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논문은 호굉이 사용했던 인(仁) 개념의 의미와 그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호굉은 인(仁)이 천지의 마음처럼 만물을 낳는 생명력을 지니며, 천지 변화의 모든 것을 관통한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사람들은 인을 실현함으로써 현실의 세계에서 천지라는 근원의 세계에 동참할 수 있다고 보았다. 호굉은 사람들이 인을 실현한 상태가 ‘만물을 자기 몸으로 느끼는 것[萬物一體]’으로 간주하고, 구체적 삶 가운데 사물과 만나는 과정에서의 자기의 마음이 작동했을 때 인이 드러난다고 생각했다. 즉 우리의 마음은 늘 유동하지만 우리의 앎은 사태와의 관계에서만 생겨나고, 앎이 생겼을 때 인이 드러난다는 것이다. 호굉의 도식에서는 내 마음에 구체적 사태와 관련된 앎이 생겼을 때 인을 찾을 수 있다. 이처럼 앎을 중시하고 구체적인 현상에서 인을 파악하려는 호굉의 방법은 호상학파에게 ‘이각위인(以覺爲仁)’과 ‘관과지인(觀過知仁)’의 방법으로 이어져서 주희와 인에 관한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키워드

호굉, 인(仁), 주희, 이각위인(以覺爲仁), 관과지인(觀過知仁)

참고문헌(25)open

  1. [기타] / 論語

  2. [기타] / 二程集

  3. [기타] / 朱子語類

  4. [기타] / 胡宏集

  5. [기타] / 晦庵先生朱文公文集

  6. [단행본] 金春峰 / 1998 / 朱熹哲學思想 / 東大圖書公司

  7. [단행본] 김우형 / 2005 / 주희철학의 인식론 / 심산

  8. [단행본] 勞思光 / 1989 / 中國哲學史 (宋明篇) / 探求堂

  9. [단행본] 뚜 웨이밍 / 1999 / 뚜 웨이밍의 유학 강의 / 청계

  10. [단행본] 모종삼 / 2012 / 심체와 성체(4, 6) / 소명출판

  11. [단행본] 미우라 쿠니오 / 1996 / 인간주자 / 창작과 비평사

  12. [단행본] 束景南 / 1992 / 朱子大傳 / 福建敎育出版社

  13. [단행본] 束景南 / 2001 / 朱熹年譜長編 / 華東師範大學出版社

  14. [단행본] 王開府 / 1978 / 胡五峯的心學 / 學生書局

  15. [단행본] 王立新 / 1996 / 胡宏 / 東大圖書公司

  16. [단행본] 李侗 / 2006 / 스승 이통과의 만남과 대화 / 이학사

  17. [단행본] 임헌규 / 2003 / 인설 / 책세상

  18. [단행본] 조남호 / 2004 / 주희, 중국철학의 중심 / 태학사

  19. [단행본] 朱漢民 / 2011 / 湖湘學派와 嶽麓書院 / 학고방

  20. [단행본] 朱漢民 / 2004 / 湖湘學派史論 / 湖南大學出版社

  21. [단행본] 陳來 / 1987 / 朱熹哲學硏究 /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2. [단행본] 陳來 / 2002 / 주희의 철학 / 예문서원

  23. [단행본] 陳榮捷 / 2001 / 진영첩의 주자강의 / 푸른역사

  24. [단행본] 호이트 틸만 / 2010 / 주희의 사유세계 / 교육과학사

  25. [학위논문] 성광동 / 2012 / 호굉 철학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