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논문은 법의 효력에 관한 법철학적 논의를 토대로 하여 북한지역이 형법의 효력이 미치는 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살펴본 글이다. 속지주의를 규정한 형법 제2조는 “본법은 대한민국 영역 내에서 죄를 범한 내국인과 외국인에게 적용한다.”라고 되어 있다. 그런데 여기서 대한민국 영역은 헌법 제3조(영토조항)의 문언에 의할 경우 북한지역도 포함하고 있으므로 북한지역 역시 당연히 형법의 효력이 미치는 장소적 범위에 속한다고 풀이할 수도 있다. 하지만 북한지역에는 형법이 전혀 준수·적용되고 있지 못함(실효성이 없음)을 감안할 때 그러한 해석의 적절성에 대해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이에 대해 필자는 종래의 논의(헌법학계 및 형법학계의 논의)로서는 적절한 대답을 주지 못한다는 문제의식 아래, 일종의 시론적인 시도로서 법의 효력에 관한 법철학적 논의를 연계시킴으로써 나름의 의미 있는 답변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기서는 먼저 헌법 제3조를 둘러싼 헌법적 논의현황(해석론)을 짚어 보고, 아울러 형법 제2조와 관련한 형법적 논의현황(해석론)을 검토해 보았다. 그런 다음, 법의 효력에 관한 법철학적 논의를 개관한 뒤, 특히 (논제와 관련된 쟁점이라 할 수 있는) 법의 효력과 실효성의 관계에 관한 논의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끝으로는 논의의 결과로서 얻은 핵심내용, 즉 대체적으로 실효성을 갖지 못하거나 실효성을 상실한 법체계는 법으로서의 효력을 갖지 못한다는 점에 기초하여 법의 효력 논의가 논제에 관한 헌법적·형법적 논의에 대해 갖는 함의를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헌법 제3조에 근거한 헌법의 효력은 적어도 현재로서는 북한지역에까지 미친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런 점에서 헌법은 통일 이전까지는 북한지역에 대해 잠정적으로 그 효력이 제한된다고 보아야 한다.)과, 영토조항에 관한 이러한 시각을 전제로 할 때, 형법 제2조의 ‘대한민국 영역’ 역시 이를 제한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불가피한바, 현재로서는 북한지역이 형법 제2조에 근거하여 형법의 효력이 미치는 장소적 범위에 포함된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 그것이다.

키워드

법의 효력, 형법의 장소적 효력범위, 실효성, 합법적 실정성, 정당성, 근본규범, 한스 켈젠

참고문헌(54)open

  1. [단행본] 구스타브 라드브루흐 / 2002 / 법철학 / 삼영사

  2. [단행본] 권영성 / 2010 / 헌법학원론 / 법문사

  3. [단행본] 김성돈 / 2009 / 형법총론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4. [단행본] 김성천 / 2012 / 형법총론 / 소진

