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선진시기에 고육력(古六曆) 등 다수의 역법 체계가 존재했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런데 그 중 특히 주력(周曆)과 하력(夏曆)의 논의들이 주가 된 것은, 공자가 지었다고 전해지는 『춘추』에서의 역수 체계와 공자가 직접 제자에게 말했던 “행하지시(行夏之時)”에서의 역수 체계가 서로 다른 것에 따른 의혹으로 불거진 수많은 쟁론들에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동짓달을 세수(歲首)로 하는 주력은 태음력 체계이며 하력은 건인월(建寅月)을 세수로 삼은 절기력(節氣曆) 체계이다. 이 두 가지 역법은 그 세수와 계절명 그리고 태음력과 태양력이라는 분명한 차이가 존재한다. 공자가 위방(爲邦)의 방편으로 하력 이행을 권장했던 근본적인 이유는, 천정(天正)⋅지정(地正)⋅인정(人正)이라는 3정(三正) 중에서 사람이 중시된 인정을 기준해야 한다는 철학적인 우주관에서 출발한 것이 아니라, 농업생산성 향상이라는 현실적인 국가 경제 정책의 중요성을 말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는, 공자가 비록 위정자들에게는 이상적인 도덕적 무결점을 강조한 반면, 대민 정책에 있어서 그가 얼마나 위정자의 현실에 바탕을 둔 책무를 역설하고자 하였는지를 알 수 있는 척도가 되는 것이다.

키워드

춘추(春秋), 왕력(王曆), 주력(周曆), 하력(夏曆), 역법(曆法), 행하지시(行夏之時).

참고문헌(41)open

  1. [기타] / 모공정(毛公鼎) 명문

  2. [기타] / 춘추

  3. [기타] / 춘추좌씨전

  4. [기타] / 주역

  5. [기타] / 예기

  6. [기타] / 대대례기

  7. [기타] / 죽서기년

  8. [기타] / 사기

  9. [기타] / 한서

  10. [기타] / 전한기(前漢紀)』(순열/한)

  11. [기타] / 후한서

  12. [기타] / 이아

  13. [기타] / 맹자

  14. [기타] / 관자

  15. [기타] / 여씨춘추

  16. [기타] / 회남자

  17. [기타] / 백호통의

  18. [기타] / 서경

  19. [기타] 공안국 / 상서주소』

  20. [기타] / 주례

  21. [기타] 정현 / 주례주소

  22. [기타] 허신 / 설문해자

  23. [기타] 단옥재 / 설문해자주』

  24. [기타] / 논어

  25. [기타] 하안 / 논어주소』

  26. [기타] 진상도 / 논어전해(論語全解)

  27. [기타] 주희 / 논어집주

  28. [기타] 진덕수 / 논어집편(論語集編)

  29. [기타] 호병문 / 논어통(論語通)』

  30. [기타] 유종주 / 논어학안(論語學案)

  31. [기타] 김이상 / 자치통감(資治通鑑)

  32. [기타] 고염무 / 일지록(日知錄)

  33. [기타] 강영 / 예서강목(禮書綱目)

  34. [단행본] 김일권 / 2007 / 동양 천문사상, 하늘의 역사』 / 예문서원

  35. [단행본] 大岐正次 / 1987 / 中國の星座の歷史』 / 雄山閣

  36. [단행본] 조셉니담 / 1988 / 중국의 과학과 문명 Ⅰ / 을유문화사

  37. [단행본] 荒川紘 / 2005 / 東と西の宇宙觀-東洋篇』 / 紀伊國屋書店

  38. [학술지] 서정화 / 2016 / 고대 종묘제도의 左祖右社와 前廟後寢 설에 대한 일고찰 / 동양고전연구 (62) : 231 ~ 262

  39. [학술지] 서정화 / 2012 / 古代 中國의 28宿와 12次이론의 起源 ― 東洋 古典에 보이는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퇴계학논총 (20) : 155 ~ 186

  40. [학술지] 서정화 / 2016 / 殷周代 上帝 관념과 周代 禘 의례의 관련성 및 그 변화 양상 - 先秦時期 宗廟 儀禮에 대한 궁구 과정에서 / 대동문화연구 (95) : 5 ~ 32

  41. [학술지] 서정화 / 2017 / 『春秋』王曆① - 宋代 이후 春秋曆數의 改月⋅改時 논의에 대한 小考 / 동양고전연구 (67) : 345 ~ 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