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논문은 율곡 이이(1536~1584)의 ‘心是氣’와 한주 이진상(1818~1886)의 ‘心卽理’를 대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그 이론적 차이를 밝힌 것이다. 따라서 율곡은 어떠한 이유에서 ‘심시기’를 주장하였고 한주는 어떠한 이유에서 ‘심즉리’를 주장하였는지 그 내부 논리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물론 율곡의 ‘심시기’든 한주의 ‘심즉리’든 이들은 모두 심이 리와 기가 결합된 개념임을 전제한다. 다시 말하면, ‘심시기’라고 해서 심에 리가 없다는 의미가 아니며 ‘심즉리’라고 해서 심에 기가 없다는 의미가 아니라는 말이다. 심이란 리와 기가 합쳐진 개념이지만, 율곡은 심에서의 기의 역할에 주목하였고 한주는 심에서의 리의 역할에 주목하였던 것이다. 때문에 율곡은 심에서의 주체적 작용을 기로써 해석하였고, 한주는 심에서의 주체적 작용을 리로써 해석하였다. 그리고 율곡은 심에서의 기가 주체적 작용이 될 수 있는 근거로서 ‘의’의 개념을 강조하였고, 한주는 심에서의 리가 주체적 작용이 될 수 있는 근거로서 ‘리’의 개념을 강조하였다. 그것이 그대로 ‘심시기’와 ‘심즉리’로 이어진 것이다.

키워드

율곡, 한주, 심시기, 심즉리, 심통성정

참고문헌(13)open

  1. [기타] / 栗谷全書

  2. [기타] / 寒洲集

  3. [기타] / 寒洲全書

  4. [기타] / 退溪全書

  5. [기타] / 聖學輯要

  6. [기타] / 理學綜要

  7. [단행본] 금장태 / 2000 / 퇴계학파와 理철학의 전개 / 서울대학교출판부

  8. [단행본] 이상익 / 2011 / 영남성리학연구 / 심산

  9. [단행본] 안유경 / 2015 / 성리학이란 무엇인가 / 새문사

  10. [학술지] 이형성 / 1998 / 한주 이진상의 심성론 연구-心卽理說과 以心使心論을 중심으로- / 한국사상과 문화 2

  11. [학술지] 박상리 / 2004 / 寒洲 李震相의 心卽理說에 관한 연구 / 유교사상문화연구 (21) : 99 ~ 122

  12. [학술지] 윤사순 / 2011 / 寒洲 李震相의 性理學的 ‘心卽理說’ / 孔子學 (20) : 5 ~ 36

  13. [학술지] 최보경 / 2015 / 인심도심에 대한 나흠순과 율곡의 해석 / 동양철학 (44) : 209 ~ 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