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우암과 화서의 학문적 관계 연구-심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ademic Relationship between U-am and Hwaseo: Focused on theory of mind

동서철학연구
약어 : S.P.E.W
2019 no.93, pp.443 - 462
DOI : 10.15841/kspew..93.201909.443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동서철학회
인용한 논문 수 :   -  
108 회 열람

화서 이항로는 직접적인 사승 관계없이 스스로 학문을 이룬 사상가이다. 하지만 그는 공자-주자-송자로 이어지는 학문적 도통관을 주장함으로써, 사실상 자신의 학문적 뿌리를 우암에 두었다. 우암과 화서의 학문적 성격은 표면적으로 이질적이다. 왜냐하면 우암은 율곡의 ‘심시기’를 계승한 주기적 성향의 학문에 속하는 반면, 화서는 ‘심고리’를 내세운 주리론자이기 때문이다. 그런 까닭에 그동안 우암과 화서의 관계 연구는 주로 화이 사상과 척사 정신에 집중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우암과 화서의 구체적인 학문 관계를 조명한다. 특히, 우암과 화서의 학문을 주기와 주리로 대치하게 한 심설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화서가 우암의 “심을 기로써 말한 것도 있고, 리로써 말한 것도 있다.”는 강령을 충실히 계승한 점에 주목한다. 그리고 여기서 우암과 화서가 ‘기로써 말한 것’과 ‘리로써 말한 것’의 가리키는 바가 각각 다르다는 간재의 주장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특히, 우암이 『맹자』 <호연장>을 해석하면서 심을 리로써 말한 부분을 논지 전개의 중요한 근거로 삼는다. 심을 리로써 말한 것의 근본이 우암과 화서 모두 기에 대한 리의 주재에 있기 때문이다.

Hwaseo Yi Hang-ro is a thinker who achieved his own learning regardless of his direct education from teachers. However, he has virtually taken his academic roots as U-am by insisting on an academic view of the orthodoxy of Neo-Confucianism that leads to Confucius, Zhu Xi, and Song Si-Yeol. U-am and Hwaseo's academic characteristics are ostensibly disparate. For U-am belongs to the school focused on Ch'I (氣), which inherited the ‘Xin is Ch'i[心是氣]’ of Yulgok, while Hwaseo emphasizes to the theory of focused on Li (理), which claimed the ‘Xin is essentially Li [心固理]’. So,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U-am and Hwaseo has focused mainly on Hwaee(華夷) thought and the spirit of Cheoksa(斥邪). But in this study, we reveal the specific academic relationship between U-am and Hwaseo. In particular, the study centers on the ‘Xin theory[心說]’ of separating the studies of U-am and Hwaseo into ‘the focusing on Ch'i[主氣]’ and ‘the focusing on Li[主理]. Specifically, the study notes that Hwaseo faithfully inherited the doctrine "Xin can speak as Ch'i or Li." of U-am. And here it critically examines Ganje's claim that U-am and Hwaseo have different pointing points for ‘what is said as Ch'i’ and ‘what is said as Li’. In particular, the part where U-am said Xin as Li in interpreting on Haoran Chapter by Mencius is an important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argument. Because the root of what Xin said as Li lies in the presider of Xin, both U-am and Hwaseo.

우암, 화서, 심시기, 심고리, 주재.
U-am(尤庵), Hwaseo(華西), ‘Xin is Ch'i[心是氣]’, ‘Xin is essentially Li[心固理]’, preside(主宰).

  • 1. [기타] / 論語
  • 2. [기타] / 孟子
  • 3. [단행본] 宋時烈 / 1982 / 宋子大全 / 민족문화추진회
  • 4. [단행본] 李柬 / 1976 / 조용승가
  • 5. [단행본] 李珥 / 1995 / 栗谷先生全書 / 민족문화추진회
  • 6. [단행본] 李恒老 / 1974 / 華西先生文集 / 화서선생문집간행위원회
  • 7. [단행본] 李滉 / 2003 / 退溪先生文集 / 퇴계학연구원
  • 8. [단행본] 田愚 / 1999 / 艮齋先生文集 / 간재선생문집간행위원회
  • 9. [단행본] 朱熹 / 1983 / 御纂朱子全書 / 臺灣商務印書館
  • 10. [단행본] 朱熹 / 2007 / 朱子語類 全八冊 / 中華書局
  • 11. [단행본] 朱熹 / 1998 / 晦庵先生 朱文公文集 / 중앙도서
  • 12. [단행본] 朱熹 / 1987 / 晦庵集 / 商務印書館
  • 13. [단행본] 韓元震 / 1987 / 南塘先生文集 / 경인문화사
  • 14. [단행본] 배종호 / 1997 / 한국유학사 / 연세대학교출판부
  • 15. [단행본] 현상윤 / 2010 / 조선유학사 / 심산
  • 16. [학술지] 문석윤 / 2009 / 조선 후기 성리학에서 『맹자(孟子)』 ‘호연장(浩然章)’ 논란과 그 의의 - 송시열(宋時烈)의 「호연장질의(浩然章質疑)」를 중심으로 - / 한국문화 (47) : 3 ~ 47 kci
  • 17. [학위논문] 박성순 / 2003 / 화서 이항로의 심주리설과 척사론 연구: 조선후기 기호노론 낙학파 심설의 전승과 관련하여
  • 18. [학술지] 윤용남 / 2001 / 화서 이항로의 척사위정론에 대한 철학적 해석 / 우암논총 / 5
  • 19. [학술지] 이상익 / 2005 / 華西 李恒老의 主理論과 退溪學 / 퇴계학보 (117) : 1 ~ 117 kci
  • 20. [학술지] 이상익 / 2001 / 우암 송시열의 역사의식과 화서학파 / 우암논총 / 5
  • 21. [학술지] 황의동 / 2010 / 화서 이항로의 의리론과 주리론 / 화서학논총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