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늙음의 현상과 여성주의 윤리

Aging and Feministic Ethics

동서철학연구
약어 : S.P.E.W
2009 no.51, pp.299 - 322
DOI : 10.15841/kspew..51.200903.299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동서철학회
243 회 열람

본 논문은 늙음의 현상들에 대한 일반적 견해들을 분석하고 현대 사회에서 일어나는 늙음과 관련된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에 대한 철학적 원리를 검토하고 근본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려는 목표가 있다. 인간은 누구나 나이를 먹는다. 시간은 인간에게 죽음의 지형도와 같은 주름이라는 흔적을 남긴다. 늙음은 죽음과 아름다움의 이미지와 관련하여 부정적으로 생각되어왔다. 시간적으로 늙음은 죽음과 인접해 있을 뿐만 아니라 아름다움을 파괴한다. 그래서 인간은 늙음을 부정하고 젊음의 신화에 집착해 왔다. 현대 자본주의 사회는 젊음의 기호와 이미지들을 상품화하는 소비전략을 확산하여 늙음이 자연적 현상이 아니라 치유의 대상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늙음 자체는 질병이 아니며 늙음을 질병으로 생각하거나 늙음 자체를 부정하는 생각이 질병이다. 현대 사회가 늙음을 부정하면서 성형과 다이어트 등 과도한 육체 숭배주의가 발생하고 자아분열적인 정신 병리현상에도 불구하고 늙음의 현상을 보다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첫째, 우리가 나이 들어간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자기 자신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둘째, 늙음의 현상을 인정하고 자기 자신의 정체성을 재확립하고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새로운 삶의 의미를 창출하여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방식으로 노년의 삶을 재구조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한국 사회의 노인 문제를 단지 개인이나 가족에게 전담시킬 때 발생하는 억압과 소외는 보살핌의 사회화를 통해 해결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 그것은 특수한 복지 정책에 국한되지 않고 보편적 복지 정책을 나아갈 때 사회구성원들 간의 억압적 구조를 최소화할 수 있고 가능한 최상의 보살핌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treatise is aimed to analyze the views on phenomena of aging and contemporary problems of aging, and to argue the main principles of caring ethics and its socialization as a fundamental solution. Everyone is aging. Time left any wrinkles to human's face. It seems that many people has thought negatively about aging. Aging is in front of death, and associated with it. Moreover, it destroys gradually the beautiful things. So human has denied the aging and adhered the myth of beauty. At the present times, it has been expanded the consumption strategy selling symbols and images of the youth in the capitalistic society. They said that aging is not natural state but object of therapy. It is known as anti-aging argument. But aging is not a kind of diseases in itself. If you think so truly, or if you deny aging itself, then it is just a kind of diseases. We need to conceive aging positively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ceive what we are aging as 'self-recogni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and re-create self identity. Third,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and reorganize the life of old age by creating a new meaning of life in more active manner. In korea society, the old's problems can be resolved through socialization of caring. If it is wholly responsible for an individual or a family, it occurs another social oppression and alienation. It has to restrict not to specific social welfare policies, but to go toward universal social welfare policies. If so, we can minimize oppressive social system and structure among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higher caring.

