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책임지지 않는 사회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Irresponsible Society

환경철학
약어 : E.P.
2016 no.21, pp.95 - 116
DOI : 10.35146/jecoph.2016..21.004
발행기관 : 한국환경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환경철학회
181 회 열람

2014년 4월에 한국이 겪은 세월호 침몰사건은 지켜보는 많은 사람들의 가슴을 먹먹하게 만들었다. 그런데 제목에 "사건"이라는 표현이 아니라 "사태"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에서 미루어볼 수 있듯이, 이 사건의 파장은 한국사회에 깊은 상처와 회한으로 각인되고 있다. 거의 두세 달 동안 한국사회를 집단 우울과 분노로 인한 패닉상태로 빠뜨렸던 이 사건으로 인해 우리는 이제 이 사건이 불러올 "사태"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풀어내야 할지에 대해서 생각해보아야 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작업의 과정적 결과이다. 이 사태에 대한 책임을 논할 때, 특정인이나 종교단체, 일부 정치인들에게 떠맡겨져서는 안 될 책임을 논해야한다. 이 연구에서는 세월호 사태와 관련된 책임논의에 대한 윤리학적 논의를 살펴보고자한다. 책임지지 않으려는 사회는 더 이상 존속하기 어렵고, 그 안에 살 수 밖에 없는 우리의 삶이 무책임해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논의는 반드시 필요하다. 때로는 이러한 논의 자체가 우리 자신에게 아플 수도 있고, 귀찮을 수도 있다. 그러나 상처가 치유되는 과정 자체의 아픔은 피할 수 없지만, 이 상처는 바로 이러한 아픔을 통해 치유될 수 있다.

The Ferry disaster case occurred in April 2014 made a lot korean people sad, angry and defeated. The trauma and remorse are imprinted on Korean people’s mind through this incident. We should think about how we could accept this case. This study results from the consideration of the treatment and acceptance. When we talk about the responsibility for it, we should discuss not only the responsibility of some people, but also our responsibility. The ethical discussions about the responsibility of this case are analysed in this study. The irresponsible society could not sustain no longer, and the people in this society are likely to be irresponsible. So it is necessary to discuss about this case, although these discussions hurt and annoy our mind. It The trauma and remorse may be overcome through the process of pains.

책임, 책임윤리, 도덕적 책임, 집단책임, 휴머니티
responsibility, the ethics of responsibility, moral responsibility, group responsibility, humanity

  • 1. [학술지] 변순용 / 2000 / 타자의 윤리학 / 국민윤리연구 (45) : 12 ~ 45
  • 2. [단행본] 변순용 / 2007 / 책임의 윤리학 / 철학과현실사
  • 3. [단행본] 변순용 / 2014 / 삶의 실천윤리적 물음들 / 울력
  • 4. [단행본] Corlett, J. A. / 2006 / Responsibility and Punishment / Springer
  • 5. [단행본] Feinberg, J. / 1970 / Doing and Deserving / Princeton Univ. Press
  • 6. [단행본] French, P. A. / 1998 / Individual and Collective Responsibility / Schenkman Books
  • 7. [단행본] French, P. A. / 1984 / Collective and Corporate Responsibility / Columbia Univ. Press
  • 8. [학술지] Geser, H. / 1989 / Organisationen als moralische Akteure / Arbeitsblätter fuer ethische Forschung / 1 : 28 ~
  • 9. [단행본] Haefner, K. / 1984 / Mensch und Computer im Jahre 2000 / Basel
  • 10. [단행본] Heidbrink, L. / 2003 / Kritik der Verantwortung / Goettingen
  • 11. [단행본] Lenk, H. / 1998 / Konkrete Humanitaet / Suhrkamp
  • 12. [단행본] Lévinas, E. / 1972 / Humanisme de l’autre homme / Montpellier
  • 13. [단행본] May, L. / 1991 / Collective Responsibility /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 14. [학술지] Toumela, R. / 1991 / We Will Do It: An Analysis of Group-intentions / Philosophy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 / 60 : 249 ~
  • 15. [단행본] Watkins, J. W. N / 1953 / Reading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 Appleton-Century-Corfts
  • 16. [단행본] Wieland, J. / 2001 / Die moralische Verantwortung kollektiver Akteure / Konstanz
  • 17. [단행본] Van den Beld, T. / 2000 / Moral Responsibility and Ontology / Kluwer Academic Pub.
  • 18. [단행본] Vogel, D. / 2006 / 기업은 왜 사회적 책임에 주목하는가 / 거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