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남북전의 서술양상에 따른 四念處의 위상

A Standing of Four Establishments Mindfulness which is followed by descriptive form of in the Early Buddhist Texts

인도철학
약어 : KJIP
2008 no.25, pp.121 - 142
DOI : 10.32761/kjip.2008..25.005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인도철학회
104 회 열람

이 글은 초기불교에서 중요한 수행법으로 간주되고 있는 사념처의 위상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사념처에 대한 선행연구는 이미 많이 축적되어 있지만, 현존하는 초기불전인 5니까야와 4아함경을 비교 ·분석하여 서술상의 일치와 불일치 여부를 온전하게 검토한 것은 그리 많지 않다. 그러나 양전 사이에 존재하는 내용의 불일치 자체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이같은 내용의 불일치가 사념처의 위상을 설정하는 데 서로 다른 시각을 제공한다는 점이 문제가 되는 것이다. 그간 국내에서는 사띠(sati)의 의미와 성격에 대한 갖가지 논의가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글 또한 선행연구에 기대어서 행해진 것이지만, 기존의 연구에서는 남전 니까야만이 논의의 대상이 되면서 상대적으로 북전 아함경에 대한 검토는 무시되었던 측면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특히 남북 양전 사이에 존재하는 내용상의 불일치 문제가 간과된 채, 사념처의 위상을 파악하려는 연구경향에 대한 반성적 재검토를 염두에 두며 논술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사념처의 위상은 위빠사나 위주의 시각으로 해석할 수 있음은 물론 사마디 또는 사마디 위주의 시각으로도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icate a standing of four establishments mindfulness in the early Buddhist Texts. Being solved this theme, I would think over there is inconsistency of contents where expressed the five Pali Canon(Nikāya) and the four Chinese Texts(Agama). In my opinion, it would be supposed that the antecedent papers have insufficient critical-mind about inconsistency of contents. So, I based upon the contents-correspondence about four establishments mindfulness between the Pali and Chinese Texts. On the basis of contrastive-analysis these data, a standing of four establishments mindfulness would divide two aspects, that is concentrate meditation[samatha] and insight meditation[vipassanā] which hold a dominant position. According to this research, a standing of four establishments mindfulness would not be restricted one side, either concentrate meditation or insight meditation.

초기불교, 명상, 사념처, 지관(止觀), 삼매, 칠각지
Early Buddhism, meditation, four establishments mindfulness, concentration(samAdhi), Calm(samatha), Insight(vipassanA)

  • 1. [기타] / Dhammapada, PTS
  • 2. [기타] / Suttanipāta, PTS
  • 3. [기타] / Theragāthā & Therīgāthā, PTS
  • 4. [기타] / Dīgha Nikāya, PTS
  • 5. [기타] / Majjhima Nikāya, PTS
  • 6. [기타] / Saṃyutta Nikāya, PTS
  • 7. [기타] / Aṅguttara Nikāya, PTS
  • 8. [기타] / 大正新修大藏經, 卷1 長阿含經, 中阿含經
  • 9. [기타] / 卷2 雜阿含經, 別譯雜阿含經, 增一阿含經
  • 10. [단행본] 赤沼智善 / 1929 / 漢巴四部四阿含互照錄 / 破塵閣書房
  • 11. [학술지] 임승택 / 2004 / Mah?satipat.t.h?na-Suttanta(大念處經)의 수행관 고찰 / 한국불교학 (37) : 31 ~ 37 kci
  • 12. [학술지] 정준영 / 2003 / 「대념처경(Mah?satipa??h?na sutta)」에서 보이는 수념처(受念處)의 실천과 이해 / 불교학연구 / 7 : 7 ~ kci
  • 13. [학위논문] 김준호 / 2008 / 초기불교 선정설의 체계에 관한 연구
  • 14. [단행본] 和什哲郞 / 1993 / 원시불교의 실천철학 / 불교시대사
  • 15. [단행본] 西義雄 / 1978 / 原始佛敎における般若の硏究, In 原始佛敎資料論の再檢討 / 大東出版社
  • 16. [학술지] 增永靈鳳 / 1935 / 原始佛敎における四念處の硏究 / 駒澤大學佛敎學部硏究紀要 / 6 (1)
  • 17. [학술지] 佐々木敎悟 / 1988 / パーリ語文獻にあらわれたる四念處の修習について / 佛敎學せミナー (47)
  • 18. [단행본] 田中敎照 / 1993 / 初期佛敎の修行道論 / 山喜房佛書林
  • 19. [단행본] Thera, Nyanaponoka / 1986 / The Heart of Buddhist Meditation / Rider
  • 20. [단행본] 냐나포니카 / 1999 / 불교선수행의 핵심 / 시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