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다산 당시 서학(西學)은 성리학적 인륜질서를 해체시키는 사학(邪學)으로 인식되었다. 역설적이지만, 오늘날에는 같은 이유로 서학이 중세 봉건질서를 내부적으로 해체시킨 근대적 사상의 맹아(萌芽) 내지는 단초를 제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리고 다산은 그것과 관련한 논란의 가운데 서 있었고, 지금도 그렇다. 다산은 유배 이전에 두 번의 상소를 통해 서학 관련 논란을 비껴가려고 했다. 특히, 「변방사동부승지소(辨謗辭同副承旨疏)」는 2861자에 달하는 긴 상소로서, 여기서 다산은 당시 서학에 관한 논의들을 일별하면서, 자신이 그와는 무관함을 일관된 논리로 밝혔다. 다산의 논리는 이렇다. 그는 동전한문서학서(東傳漢文西學書)를 통하여 보유론적(補儒論的) 서학을 유학의 한 분파로 이해했다. 그런데 동전한문서학서는 실용실학의 신학(新學)과 유학적 외피로 포장된 호교론서이므로, 실용실학의 면에서는 얻은 것이 없었고, 다만 호교론 면에서 유학의 수양론과 유사한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하지만 폐제사의 문제가 유학의 수양론과는 배치된다는 점을 깨닫게 되어 서학과의 일체 관계를 끊었다. 우리는 다산의 이 일관된 논리를 ‘변명’으로 이해한다. 왜냐하면 다산 당시의 서학논의의 주요쟁점을 ‘근대성과 실용성’에 주안점을 둔 오늘날의 관점으로 이해하기 때문이다. 다산 당시 서학논의 가운데 폐제사 문제가 주요 쟁점이 되었던 까닭은 그것이 성리학적 질서에 중대한 위협이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사실 오늘날 실학파와 서학에 대한 담론도 여기에 집중하여 서학이 차지하는 의미를 과장하는 면이 없지 않다. 그러나 보유론적 서학에 의해 빚어진 혼란의 책임이 일관된 선교방침을 유지하지 못했던 데 있음을 고려한다면, 한국철학에서 서학이 차지하는 의미 무게를 과장하는 일은 경계해야 할 것이다.

키워드

다산학(茶山學), 성리학(性理學), 주자(朱子), 정약용(丁若鏞), 서학(西學), 근대성(近代性), 실학(實學)

참고문헌(24)open

  1. [기타] / 順菴文集文集

  2. [기타] / 與猶堂全書

  3. [기타] / 朝鮮王朝實錄

  4. [단행본] / 1987 / 四書五經 上·中·下 / 北京市中國書店

  5. [단행본] 금장태 / 1987 / 韓國實學思想硏究 / 集文堂

  6. [학술지] 김기승 / 2005 / 다산 정약용의 부국강병형 국가 개혁 사상―『경세유표』를 중심으로― / 韓國史學報 (19) : 61 ~ 93

  7. [단행본] 김옥희 / 1991 / 韓國天主敎思想史Ⅱ-茶山 丁若鏞의 西學思想硏究 / 순교의 맥

  8. [단행본] 김준석 / 2003 / 朝鮮後期 政治思想史 硏究-國家再造論의 擡頭와 展開 / 지식산업사

  9. [학술대회] 송재소 / 2006 / 동아시아 실학연구가 가야 할 길-韓國의 實學硏究와 관련하여 / 제9회 아시아국제실학학술회의발제논문

  10. [학술지] 신용철 / 1994 / 李卓吾와 마테오 리치의 交友에 관하여 / 明淸史硏究 3

  11. [학술지] 안외순 / 2000 / 丁若鏞의 사상에 나타난 西學과 儒學의 만남과 갈등-자유주의 수용의 前史 / 정치사상연구 (2)

  12. [학술지] 유초하 / 2007 / 정약용철학의 상제上帝 개념에 관한 이견들과 그에 담긴 오해들 / 한국철학논집 (20) : 189 ~ 219

  13. [학술지] 이광호 / 2003 / 上帝觀을 중심으로 본 儒學과 基督敎의 만남 / 유교사상연구 (19) : 533 ~ 566

  14. [단행본] 이병도 / 1989 / 韓國儒學史 / 아세아문화사

  15. [학위논문] 이원희 / 2003 / 東學의 侍天主思想에 관한 硏究

  16. [학술지] 이을호 / 1963 / 丁茶山의 經學思想硏究抄錄 / 延世大 東方學誌 (6)

  17. [단행본] 趙珖 / 1990 / 朝鮮後期 天主敎史 硏究 /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18. [학위논문] 崔基福 / 1989 / 儒敎와 西學의 思想的 葛藤과 相和的 理解에 關한 硏究-近世의 祭禮問題와 茶山의 宗敎思想에 關聯하여

  19. [단행본] 한국교회사연구소 / 1989 / 만남과 믿음의 길목에서 / 한국교회사연구소

  20. [학술지] 한자경 / 1999 / 18세기 조선 유학자들의 『천주실의』 비판 / 철학연구 69

  21. [단행본] 전주대학교 호남학연구소 / 1986 / 國譯與猶堂全書 / 여강출판사

  22. [단행본] 정병련 / 1994 / 茶山 四書學硏究 / 景仁文化社

  23. [단행본] 최동희 / 1988 / 西學에 對한 韓國 實學의 反應 / 高大民族文化硏究所 出版部

  24. [단행본] C. Dallet / 1979 / 韓國天主敎會史 / 분도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