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논문의 목표는 환경윤리학의 관점에서 해석할 때 유교사상이 어떤 특성을 갖는가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환경윤리학은 근대의 인간중심적 세계관을 비판하고 자연에 내재적 가치가 존재한다는 비인간중심주의적 가치관을 수립하는데 관심을 집중하였다. 유교사상을 환경윤리학적 관점에서 해석한 연구 성과 역시 예외가 아니다. 주역과 중용으로부터 유기적 전체주의(organic holism)와 유사한 내용을 열거하고 유교사상에도 환경윤리의 전체론과 같은 세계관, 가치관이 있음을 주장하는데서 그친다. 그러나 필자가 보기에 동양철학과 환경윤리학은 단순히 유기적 전체론의 차원에서 벗어나 유교가 갖고 있는 인본주의적 특성을 드러내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필자는 유교의 인본주의적 태도를 환경윤리학적으로 해석하는데 머레이 북친의 사회생태론이 제기한 문제를 상기하고 싶다. 머레이 북친의 사회생태론이 비록 유교적 인본주의와 같은 형태라고 할 수는 없지만 그가 제기한 자연과 인간 및 사회의 상호 관계에 대한 문제는 분명히 전통사회에서 유교가 제기한 문제와 유사한 성격을 갖는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필자는 논문을 통해서 유교의 인본주의가 내포하는 자연과 인간, 그리고 사회가 갖는 관계가 오늘날 환경윤리학에서 어떻게 해석되어야 할 것인가의 해답을 북친의 사회생태론과 비교하여 제기할 것이다.

키워드

유기적 전체주의, 사회생태론, 인본주의, 원리의 윤리학, 덕의 윤리학, 생명윤리, 생명의 경외, 인간중심주의, 비인간중심주의, 내면적 환경윤리, 역동적인 생기론, 인간우주적, 도덕적 형이상학, 자아변화, 윤리적 규칙

참고문헌(16)open

  1. [기타] / 中庸

  2. [기타] / 傳習錄

  3. [기타] / 『正蒙』 ?誠明篇?

  4. [기타] / 『史記』 ?殷本紀?

  5. [기타] / 楊萬里(南宋), 『誠齋集』

  6. [기타] / 王陽明, 『大學問』

  7. [단행본] 한면희 / 1997 / 환경윤리 / 철학과 현실사

  8. [단행본] / Confucianism and Ecology / Harvard University Press

  9. [단행본] 머레이 북친 / 1997 / 사회생태론의 철학 / 솔출판사

  10. [단행본] Joseph R / 1993 / Desjardins, Environmental Ethics / Wadsworth

  11. [기타] / 1984 / AMERICAN PHILOSOPHICAL QUALITY V.21, NUMBER 4, Non-anthropocentric value theory and environmental ethics, 1984

  12. [단행본] J. Baird Callicott / 1992 / Rolston on Intrinsic Value : A Deconstruction / Environmental Ethics 14

  13. [단행본] Tu Wei-ming / 1998 / Confucianism and Ecology / Harvard University Press

  14. [단행본] Tu Wei-ming / 1985 / Confucian Thought.10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5. [학술지] 최일범 / 2007 / 동양철학연구 49

  16. [학술지] 김세정 / 2003 / 환경윤리에 대한 동양철학적 접근: 유가철학을 중심으로 / 범한철학 29 (29) : 57 ~ 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