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2010년대 북한 소학교 교육의 전개와 특징에 대한 연구

The Research of Development and Feature of N. Korean Elementary Education in 2010s

倫理硏究
약어 : -
2013 vol.1, no.88, pp.273 - 299
DOI : 10.15801/je.1.88.201303.273
발행기관 : 한국윤리학회
연구분야 : 학제간연구
Copyright © 한국윤리학회
268 회 열람

2010년대 들어와 북한은 김정일에서 김정은 정권으로 이양되었다. 새로 출범한 김정은 정권은 집권 첫해인 2012년 5월부터 소학교를 방문하며 아동교육에 대한 관심을 이례적으로 표명하였다. 특히 북한교육 부문에 있어서 가장 특징적인 변화는 최고인민회의(2012.9.25)를 통해 ‘전반적 12년제 의무교육’을 선포한 것이다. 이는 1972년의 ‘전반적 11년제 의무교육’에 이어 40년 만에 변경된 것이다. 북한의 초등교육 기관인 ‘소학교’가 기존 4년제에서 5년제로 늘어나서 국제 표준 12년제 교육학제가 설정하게 된 것이다. 이처럼 최근 2010년대의 북한 소학교 교육은 매우 주요한 변화 상황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북한 당국은 스스로 교육에 대한 현대화를 부각하는 방법을 추구하고 있다. 교육에 대한 현대화는 컴퓨터 교육이나 영어 등의 외국어에 대해 더욱 더 관심을 부여하는 점이다. 아직도 북한은 기존의 정치사상교육에 대해서도 주목하고 있으며, 다양하게 변화된 교육 체제나 교수방법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가 2010년대 전후하여 북한 소학교 교육에 발현되고 있는 것은 북한의 교육적 상황에 대한 일단 개선을 시도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북한에서 발행되는 2009년 이후의 『인민교육』과 2008년 이후의 『교원선전수첩』 그리고 『조선중앙년감』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물론 이 자료들은 북한교육을 선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 내용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오늘날 북한 소학교 교육을 동태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 소학교 교육의 현상과 실제에 대해 가감 없이 분석을 통해 북한 교육의 실제 속에서 북한사회를 파악하여야 한다는 것을 거듭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Entering into year 2010s, North Korea was engaged in the administration tranfer from Kim Jung-il to Kim Jung Eun. Since the beginning of rulling, Kim Jung Eun paid especial attention to elementary education and expressed by visiting schools. Plus, he held the Chosun Youth Scout 66 Celebration (6.6) in a such a scale there could be no comparison before and personally give 10 minutes speech. The noticeable change after the celebration is 12 year compulsory education passed by North Korean Supreme People's Assembly (9.25). It has been over 40 years, since 1972, the N. Korean took further step from 11 year compulsory education. The change is basically 5 years of elementary education from previous system of 4. In recent 2010s, North Korean education, viewed through significant changes, is pursuing the way North Korean authority can highlight the modernization of education and pre-exsisted pride. Modernization of education direct its focus into computer education and foreign languages ​​such as English and leading it to new changes. This movement also seems to seek for understanding of economic knowledge. Meanwhile, the pre-existed political and ideological education are enforced with newly adapted teaching method and emphasizes the educational purpose. Even through these educational purposes, it creates strong paradox as the system still emphasizes the powerfulness of socialist nation. Based on these various contexts, the author is to understand the North Korean Education around 2010s. To pursue its purpose, we need thorough understanding of "People's Education, 2009", Teacher's Handbook, 2008", and "Annual Issue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ose materials contains contents of N. Korean's propaganda but still can be used to understand N. Korean's educational status. Through this paper, there shall not be any addition or subtraction on N. Koreans education analysis and provide deep understanding of their education standing and programs.

김정은 정권, 소학교, 12년제 의무교육, 12년 교육학제, 인민교육, 교원선전수첩
noticeable change, People's Education, N. Koreans education analysis, political and ideological education

