 ‘기의 정상’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전개되는데, 한주가 ‘기의 정상’을 리로 볼 것을 강조한 반면, 만구는 ‘기의 정상’을 이기의 합으로 볼 것을 강조한다. ‘기의 정상’이란 주자의 심에 대한 해석이므로 결국 ‘기의 정상’에 대한 해석은 심에 대한 해석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주가 심을 리로 보려고 한 반면 만구는 심을 이기의 합으로 보려고 하였던 것이다. 이것이 바로 19세기 심설논쟁의 발단을 장식한 한주와 정재의 연장선상에서 전개된 한주와 만구의 심설논쟁이다. 이들의 논변을 통해 퇴계학파에서 전개된 심설논쟁의 발단양상에 관한 세부적 내용을 재차 확인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키워드

한주(이진상), 만구(이종기), 심설논쟁, 이선기후, 기의 정상.

참고문헌(18)open

  1. [기타] / 寒洲集

  2. [기타] / 晩求集

  3. [기타] / 東儒學案

  4. [기타] / 朱熹集

  5. [기타] / 朱子語類

  6. [기타] / 退溪全書

  7. [기타] / 栗谷全書

  8. [단행본]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 2008 / 증보 동유학안 / 나남

  9. [단행본]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 2010 / 면우 곽종석의 학문과 사상 / 도서출판 술이

  10. [단행본] 금장태 / 1998 / 조선후기의 유학사상 / 서울대학교출판부

  11. [단행본] 이종우 / 2003 / 19세기 퇴계학의 좌우파 논쟁 / 역사공간

  12. [단행본] 최영진 / 2005 / 조선조 유학사상사의 양상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3. [단행본] 안유경 / 2015 / 성리학이란 무엇인가 / 새문사

  14. [단행본] 최영진 / 2017 / 한국 성리학의 발전과 심학적·실학적 변용 / 도서출판 문사철

  15. [학술지] 임종진 / 2004 / 만구 이종기의 성리사상 / 철학연구 89 : 365 ~ 386

  16. [학술지] 임종진 / 2008 / 晩求 李種杞의 성리학적 입장에 대한 검토 -寒洲學派와의 논변을 중심으로- / 영남학 (43) : 95 ~ 131

  17. [학술지] 임종진 / 2011 / 晩求 李種杞의 삶과 사상적 특징 / 南冥學硏究 (31) : 111 ~ 146

  18. [학술지] 김근호 / 2013 / 화서학파 심설논쟁의 전개과정과 철학적 문제의식 / 율곡학연구 27 : 149 ~ 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