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논증이란 이유를 들어 자신의 주장을 펼치는 행위로서 정책과정에서 활발하게 일어나는 자연스런 현상이다. 본 논문은 철학, 특히 논리학의 지식들을 동원하여 정책논증의 개념을 정책결정ㆍ이해당사자ㆍ담론과정ㆍ명제ㆍ설득력이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또한 정책논증의 구조도 간명히 개괄하였다. 이 논의를 바탕으로 정책논증론의 가능성과 함께 연구 분야를 원리ㆍ도구ㆍ적용이라는 측면에서 기술하였다. 정책과정은 기본적으로 의사결정의 장으로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이 참여하여 자신들의 주장을 근거를 제시하며 펼치기 때문에 논증의 한 독립적 영역이 될 수 있다. 정책논증은 형식논리학에서 이야기하는 논증의 전통적 모습이 아닌 ‘논증하기’에 해당한다. 정책논증론은 논리학과 변증법 그리고 수사학에서 필요한 이론과 기법을 차용할 수 있으며 이를 정책학에 유효하게 적용하면서 발전할 수 있다.

키워드

논증, 논증하기, 정책논증, 논증론, 정책논증론, 정책논증의 구조, 담론과정, 설득력

참고문헌(33)open

  1. [단행본] 고창택 / 2005 / 환경철학에서 생태정책까지:이론과 실천의 만남을 위하여 / 이학사

  2. [학술지] 권명화 / 2006 / 호주제 폐지에 관한 논변구조 분석 / 한국정책학회보 15 (3)

  3. [학술지] 박준호 / 2004 / 비형식 논리학의 논증과 논증 평가 개념 / 범한철학 34

  4. [단행본] 박준호 / 2003 / 논리와 논증의 이해 / 한국문화사

  5. [단행본] 백승기 / 2005 / 정책학원론(제2판) / 대영문화사

  6. [학술지] 오영석 / 2002 / 정책 인과지도를 통한 지역간 환경분쟁의 이해:낙동강 물 분쟁을 사례로 /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4 (4)

  7. [단행본] 오영석 / 2004 / 환경행정학: 지속가능 발전의 거버넌스 / 대영문화사

  8. [단행본] 오영석 / 2008 / 정책논증의 구조와 방법 / 대양기획

  9. [학술지] 유민봉 / 1991 / 정책결정의 논변모형에 의한 접근과 논변과정에서의 왜곡 / 한국행정학보 25 (4)

  10. [학술지] 유민봉 / 1994 / 정책분석틀로서의 정책논변모형 / 한국행정학보 28 (4)

  11. [학술지] 하병학 / 2002 / 학제적 학문탐구를 위한 비판적 사고와 논증론(논변론) / 철학연구 58

  12. [단행본] 하병학 / 2001 / 토론과 설득을 위한 우리들의 논리 / 철학과현실사

  13. [단행본] Amossy, Ruth / 2003 / 담화 속의 논증 / 동문선L'argumentation Dans Le Discours. Les Editions Nathan

  14. [단행본] Freeley, Austin J / 1990 / Argumentation and Debate: critical thinking for reasoned decision making /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5. [단행본] Freeley, Austin J / 2000 / Argumentation and Debate / Thomson

  16. [단행본] Freeman, James B. / 1991 / Dialectics and the Macrostructure of Arguments: A Theory of Argument Structure / Foris Publications

  17. [단행본] Freeman,James B / 2001 / Argument Structure and Disciplinary Perspective / Argumentation

  18. [단행본] Govier, Trudy / 1985 / A Practical Study of Argument / Wardsworth Publishing Company

  19. [기타] Lorenzen, P. / 1978 / Dialogische Logic. Darmstadt: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20. [단행본] Macoubrie, Jane / 2003 / Logical Argument Structures in Decision-making / Argumentation

  21. [단행본] Maneli,Mieczyslaw / 2006 / 페렐만의 신수사학 - 새로운 세기의 철학과 방법론 / 고려대학교출판부

  22. [단행본] Perelman,Chaim / 1980 / Justice, Law, and Argument: Essays on Moral and?Legal Reasoning / Reidel Publishing

  23. [단행본] Rieke, Richard D. / 2005 / Argumentation and Critical Decision Making / Allyn & Bacon

  24. [단행본] Rybacki, Karyn C / 2007 / Advocacy and Opposition: An Introduction to Argumentation / Allyn & Bacon

  25. [단행본] Simon, H. A. / 1957 / Administrative Behavior / Free Press

  26. [단행본] Toulmin, Stephen E / 2003 / The Uses of Argument / Cambridge?University Press

  27. [단행본] van Eemeren, Frans H. et al / 1996 / Fundamentals of Argumentation Theory: A Handbook of Historical Backgrounds and Contemporary Developments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8. [단행본] van Eemeren, Frans H. / 2002 / Argumentation: Analysis, Evaluation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9. [단행본] Walton, Douglas N. / 1996 / Argumentation Schemes for Presumptive Reasoning / Erlbaum

  30. [단행본] Walton, Douglas N. / 2001 / Persuasive Definitions and Public Policy Arguments / Argumentation And Advocacy

  31. [단행본] Walton, Douglas N / 2005 / Fundamentals of Critical Argumentation /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학술지] Wangerin, Paul T. / 1993 / A Multidisciplinary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persuasive arguments / Harvard Journal of Law & Public Policy 16 (1)

  33. [단행본] Wenzel, J. W / 1990 / Three perspectives on argument: Rhetoric, dialectic, logic. In R. Trapp & J. Schuetz(Eds.), Perspectives on argumentation: Essays in honor of Wayne Brockriede.?Prospect Height / Waveland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