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윤리문화연구의 도덕교육의 목표와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덕교육은 다양한 윤리적 실제에서 공통의 규범과 보편적인 윤리적 가치와 지식을 가르침으로써 유덕한 인격 형성을 목표로 한다. 윤리문화의 실제는 각기 다른 지역, 시대, 집단이 일정하게 소지해 온 윤리적 생활양식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에, 보편적인 윤리적 가치와 지식 외에도 다양하고 독특한 역사 및 자연 환경의 특수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각 문화에서 윤리의 수준을 이끌어야 하는 도덕교육은 윤리문화의 특수성과 다양성을 함께 고민해야 하고, 이는 윤리적 삶의 실제들에 대한 미래지향적 반성 작업과 일맥상통한다. 윤리문화연구는 윤리적 삶의 실제, 윤리적 가치와 지식, 특수성(역사 및 환경)의 세 가지 영역을 동시에 고려한다. 현재의 윤리적 삶의 실제들은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윤리적 가치와 지식, 역사 및 환경의 특수성이 반영된 경험적 산물이다. 이러한 실제의 바람직한 방향이 무엇인지, 또는 어떤 문제가 있는 지에 대한 반성적 판단은 완전성의 추구에서 올바른 사고와 올바른 행동의 조화를 기준에서 올바른 이성의 검토가 진행되어야 한다. 이런 양상은 학교의 도덕과 교육에서 윤리적 민감성, 윤리적 판단, 윤리적 동기화와 윤리적 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덕교육 일반에서 한 조직이나 집단의 윤리적 삶을 개선하거나 변화시키는데 중요하게 활용될 수도 있다. 또는 다문화 사회의 구성원과 같이 윤리문화의 유형에 따라 각 집단의 특수성에 우선적 관심을 갖는 도덕교육에도 적용될 수 있다.

키워드

도덕교육과 도덕과 교육, 윤리문화와 완전성, 올바른 사고-올바른 행동-올바른 이성, 윤리적 실제와 가치, 문화적 특수성

참고문헌(16)open

  1. [단행본] 교육과학기술부 / 2012 / 도덕과 교육과정

  2. [단행본] 박종훈 / 2012 / 윤리문화학이란 무엇인가 / 서진북스

  3. [단행본] 이정선 / 2008 / 초등학교문화 이해 / 양서원

  4. [단행본] Arnold, Matthew / 1963 / Culture and Anarchy /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단행본] Williams, Raymond / 1968 / Culture and Society 1780-1950 / Penguin Books

  6. [단행본] 김연순 / 2008 / 문화학의 이해 / 성균관대학출판부

  7. [단행본] 조나단 프리드먼 / 2009 / 지구화 시대의 문화정체성 / 당대

  8. [단행본] 해리 레드너 지음 / 2006 / 윤리적 삶의 이해 / 인간사랑

  9. [학술지] 강봉수 / 2008 / 제주의 孝규범에 관한 윤리문화적 접근 / 윤리연구 1 (70) : 87 ~ 123

  10. [학술지] 정창우 / 2011 / 도덕과의 정당성 및 정체성 연구 / 윤리연구 1 (82) : 239 ~ 288

  11. [학술지] 정탁준 / 2012 / 도덕과 교육의 개념 연구 / 윤리연구 1 (86) : 291 ~ 319

  12. [학술지] Laidlaw, James / 2002 / For an Anthropology of Ethics and Freedom / The Journal of the Royal Anthropological Institute 8 (2)

  13. [단행본] 강두호 / 2013 / 도덕윤리과교육학개론 / 교육과학사

  14. [단행본] 김국현 / 2013 / 중등학교 인성교육을 이끌어 가는 도덕수업, 어떻게 해야 할까? / 교육과학사

  15. [단행본] 박병기 / 2013 / 도덕윤리과교육학개론 / 교육과학사

  16. [단행본] 유병렬 / 2013 / 도덕윤리과교육학개론 /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