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擊蒙要訣』을 통해 본 율곡의 문화계몽 의미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of Yulgok’s Cultural Enlightenment through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동서철학연구
약어 : S.P.E.W
2016 no.82, pp.125 - 144
DOI : 10.15841/kspew..82.201612.125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동서철학회
216 회 열람

본 논문은 율곡의 말년 저작에 해당하는 『격몽요결(擊蒙要訣)』에서 강조되고 있는 지행합일(知行合一)의 실천론을 문화적인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것은 문화적인 관점에서 禮敎의 일상화가 가지는 의미를 율곡의 사상 속에서 파악하는 것이기도 하다. 정치, 경제 및 사회사상 전반에 걸친 개혁의 정신을 강조했던 율곡은 정계에서 은퇴한 시점에 禮敎의 일상적 실천성을 강조하는 『擊蒙要訣』을 집필하며 후학양성에 대한 중요성을 역설한다. 이것은 유학자인 동시에 경세가로서 오랜 기간 동안 국정에 참여했던 율곡의 정치철학이 『擊蒙要訣』을 통해 새롭게 제시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율곡은 구체성을 가지는 현실에 대한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마음의 지각활동을 중심으로 인간 행위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함께 人倫에 기초한 儀禮의 일상적 행위성을 강조한다. 또한 율곡은 誠實에 기초한 올바른 儀禮 문화의 창달을 통한 인간 의식의 계몽을 사회적으로 확장 가능한 행위성을 촉발시키는 사회 계몽의 토대로 인식한다. 이 점에서 올바른 儀禮 문화의 형성을 위해 율곡이 강조하는 일상성과 誠實, 그리고 이러한 논의에 수반되는 立志와 務實에 대한 의미 연구는 『擊蒙要訣』을 통해 새롭게 시도하고 있는 율곡의 사회개혁에 대한 의지를 문화적인 맥락 속에서 고찰하는 계기가 된다.

This research focuses on cultural consideration over a practice theory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contained in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This approach takes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ideas to examine GyeokMongYoGyeol that suggests through a practical theory of Yegyo a new way towards an ideal society based on Yulgok’s political philosophy.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analyze Ye’s values and meanings reflected in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comparing to traditional ones in Confucianism. With this, how Yulgok’s practical theory of Yegyo(禮敎) is interpreted and realized in everyday life culture is studied. Yulgok’s practical theory is to explain practicality of action not only built on an empirical and substantial understanding but also realized in everyday life as a extended process of the social. The study eventually is a part of scholarly process to explore whether Yulgok’s Yegyo theory is able to be interpreted in terms of a perspective of culture theory containing social meanings.

지행합일(知行合一), 『격몽요결(擊蒙要訣)』, 예교(禮敎), 일상, 문화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知行合一),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Yegyo(禮敎), Everyday Life, Cultural

  • 1. [기타] / 經書
  • 2. [기타] / 栗谷全書, 「擊蒙要訣」
  • 3. [기타] / 栗谷全書, 「答成洁原」
  • 4. [기타] / 栗谷全書, 「四子言誠疑」
  • 5. [기타] / 栗谷全書, 「聖學輯要」
  • 6. [기타] / 栗谷全書, 「語錄」
  • 7. [기타] / 退溪全書, 「答李達李天機」
  • 8. [단행본] 김영두 / 2011 / 퇴계 vs 율곡 누가 진정한 정치가인가 / 위즈덤하우스
  • 9. [단행본] 정재훈 / 2005 / 조선전기 유교 정치사상 연구 / 태학사
  • 10. [단행본] 리기용 / 2006 / 율곡 이이 사상과 철학의 이해 1 / (사)율곡학회
  • 11. [학술지] 박종천 / 2014 / 일상의 성화(聖化)를 위한 유교적 의례화 –율곡 이이의 예학적 구상- / 유학연구 / 31 : 25 ~ kci
  • 12. [단행본] 삐에르 부르디외 / 2006 / 구별짓기 :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 / 새물결
  • 13. [단행본] 손영식 / 2013 / 조선의 역사와 철학의 모험 / UUP
  • 14. [학술지] 이상호 / 1994 / 부르디유의 새로운 사회이론 `하비투스`와 `상징질서`를 중심으로 / 언론과사회 / 5
  • 15. [단행본] 이종성 / 2006 / 율곡 이이 사상과 철학의 이해 2 / (사)율곡학회
  • 16. [단행본] 피터 K. 볼 / 2008 / 중국 지식인들과 정체성 / 북스토리
  • 17. [단행본] 황금중 / 2006 / 율곡 이이 사상과 철학의 이해 2 / (사)율곡학회
  • 18. [단행본] 황의동 / 1998 / 율곡 사상의 체계적 이해 2 / 서광사
  • 19. [단행본] Tu Wei-ming / 1985 / Reprinted inidem, Confucian Thought: Selfhood as creative Transformation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