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전통혼례를 반 겐넵의 ‘分離’―‘轉移’―‘統合’이라는 세 단계의 통과의례에 적용한다면, 親迎禮 직전의 ‘醮禮’를 (신부는 醮禮 혹은 ‘筓禮’를) ‘분리단계’로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전이단계’는 ‘大禮’부터 ‘三月廟見’ 때까지로, 이 기간 동안 신랑과 그 가족들은 신부를, 신부는 신랑을 반려자로서의 자질에 대해 평가하고 시험하게 된다. 새로운 지위로 완전히 이동하게 되는 ‘통합단계’는 ‘삼월묘현’ 의식의 이행과 아울러, 신부가 타고 온 車馬를 친정으로 돌려보내는 ‘反馬之禮’가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우리의 傳統婚禮에 관한 風俗的·思想的 고찰을 통해, 현대인들의 문화 의식과 조화될 수 있는 傳統婚禮像의 代案을 궁구해 보았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가장 특징적인 혼속으로는 壻留婦家婚을 들 수 있으며, 부여·고구려를 포함한 고대 국가의 보편적인 혼속으로 男歸女家인 壻屋制와, 女歸男家인 兄死娶嫂制가 병존했다. 아울러 고대 전적들의 기록에서 알 수 있듯 당시에 ‘媒妁에 의한 議婚’ 및 ‘納幣’ 등의 혼례제도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대체적으로 親家와 外家를 포함한 近親婚의 婚俗이 濊族을 제외한 고대국가 전체에 만연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는 高麗代까지 이어진다. 조선 건국 후 朱子式의 혼례제도인 四禮가 본격적으로 시행되었고, 구한말까지 우리의 禮俗으로 정착되지만, 親迎制 만큼은 ‘半親迎’으로 절충되어 시행되었을 뿐, 뿌리 깊은 男歸女家 婚俗으로 인해 조선말에 이르기까지 禮俗으로 흡수되지 못하였다. 조선중기의 禮學 발달을 주도했던 『家禮輯覽』·『四禮便覽』 등은 물론 조선말의 『增補四禮便覽』은 親迎의 기록에 관한한 時俗에 충실했다고 볼 수 없다. 『儀禮』 「士昏禮」에는 先秦儒家와 마찬가지로 절대적인 上下倫理 및 男尊女卑思想이 나타나 있지 않다. 그러나 前漢의 董仲舒에 이르러 儒家는 法家의 이론을 흡수하여 三綱의 윤리체계를 수립하였고, 『朱子家禮』가 성립된 宋代에 오면 개인의 도덕규범을 더욱 강조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유교는 사실상 이 시대에 도태될 수밖에 없다. 전통유가와 현대사회와의 부조화를 사회적·문화적인 차원에서 현대인들에게 조화롭게 흡수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儒敎 本然의 相互倫理的인 理念으로 회귀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 바탕위에 우리 固有의 婚俗과 現代的인 風俗을 자연스럽게 혼합하여 새로운 傳統思想의 婚禮觀을 정립시킬 수 있다면, 그것이 바로 孔子가 말한 ‘文質彬彬’의 실천이 될 것이다.

키워드

傳統婚禮, 婚俗, 婚禮制度, 士昏禮, 朱子家禮.

참고문헌(20)open

  1. [단행본] 아놀드 반 겐넵 / 1985 / 通過儀禮 / 乙酉文化社 : 6

  2. [단행본] 李景林 / 1995 / 儀禮譯注 / 吉林文史出版社

  3. [단행본] 이광규 / 1977 / 韓國家族의 史的硏究 / 一志社

  4. [단행본] 임민혁 / 1999 / 朱子家禮 / 예문서원

  5. [단행본] 焦國成 / 1997 / 中國倫理學通論(上卷) / 山西敎育出版社

  6. [단행본] 류성민 / 2007 / 의례의 이해 / 한신대학교 출판부

  7. [학위논문] 姜雪今 / 2009 / 조선조 혼례의 친영제 연구

  8. [학위논문] 郭艶娜 / 2006 / 周代婚禮硏究

  9. [학위논문] 권병숙 / 2007 / 이재 『사례편람』의 혼례 연구

  10. [학위논문] 權純馨 / 1997 / 高麗時代 婚姻制度 연구

  11. [학위논문] 김상진 / 2001 / 조선전기 주자학의 보급과 혼인제도의 변화

  12. [학위논문] 金世緖利亞 / 1997 / 儒家倫理의 실체화가 여성관에 미친 영향과 그 비판에 관한 연구

  13. [학위논문] 羅婕 / 2007 / 『詩經』中反映的先秦婚禮

  14. [학술지] 윤무학 / 2006 / 先秦 儒家의 五倫과 父子 倫理 / 동양철학연구 (47) : 247 ~ 278

  15. [학술지] 윤무학 / 2003 / 天人관계를 통해 본 본원유교에서의 禮와 法 / 유교문화연구

  16. [학술지] 윤재석 / 2006 / 中國古代 女性의 社會的 役割과 家內地位 / 동양사학연구 (96) : 27 ~ 64

  17. [학위논문] 李淑仁 / 1997 / 중국고대의 여성윤리사상 형성에 관한 연구 : 五經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중심으로

  18. [학술지] 이윤정 / 2003 / 웨딩드레스 색상의 변천과정 연구 / 복식문화연구 11 (5) : 657 ~ 670

  19. [학위논문] 임귀희 / 2009 / 한국전통혼례의 예학적 탐구

  20. [학위논문] 張炳仁 / 1993 / 朝鮮初期 婚姻制 硏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