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유교원리에 의거한 다문화교육방안 탐색

A Search for the Method of Multi-Culture Education on the based Confucianism Principle

倫理硏究
약어 : -
2010 vol.1, no.78, pp.33 - 60
DOI : 10.15801/je.1.78.201009.33
발행기관 : 한국윤리학회
연구분야 : 학제간연구
Copyright © 한국윤리학회
289 회 열람

이 글은 현재 교육담론의 중심이 되고 있는 다문화교육을 성찰하고, 우리 사회의 특수성을 이루는 유교의 본질과 원리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의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오늘날 다문화상황은 교육 목표와 내용까지 변화시킬 만큼 핵심적이며, 1990년대 이후 다문화교육은 이러한 사회변화를 반영한 결과이다. 현재의 다문화교육은 다문화상황을 경험한 서양이론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것은 실제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한국은 유교문화 속에서 강한 단일민족의식을 바탕으로 한다는 점에서 한국적 특수성을 염두에 두고 다문화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기서는 유교의 본질과 교육의 원리 세 가지-대동사회(大同社會: 더불어 사는 원리), 수기치인(修己治人: 성찰과 배려의 원리), 성․경(誠․敬: 성실과 공경의 원리)-에 주목하고, 이 원리를 바탕으로 한국의 다문화상황의 문제점과 연결시켜 교육 방안을 탐색해 보았다. 결론에서는 한국적 상황에서 다문화교육을 위한 도덕교육의 방향을 살펴보았다.

This study purports to search for the direction and the method multi-culture education based on the essences and educational principles of confucianism. First of all I will reflect upon our multi-culture education seriously. The current multi-culture situation played a key role so much that it changes education goal and contents. The results of the multi-culture education since the 1990s have reflected this korean social situation. This education is in practice by the induction theory of the West. Therefore, The Korean multi-culture education is required to take distinct characteristics because of still preserving strong racial and national and consciousness. I will notice three confucianism principles to propose an alternative education methods. First, the principle of excess to progress from the Daedong society(大同社會). Second, the principle of self-reflection and consideration from the Sugi-Chiin(修己治人). Lastly, the principle of sincerity and veneration from Seong(誠) and Gyeong(敬). I suggested the directions and the methods to solve problems are connected korean multi-cultural situation. In the conclusion, I stressed four suggestions for Korean multi-culture education from the moral education point of view.

유교, 다문화교육, 대동사회(大同社會), 수기치인(修己治人), 성(誠), 경(敬), 신독(愼獨), 서(恕)
confucianism, multi-culture Education, Daedong society(大同社會), Sugi-Chiin(修己治人), Seong(誠), Gyeong(敬), Sindok(愼獨), Seo(恕)

  • 1. [단행본] / 1990 / 論語(論語集註大全 影印本) / 학민문화사
  • 2. [단행본] / 1990 / 孟子(孟子集註大全 影印本) / 학민문화사
  • 3. [단행본] / 1990 / 大學·中庸(大學·中庸章句大全 影印本) / 학민문화사
  • 4. [단행본] / 1990 / 禮記(禮記集說大全 影印本) / 학민문화사
  • 5. [단행본] 儒敎事典編纂委員會 / 1990 / 儒敎大事典 / 박영사
  • 6. [인터넷자료]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 2009 개정시기 > 초ㆍ중등학교(2009.12) > 총론 > [붙임 2]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신구 대조표
  • 7. [인터넷자료]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 2009 개정시기 > 초ㆍ중등학교(2009.12) > 총론 > Ⅱ. 학교급별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 2. 중학교
  • 8. [학술지] 금장태 / 2003 / 유교의 실천론적 체계: ‘中庸․誠․均平’ 개념을 중심으로 / 종교학 연구 / 22
  • 9. [학술지] 김성기 / 2007 / 선진유학의 본질을 어떻게 재해석할 것인가 / 유교사상연구 (29) : 5 ~ 29 kci
  • 10. [학술지] 김의수 / 1999 / 문화 다원주의와 21세기 인류의 철학적 지향 / 시대와 철학 / 10 (1)
  • 11. [학술지] 김종석 / 1984 / 미국 다문화교육(Multicultural Education)의 이론적 고찰 / 미국학논문집 / 5
  • 12. [단행본] Michael J. Sandel / 2010 / 정의란 무엇인가?(Justice: What's the right thing to do?) / 김영사
  • 13. [단행본] Michele Borba / 2004 / 도덕지능(Building Moral Intelligence) / 한언
  • 14. [단행본] Samuel P. Huntington / 1999 / 문명의 충돌(The Clash of Civilizations) / 김영사
  • 15. [학술지] 심보선 / 2007 / 온정주의 이주노동자 정책의 형성과 변화- 한국의 다문화 정책을 위한 시론적 분석 - / 담론201 / 10 (2) : 41 ~ 2 kci
  • 16. [인터넷자료] 위클리공감 / 국제결혼 맞선 보려면 소양교육 받아야 / 대한민국 정책포털, 공감코리아
  • 17. [학술지] 장승희 / 2008 / 유교에서 본 다문화교육 시론 / 유교사상연구 (34) : 103 ~ 34 kci
  • 18. [학술지] 장승희 / 2009 / 외경윤리교육론 정립을 위한 시론 / 윤리연구 / 1 (74) : 35 ~ 74 kci
  • 19. [인터넷자료] 지홍구 / 도넘은 국제결혼 사기…베트남인 4명 동포 속여 3억원 뜯어 / 매일경제신문
  • 20. [학술지] 김국현 / 2008 / 초등학교 도덕과 반편견교육 교육과정 개발 / 교육과정평가연구 / 11 (1) : 1 ~ 1 kci
  • 21. [단행본] KBS인사이트아시아 유교 제작팀 / 2007 / 유교: 아시아의 힘 / 예담
  • 22. [단행본] 한국철학회 / 2003 / 다원주의, 축복인가 재앙인가 / 철학과현실사
  • 23. [단행본] Ravenscroft, Ian / 2009 / Minds, Ethics, and Conditions: Themes from the Philosophy of Frank Jackson / Oxford University Press
  • 24. [단행본] Sandel, Michael J. / 2005 / Public Philosophy: Essays on Morality in Politics / Harva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