  5. [단행본] 김영환 / 2012 / 법철학의 근본문제 / 홍문사

  6. [단행본] 김일수 / 1992 / 한국형법Ⅰ[총론 상] / 박영사

  7. [단행본] 김일수 / 2000 / 새로 쓴 형법총론 / 박영사

  8. [단행본] 김일수 / 2014 / 새로쓴 형법총론 / 박영사

  9. [단행본] 김정오 / 2017 / 법철학: 이론과 쟁점 / 박영사

  10. [단행본] 김철수 / 2010 / 헌법학신론 / 박영사

  11. [단행본] 김학성 / 2017 / 헌법학원론 / 피앤씨미디어

  12. [단행본] 박상기 / 2012 / 형법총론 / 박영사

  13. [단행본] 배종대 / 2011 / 형법총론 / 홍문사

  14. [단행본] 성낙현 / 2011 / 형법총론 / 동방문화사

  15. [단행본] 손동권 / 2004 / 형법총론 / 율곡출판사

  16. [단행본] 신동운 / 2008 / 형법총론 / 법문사

  17. [단행본] 오영근 / 2014 / 형법총론 / 박영사

  18. [단행본] 위르겐 하버마스 / 2007 / 사실성과 타당성―담론적 법이론과 민주적 법치국가 이론 / 나남

  19. [단행본] 이상돈 / 2015 / 형법강론 / 박영사

  20. [단행본] 이재상 / 2017 / 형법총론 / 박영사

  21. [단행본] 장영수 / 2011 / 헌법학 / 홍문사

  22. [단행본] 정성근 / 2011 / 형법총론 / 삼영사

  23. [단행본] 정영일 / 2013 / 형법강의[총론] / 학림

  24. [단행본] 정종섭 / 2016 / 헌법학원론 / 박영사

  25. [단행본] 한수웅 / 2014 / 헌법학 / 법문사

  26. [단행본] 한스 켈젠 / 1999 / 순수법학 / 길안사

  27. [단행본] 허영 / 2015 / 한국헌법론 / 박영사

  28. [단행본] 홍성방 / 2008 / 헌법학 / (주)현암사

  29. [학술지] 도회근 / 2006 / 제3조(영토조항)와 제4조(통일조항) / 헌법학연구 12 (2) : 9 ~ 24

  30. [학술지] 권경휘 / 2011 / 켈젠의 규범 일반 이론 ―효력 이론을 중심으로― / 법철학연구 14 (3) : 139 ~ 174

  31. [학술지] 권오걸 / 2006 / 남북한 형사사건의 처리 방안 / 법학논고 (24)

  32. [학술지] 김성규 / 2002 / 형법의 장소적 적용범위에 관한 규정의 내용과 한계 / 형사법연구 (18) : 181 ~ 210

  33. [학술지] 김학태 / 2005 / 법을 통한 과거청산 -법효력에 관한 법철학적 근거- / 외법논집 (18) : 27 ~ 54

  34. [학술지] 도회근 / 2009 / 헌법의 영토조항에 관한 비교헌법적 연구 / 법조 58 (11) : 289 ~ 333

  35. [학술지] 도회근 / 2006 / 헌법의 영토와 통일조항 개정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헌법학연구 12 (4)

  36. [학술지] 변종필 / 1997 / 법의 효력과 근본규범 / 안암법학 5

  37. [학술지] 변종필 / 1999 / 한스 켈젠의 정의관 / 인문사회과학논총 6 (1)

  38. [학술지] 심헌섭 / 1980 / 법의 효력에 관한 연구 / 서울대학교 법학 21 (1)

  39. [학술지] 양천수 / 2010 / 민주적 법치국가에서 본 법규범의 효력근거 -법철학의 관점에서- / 법과사회 (38) : 39 ~ 65

  40. [학술지] Ulfrid Neumann / 2000 / 법 효력의 문제 / 법학논총 (17)

  41. [학술지] 오세혁 / 2004 / 법의 효력영역―시적 효력영역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 5

  42. [학술지] 이계일 / 2010 / 포스트실증주의 법사고와 법효력론 / 법철학연구 13 (2) : 1 ~ 52

  43. [학술지] 이승현 / 2006 / 남북관계의 측면에서 본 개헌논의: 영토조항을 중심으로 / 국가전략 12 (2) : 147 ~ 173

  44. [학술지] 이재승 / 2003 / 법효력의 계속과 차단 / 법철학연구 6 (1) : 27 ~ 50

  45. [학술지] 전경태 / 2016 / 대한민국 헌법의 통일관련 태도의 변천―통일친화적 개헌논의와 관련하여 / 통일법연구 2

  46. [학술지] Joseph Raz / 2010 / 법적 효력 / 법철학연구 13 (2) : 209 ~ 228

  47. [학술지] 최경옥 / 1999 / 한국 헌법 제3조와 북한과의 관계―현실과 판례를 중심으로 / 공법학연구 (창간)

  48. [학술지] 최대권 / 1992 / 한국헌법의 좌표―영토조항과 평화적 통일조항 / 법제연구 2 (1)

  49. [학술지] 최봉철 / 2014 / 법의 효력: 요건과 효과를 중심으로 / 법철학연구 17 (3) : 41 ~ 66

  50. [학술지] Hans Kelsen / 2003 / 법의 효력과 실효성 / 서울대학교 법학 44 (4)

  51. [학술지] 허완중 / 2016 / 한국 헌법체계에 비춘 헌법 제3조의 해석 / 저스티스 154 : 5 ~ 57

  52. [단행본] Ralf Dreier / 1981 / Recht-Moral-Ideologie

  53. [단행본] Robert Alexy / 1992 / Begriff und Geltung des Rechts

  54. [단행본] Walter Ott / 1992 / Der Rechtspositivismus ― Kritische Würdigung auf der Grundlage eines juristischen Pragmatismus / Duncker & Humbl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