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학문적 계보, 즉 사승 관계의 계보를 파악한다는 것은 역사 속에 존재했던 어떤 한 인물의 사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 가장 먼저 선결되어야 할 과제이다. 여기에서는 즙산(山)이 어떤 학문상의 전승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그 철학사상 형성의 배경에 있어서 주변 인물들과의 교류 양상이 어떠했는지 등에 관하여 검토를 진행하였다. 그래서 본고 山의 학문적 계보에 관한 一考察에서는 주로 즙산의 사우(師友) 관계에 관하여 살펴보는 것으로 하였다. 우선 사승 관계로부터 본 즙산의 학문적 계보상의 위치를 확인하고, 초기의 즙산의 우인 및 인맥 양상을 고찰하였다. 사승 관계를 제외하고 즙산이 전 생애에 걸쳐서 자신의 우인(友人)으로써 인정한 인물은 다섯 명에 불과하였다. 이들은 모두가 동림파 내지는 동림파와 관련된 인물들이었고, 절강과 강소라는 지역적 기반을 공유하고 있었다. 명대 사상사 전체의 흐름에서 볼 때 이들은 또 양명학 좌파의 ‘무선무악설’에 대한 강한 불만과 비판 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다음으로 스승 허부원이라는 인물의 실상과 스승과의 만남에 관해서 총체적으로 의론을 진행하였다. 허부원은 즙산의 사상 형성과 관료 생활에 있어서 가장 좋은 모범이자 본보기로서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인물이었으며, 그는 스승 허부원의 가르침을 통해서 정주학(程朱學)을 본격적으로 배우게 된다. 결국 ‘극기’의 중시와 ‘무선무악’ 비판이라는 즙산에게 있어서의 허부원 학문의 계승은 만남의 그 순간뿐만 아니라, 즙산의 만년에까지 이어진다. 이렇게 보면 즙산 학문세계의 정신은 스승 허부원과 만난 이후부터 인생 최후의 순간까지 기본적으로는 일관되었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고를 통해서 즙산은 정주학적(程朱學的) 사승 관계, 즉 정주학의 학맥을 잇고 있었으며 초기의 인적 교류는 다양한 학문적 유파의 인물들과 교유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동림파 인사들과 폭넓고 깊은 인맥을 형성하면서 후일 사상적으로 대립하게 되는 양명학 좌파의 인물들과도 깊은 교유 관계를 맺고 있었다는 역사적 사실은 앞으로의 즙산학 연구에 시사해주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키워드

즙산(山), 계보(系譜), 사승(師承), 인맥(人脈), 우인(友人), 허부원(許孚遠)

참고문헌(23)open

  1. [단행본] 戴璉璋 / 1997 / 劉宗周全集 第一冊~第五冊(全六巻) / 台湾: 中央研究院中国文哲研究所 : 6

  2. [단행본] / 1981 / 劉子全書及遺編 全二冊 / 京都: 中文出版社

  3. [단행본] 姚名達 / 1934 / 劉宗周年譜 / 上海: 商務印書館

  4. [단행본] / 劉蕺山集(四庫全書珍本‧影印本) / 台湾: 商務印書館

  5. [단행본] 岡田武彦 / 1980 / 劉念台文集 / 明徳出版社

  6. [단행본] 黄宗羲 / 1985 / 明儒学案(上‧下) 二冊 / 北京: 中華書局

  7. [단행본] 東方朔 / 1998 / 劉宗周評伝 / 南京大学出版社

  8. [단행본] 李振綱 / 2000 / 証人之境―劉宗周哲学的宗旨 / 人民出版社

  9. [단행본] 鐘彩鈞 / 1998 / 劉蕺山学術思想論集 / 台湾: 中央研究院

  10. [단행본] 衷爾鋸 / 1993 / 蕺山学派哲学思想 / 山東教育出版社

  11. [단행본] 志賀一朗 / 1983 / 湛甘泉の学説 / 風間書房

  12. [단행본] 岡田武彦 / 1970 / 王陽明と明末の儒学 / 明徳出版社

  13. [단행본] 山下龍二 / 1971 / 陽明学の研究 / 現代情報社

  14. [단행본] 今井宇三郞 / 1974 / (解説) 周海門((解説) 周海門) / 明徳出版社

  15. [단행본] 小島毅 / 1996 / 中国近世における礼の言説 / 東京大学出版会

  16. [단행본] 三木聰 / 2002 / 明清福建農村社会の研究 / 北海道大学図書刊行会

  17. [단행본] 山口久和 / 1998 / 章学誠の知識論 / 創文社

  18. [단행본] 岡田武彦 / 2005 / 劉念台と許敬菴(劉念台文集) / 明徳出版社

  19. [단행본] 福田殖 / 1995 / 「明儒学案」成立に関する一考察(中国哲学論集 二十一) / 九州大学中国哲学研究会

  20. [학술지] 中純夫 / 2002 / 劉宗周の陽明学観について―書牘を中心として / 陽明学 (十四)

  21. [단행본] 森宏之 / 2001 / 陳白沙と明初の思想界(中国哲学論集 二十七) / 九州大学中国哲学研究会

  22. [단행본] 宋正洙 / 1970 / 中国近世郷村社会史研究―明清時代 郷約保甲制의 形成과 展開 / 혜안

  23. [학술지] 신현승 / 2006 / 劉宗周의 思想變遷에 관한 考察 / 양명학 (17) : 5 ~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