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근대 시민 사회의 역사철학적 의미는 근대인들이 인간의 보편적인 자유를 자각하고 이를 인간의 보편적 권리로 인식하였고 또한 스스로 역사의 주체가 되어 인간의 보편적 자유를 현실화하려고 노력했다는 점이다. 루소의 일반의지가 계기가 되어 자유를 의식하였고 그리고 인간불평등 기원에 관한 이론에서 나타난 자연과 자유의 분리를 인식하여 보편적 자유의 실현을 실천하였다. 그러나 추상적 자유를 현실에서 실현하려는 시민혁명은 공포의 정치가 되었고 보편적 자유를 실현하고자하는 시민사회는 실패하였다. 반면에 영국사회는 프랑스 시민사회와는 정반대로 자연의 필연성에서 내재된 과도한 인간의 욕망을 조정하는 차원에서 시민사회를 형성하였고 그 결과 과도한 욕망의 경쟁으로 형식적인 자유와 불평등으로 끝났다. 칸트와 헤겔을 중심으로 형성된 독일의 사상에서 시민사회의 근원인 자유와 자연적 필연성의 대립을 지양하여 통일하려는 철학이 나타났다. 칸트의 선험적 관념론의 제3이율배반으로 구체화된 자유와 자연적 필연성의 대립은 헤겔의 사변적 변증법에서 통일된다. 헤겔은 자유와 자연적 필연성의 통일이 학적인 기반위에서 해결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고 이를 역사적이고 정치 사회적 현실에서 해결하기 위한 토대를 찾게 되는 데 그것이 이상적인 공동체인 인륜국가이다.

키워드

일반의지, 자유, 자연의 필연성, 루소, 칸트, 헤겔, 인륜국가

참고문헌(23)open

  1. [단행본] W. R. Beyer / 1967 / Hegel-Bilder: Kritik der Hegel-Deutung / Akademie

  2. [단행본] Martial Gueroult / 1978 / “Hegels Urteil über die Antithetik der reinen Vernunft”, in Seminar : Dialektik in der Philosophie Hegels / Suhrkamp

  3. [단행본] G. W. F. Hegel / 1971 / Differenz des Fichteschen und Schellingschen Systems Philosophe, In Werke in 20 Bänden / Suhrkamp

  4. [단행본] Eva Moldenhauer / 1971 / Die Verfassung Deutschlands, in Werke in 20 Bänden / Suhrkamp

  5. [단행본] Eva Moldenhauer / 1971 /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 oder Naturrecht und Staats Wissenschaft im Grundrisse / Suhrkamp

  6. [단행본] R. Horstmann / 1976 / Jenaer Systementwürfe Ⅲ / Meiner

  7. [단행본] Eva Moldenhauer / 1971 / Vorlesungen über die Philosophie der Geschichete, In Werke in 20 Bänden / Suhrkamp

  8. [단행본] Eva Moldenhauer / 1971 / Über die Wissenschaftlich Behandlungsart des Naturrecht, In Werke in 20 Bänden / Suhrkamp

  9. [단행본] Eva Moldenhauer / 1971 / Wissenschaft der Phänomenologie., In Werke in 20 Bänden / Suhrkamp

  10. [단행본] Eva Moldenhauer / 1971 / Wissenschaf der Logik, In Werke in 20 Bänden / Suhrkamp

  11. [단행본] I. Kant / 1900 / Kant to Garve, Gessamtelte Schriften / Reimer

  12. [단행본] G. A. Kelly / 1969 / Idealism, Politic and History: Sources of Hegelian Thought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단행본] G. W. Leibniz / 1890 / Philosophische Schriften / Weidmann

  14. [단행본] H. Marcuse / 1955 / Reason and Revolution: Hegel and the rise of Social theory / Oxford University Press

  15. [단행본] M. Riedel / 1974 / Rolf Peter Horstmann, Siegfried Blasche, Materiallien Za Hegels Rechtphilosophie / Suhrkamp

  16. [단행본] Jean-Jacques Rousseau / 1959 / Discours sur lòrigine et les fondements de linégalité parmi les hommes / Gallimard

  17. [단행본] Bernard Gagnebin / 1959 / Rousseau's Letter to Philopolls(Chares Bonnet), Oeuvres complètes / Gallmard

  18. [단행본] Helene Weiss / 1942 / Kausalität und Zufall in der Philosophie des Aristoteles / Falken

  19. [단행본] Jean-Jacques Rousseau / 2011 / 사회계약론 / 서울대학교 출판부

  20. [단행본] 최창집 / 2009 / 민중에서 시민으로 / 돌베개

  21. [단행본] 아즈마 히로키 / 2012 / 일반의지 2. 0 / 현실문학

  22. [단행본] 나종석 / 2007 / 차이와 연대 / 길

  23. [단행본] 백종현 / 2010 / 시대와의 대화: 칸트와 헤겔의 철학 / 아카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