시간, 늙음, 아름다움, 타자, 보살핌
time, aging, beauty, the other, caring

  • 1. [학술지] 마경희 / 2005 / 사회권으로서 돌봄의 제도화를 위한 대안적 패러다임 모색 / 여성과 사회 / 16
  • 2. [단행본] 또 하나의 문화 편집부 / 2001 / 여성의 몸, 여성의 나이 / 또 하나의 문화
  • 3. [단행본] 시몬 드 보부아르 / 2002 / 노년: 나이 듦의 의미와 그 위대함 / 책세상
  • 4. [학술지] 이동옥 / 2005 / 노인여성의 의존자로서 지위와 보살핌을 받을 권리 / 여성건강 / 6 (2)
  • 5. [학술지] 이재경 / 2002 / 중년기 여성의 생애 과정과 노년 / 가족과 문화 / 14 (3) : 3 ~ 3 kci
  • 6. [단행본] 칸트 / 2005 / 아름다움과 숭고함의 감정에 관한 고찰 / 책세상
  • 7. [단행본] 태혜숙 / 1998 / 몸의 정치, 성차의 윤리 in: 여/성이론 / 여이연
  • 8. [학술지] 최현진 / 2005 / 중년 여성의 성형수술 경험을 통해 본 여성의 나이듦 / 여성건강 / 6 (1)
  • 9. [단행본] 한국여성연구소 / 2005 / 여성의 몸: 시각, 쟁점, 역사 / 창비
  • 10. [단행본] 한국여성철학회 / 2001 / 여성의 몸에 관한 철학적 성찰 / 철학과 현실사
  • 11. [학술지] 허라금 / 2005 / 성주류화정책 패러다임의 모색: '발전'에서 '보살핌'으로 / 한국여성학 / 21 (1) : 199 ~ 1 kci
  • 12. [학술지] 허라금 / 2006 / 보살핌의 사회화를 위한 여성주의의 사유 / 한국여성학 / 22 (1) : 115 ~ 1 kci
  • 13. [단행본] Bartky, Sandra Lee / 1988 / Foucault, Feminity and the Modernization of Patriarchal Power / Northstern Up
  • 14. [단행본] Bernard, M. / 2000 / Women Ageing in: 여성의 나이 듦에 대한 이해 / 경문사 : 2003
  • 15. [단행본] Bordo, Susan / 1995 / Unbearable Weight: Feminism, Werstern Culture and the Body in: 참을 수 없는 몸의 무거움 / 또하나의 문화 : 2003
  • 16. [단행본] Bordo, Susan / 1997 / The Body and the Reproduction of Femininity in: Writing on the Body: Female Embodiment and Feminist Theory / Columbia Up
  • 17. [단행본] Butler, Judith / 1990 / Gender Trouble: Feminism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 / Routledge
  • 18. [단행본] Butler, Judith / 2003 / Bodies that matter: on the discursive limits of "sex" in: 의미를 체현하는 육체; “성”의 담론적 한계들에 대하여 / 인간사랑
  • 19. [단행본] Grotz, Elisabeth / 1989 / 뫼비우스 띠로서 몸 / 여이연 : 2001
  • 20. [단행본] Hannelore Shlaffer / 2005 / Das Alter in: 노년의 미학 / 경남대학교 출판부
  • 21. [단행본] Jeffrey R. Russell / 1980 / History of Witchcraft in the Middle Ages: Sorcerers, Heretics, and Pagans in: 마녀의 문화사 / 르네쌍스 : 2001
  • 22. [단행본] Kant, E. / 2005 / Beobachtungen uber das Gefuhl des Schonen und Erhabenen in: 아름다움과 숭고함의 감정에 관한 고찰
  • 23. [단행본] Katie Conboy et / 2001 / Writing on Body: Female Embodiment and Feminist Theory in: 여성의 몸, 어떻게 읽을 것인가? / 한울
  • 24. [단행본] Kerenyi, Karl / 1951 / The Gods of the Greeks / Thames and Hudson
  • 25. [단행본] Kerenyi, Karl / 1959 / The Heroes of The Greeks / Thames and Hudson
  • 26. [학술지] Kittay, Eva Feder / 2002 / Love's Labor Revisited / Hypatia / 17 (3)
  • 27. [단행본] Kittay, Eva Feder / 1998 / Social Policy in A Companion to Feminist Philosophy / Blackwell
  • 28. [단행본] Noddings, Nel / 2002 / Starting at Home: Caring and Social Policy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29. [단행본] Noddings, Nel / 1984 / Caring: A Feminine Approach to Ethics and Moral Education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30. [단행본] Panofsky, Erwin / 2002 / Studies in Iconology in: 도상해석학연구 / 시공사
  • 31. [단행본] Ramazanoglu, Caroline / 1993 / Up Against Fouault in: 푸코와 페미니즘 / 동문선 : 1997
  • 32. [단행본] Waltraud Posch / 2001 / Korper machen Leute; Der Kult die Schonheit in: 몸, 숭배와 광기
  • 33. [단행본] Wollstonecraft, Mary / 1975 /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Women / Kramn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