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황과 이이의 성리학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이론의 논리적 정합성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이론상의 차이점을 설명하는데 주안점을 둔 측면이 강하다. 그 결과 그들은 한국 성리학사에서 대립과 갈등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인물로 손꼽힌다. 그들이 서로 다른 성리학 체계를 형성하는 가장 큰 이유는 리기(理氣) 개념의 이해와 상호 기능에 대한 해석의 차이 때문이다. 아울러 그들이 경험한 시대상황과도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이러한 종합적인 요인들로 인해 그들은 서로 다른 성리학 체계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사단칠정의 리기론적(理氣論的) 해석인데, 이황은 ‘리기호발(理氣互發)’을, 이이는 ‘기발리승(氣發理乘)’을 주장한다. 그리고 그들의 의견에 동조하는 이들이 논쟁에 가담 하면서 길고 긴 대립이 시작된다. 하지만 길게 이어질 것만 같던 대립도 결국 최종목표에서는 합의를 이룬다. 그들이 지향하는 것은 일신(一身)을 주재하는 마음을 잘 다스려 성인에 도달하는 것이다. 그리고 성인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그들 공히 ‘경(敬)’과 ‘성(誠)’을 제시함으로써 합의를 이룰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따라서 필자는 이황과 이이 성리학을 중심으로 그들의 대립과 갈등의 원인, 그리고 대립을 종식하고 합의를 이루는 일련을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경(敬), 성(誠)의 마음수양을 통한 성인지향이 그들 성리학의 대립을 극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음을 살펴보려 한다. 결국 필자의 본 논문은 이황과 이이 성리학의 정합성을 묻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 성리학의 차이 극복을 위해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키워드

이황, 이이, 리기론, 사단칠정, 성인, 경, 성, 차이, 합의

참고문헌(17)open

  1. [단행본] / 1984 / 性理大全 / 保景文化社

  2. [단행본] / 1970 / 朱子語類 / 中文出版社

  3. [단행본] / 1986 / 朱子大全 / 文和堂

  4. [단행본] / 1989 / 栗谷全書 in 韓國文集叢刊 44, 45 / 고전번역원

  5. [단행본] / 1989 / 退溪集 in 韓國文集叢刊 29, 30, 31 / 고전번역원

  6. [단행본] 몽배원 / 2005 / 성리학의 개념들 / 예문서원

  7. [단행본] 오하마 아키라 / 1999 / 범주로 보는 주자학 / 예문서원

  8. [단행본] 윤사순 / 1980 / 韓國儒學論究 / 현암사

  9. [단행본] 윤사순 / 1998 / 한국의 성리학과 실학 / 삼인

  10. [단행본] 이병도 / 1987 / 韓國儒學史 / 아세아문화사

  11. [단행본] 이상익 / 1998 / 畿湖性理學硏究 / 한울아카데미

  12. [단행본]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연구실 / 2005 / 韓國儒學思想大系Ⅱ․哲學思想編 / 예문서원

  13. [학위논문] 김경호 / 2005 / 栗谷 李珥의 心性論에 관한 硏究

  14. [학술지] 김형찬 / 1996 / 理의 作爲性에 관한 考察 / 공자학 (2)

  15. [학술지] 정대환 / 2002 / 『入學圖說』을 통해 본 權近의 性理學 / 범한철학 (26) : 85 ~ 108

  16. [학술지] 정대환 / 2009 / 蘇齋 盧守愼의 人心道心說 / 철학연구 112 : 319 ~ 357

  17. [학술지] 황의동 / 1987 / 退溪哲學의 理에 관한 考察 / 人文科學論集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