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동양철학의 융화적 사고와 융합미디어 시대의 사회적 소통성 연구

A Study on the Social Communicativity and Convergence Thinking of East Asian Thoughts in the Trans-Media Era.

동서철학연구
약어 : S.P.E.W
2017 no.86, pp.253 - 277
DOI : 10.15841/kspew..86.201712.253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동서철학회
157 회 열람

본 연구는 디지털 융합미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현대사회의 불통 현상과 더불어 이로 인해 야기되고 있는 인간 소외의 원인 규명을 미디어에 기초한 인간의 의사소통 행위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분석하고, 그 문제의 해결을 위한 방안의 모색을 유가의 和와 노자의 이상사회에 대한 의미 분석을 통해 시도한다. 이 점에서 동양철학의 융화적 사고와 융합미디어 시대의 사회적 소통성 연구는 우리가 지향해야할 미래 사회의 공감과 소통의 기제성을 마련하는 동시에 우리가 향유하고 있는 디지털 생활문화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틀을 마련하는 계기가 된다. 더욱이 동양의 관계적 세계관의 소통구조에 대한 의미 분석은 불통문화의 해결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동시에 의사소통 행위의 사회적 가치를 회복하는 이론 토대가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causes of human alienation led by miscommunication in modern society with digital trans-media, examining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human beings’ communicative action based on media. For this problem, this paper intends to find a proper answer through an analysis on the meaning of 'He(和)' of Confucianism, and the Ideal Society of Daoism. In this perspective, the research of social communicativity and convergence thinking of Eastern philosophy in the trans-media era would give us a chance to prepare not only mechanisms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for the future society, but also a new frame of understanding of digital life-culture.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a semantic analysis of communicative structure of a relational world view of the East would becom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restoring social value of communicative action and at the same time would lead us to find a way to solve miscommunication problems.

사회, 소통, 융합, 사고, 융합미디어, 동양철학
Society, Communication, Convergence, Thinking, Trans-Media, East Asian Thoughts

  • 1. [기타] / 國語
  • 2. [기타] / 老子
  • 3. [기타] / 論語
  • 4. [기타] / 大學
  • 5. [학술지] 김현주 / 2004 / 디지털 시대의 인간관계 – 한국 사회에 던지는 의미 /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 3
  • 6. [학술지] 김희 / 2014 / 도가철학을 통해 본 인간의 삶과 좋은 노동 / 인문학연구 / 47 (1) : 81 ~ 1 kci
  • 7. [학술지] 김희 / 2016 / 디지털 융합 시대의 문화적 소외 양상 연구 / 대동철학 (77) : 307 ~ 77 kci
  • 8. [단행본] 미래전략정책연구원 / 2016 / 10년 후 4차 산업명의 미래 / 일상이상
  • 9. [학술지] 민춘기 / 2015 /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 교양교육연구 / 9 (1) : 181 ~ 1 kci
  • 10. [학술지] 박창호 / 2004 /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공공영역의 쇠퇴인가 부활인가? / 사회이론 / (25) : 117 ~ 25 kci
  • 11. [학술대회] 설진아 / 2009 / 소셜미디어의 진화양상과 사회적 영향 / 한국언론정보학보, 한국언론정보학회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 12. [단행본] 안민호 / 2014 / 불통에 대한 이해 / 커뮤티케이션북스
  • 13. [학술지] 윤석민 / 2009 / 미디어 융합현상에 대한 소통 이론적 접근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구조와 그 역사적 변동에 대한 시론적 이론을 중심으로 / 방송통신연구 (68) : 9 ~ 68 kci
  • 14. [단행본] 위르겐 하버마스 / 2006 / 의사소통행위이론2 / 나남
  • 15. [단행본] 클라우스 슈밥 / 2016 / 4차산업혁명의 충격 - 과학기술 혁명이 몰고올 기회와 위협 / 흐름출판
  • 16. [학술대회] 전현선 / 2005 / 미디어 소통의 관점에서 본 인터넷 공론장의 언어문화 – 디지털 시대소통윤리 교육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 국어 생활과 국어 문화, 한국어교육학회 260회 학술대회
  • 17. [단행본] Bakshy, E / 2011 / Everyone's an influencer: quantifying influence on Twitter
  • 18. [단행본] Bollmann, Stefan / 1993 / Gespräch, Gerede, Kitsch: Zum Problem des unvollkommenen Informationskonsums / Bollman
  • 19. [단행본] Dewar, James A / 1998 / The information age and the printing press: looking backward to see ahead / RAND Corporation
  • 20. [단행본] Flusser, Vilém / 1985 / Ins Universum der technischen Bilder / European Photography
  • 21. [단행본] St. Bollmann / 1993 / Nachgeschichte. Eine korrigierte Geschichtsschreibung / Bollmann
  • 22. [단행본] St. Bollmann / 1996 / Kommunikologie / Bollmann
  • 23. [단행본] Kloock, Daniela / 1997 / Medientheorien, Eine Einführung
  • 24. [단행본] Andreas Ströhl / 2002 / Translated by Erik Eisel / Writings
  • 25. [단행본] Flusser, Vilém / 2014 / The Gesture of Writing / University of Ninnesota Press
  • 26. [단행본] Habermas, J / 1984 /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Volume 1 / Beacon Press
  • 27. [단행본] Habermas, J / 1987 /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Volume 2 / Beacon Press
  • 28. [단행본] Habermas, J / 1989 / The New Conservatism: Cultural Criticism and the Historians'Debate / The MIT Press
  • 29. [단행본] Habermas, Jürgen / 1990 / Strukturwandel der Ö ffentlichkeit: Untersuchungen zu einer Kategorie der b ürgerlichen Gesellschaft / Suhrkamp
  • 30. [단행본] Habermas, J / 1996 / Modernity and Law / Sage Publications
  • 31. [학술지] Hanke, Bob / 2012 / Vilém Flusser’s Digital Galaxy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 6
  • 32. [단행본] Mihail C. Roco / 2003 / Converging Technologies for Improving Human Performance: Nanotechnology, Biotechnology,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gnitive Science / Kluwer Academic Publishers
  • 33. [단행본] Prensky, Marc / 2011 /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 MCB University
  • 34. [단행본] Tompson, John B / 1995 / The Media and Modernity / Polity Press
  • 35. [학술지] White, David S / 2011 / Visitors and Residents: A new typology for online engagement / First Monday / 16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