  • 1. [단행본] 이범웅 / 2007 / 통일시대의 북한학 / 양서원
  • 2. [보고서] 임창복 / 2010 / 당 정책사와 함께 가는 북한 교육의 변천사
  • 3. [단행본] 정성장 / 2011 / 현대 북한의 정치 / 한울아카데미
  • 4. [단행본] 차종환 / 2009 / 이것이 북한교육이다 / 나산출판사
  • 5. [학술지] 이인정 / 2012 / 김정은 시대 북한의 교육 전망 / Unizine / 095 (12)
  • 6. [단행본] 조정아 / 2010 / 북한의 일상생활세계 / 한울아카데미
  • 7. [단행본] 히라이 히사시 / 2012 / 북한의 권력구조와 후계 김정은 체제 / 한울아카데미
  • 8. [기타] 강정숙 / 2009 / 민속무용보급사업에 나서는 몇가지 문제 / 인민교육 주체98(2009)년제3호.
  • 9. [기타] 공인세 / 2009 / 새로 편찬된 소학교 도화교재취급에서 나서는 몇가지 문제 / 인민교육 주체 98(2009)년 제3호
  • 10. [기타] 곽호웅 / 2009 / 소학교 학생들의 어휘련상에서 나타나는 특가지 특성 / 인민교육 주체98(2009)년 제2호
  • 11. [기타] 김은희 / 2009 / 사회주의도덕과목교육의 력사적시원 / 교원선전수첩 주체98(2009)년제2호
  • 12. [기타] 김정희 / 2010 / 체육활동과 지능발달 / 인민교육 주체99(2010)년 제5호
  • 13. [기타] 량은숙 / 2010 / 지능교육리론 사고능력과 문법교육 / 인민교육 99(2010)년 제1호
  • 14. [기타] 리길만 / 2010 / 체육수업의 일반적단계와 그에 따른 운동 조직 / 인민교육 주체 99(2010)년 제5호
  • 15. [기타] 리명철 / 2010 / 소학교 자연교재에서 취급하는 약용식물들의 분류 및 생물학적특성 / 교원선전수첩 주체99(2010)년
  • 16. [기타] 리용춘 / 2010 / 소학교 학생들의 시각적특성에 맞는 직관물제작에서 나서는 요구 / 교원선전수첩 주체99(2010)년 제2호
  • 17. [기타] 리희복 / 2009 / 국어과목에서 어휘교육을 통한 지능교육방법 / 평양청류소학교 주체 98(2009)년 제1호
  • 18. [기타] 박순영 / 2010 / 소학교 학생들에게 집단주의적인 생활습관을 키워주기 위한 교양 / 교원선전수첩 주체99(2010)년
  • 19. [기타] 방은주 / 2009 / 혁명전설을 통한 교양을 강화하는것은 학생들에게 수령에 대한 흠모심을키워주는데서 나서는 중요한 요구 / 교원선전수첩 98(2009)년 제3호
  • 20. [기타] 백정광 / 2011 / 소학교 자연과목교수를 통하여 학생들이 탐구력을 키워주기 위한 방법 / 인민교육 주체100(2011)년 제3호
  • 21. [기타] 본사기자 / 2009 / 선군시대의 일본새로-흥원군 흥원소학교 교장 김선희동무- / 인민교육 주체 98년(2009년) 제1호
  • 22. [기타] 본사기자 / 2011 / 시대와 력사를 같이하는 집단으로 되기까지 ”곽산군 영예의 붉은기 관산소학교 교장 김영춘동무의 사업에서- / 인민교육 주체 100(2011)년제1호
  • 23. [기타] 본사기자 / 2009 / 일군의 헌신성과 실적-순천시 2중영예의 붉은기 순천소학교 교장 박도경동무- / 인민교육 주체 98(2009)제2호
  • 24. [기타] 본사기자 / 2011 / 자질향상에 계속 큰 힘을 -2중영예의 붉은기 화원소학교에서- / 인민교육 주체100(2011)년 제3호
  • 25. [기타] 본사기자 / 2011 / 학교사업을 혁신시킨 교장의 세가지 견해- 덕성군 덕성소학교 교장 리춘단동무의 사업에서- / 인민교육 주체100(2011)년 제3호
  • 26. [기타] 본사기자 / 2011 / 학교의 제일가는 사람 -의주군 먹현소학교 교원들- / 인민교육 주체100(2011)년 제4호
  • 27. [기타] 본사기자 / 2011 / 혁명의 성지에 마음의 숨결을 잇고-함주군 동봉소학교 교원 박영애동무- / 인민교육 주체100(2011)년 제2호
  • 28. [기타] 송영숙 / 2010 / 에돌리길이 아니라 지름길이였다. / 인민교육 주체99(2010)년 제5호
  • 29. [기타] 승병국 / 2010 / 자연관찰수업의 효과성을 높이자면 / 인민교육 주체99(2010)년 제4호
  • 30. [기타] 오성철 / 2011 / 보여주기를 통하여 교원들의 교수방법적자질을 높이자면 / 인민교육 100(2011)년 제4호
  • 31. [기타] 유정순 / 2011 / 수령복속에 나의 삶이 꽃폈습니다 / 인민교육 주체100(2011)년 제2호
  • 32. [기타] 위창도 / 2010 / 글짓기를 통한 위대성교양의 효과- 2중영예의 붉은기 평양류경소학교 교권 정화성동무의 학생교양사업에서- / 인민교육 주체99(2010)년 제2호
  • 33. [기타] 작자 미상 / 2009 / 사설-새로운 혁명적대고조의 봉화를 높이 들고 후대교육사업에서 혁명을 일으키자 / 인민교육 주체98(2009)년 제1호
  • 34. [기타] 조선중앙통신사 / 2009 / 2008 조선중앙년감 / 조선중앙통신사
  • 35. [기타] 조선중앙통신사 / 2010 / 2009 조선중앙년감 / 조선중앙통신사
  • 36. [기타] 조선중앙통신사 / 2011 / 2010 조선중앙년감 / 조선중앙통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