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에서는 왕부지 四書學의 형성과정과 淸代 實學으로의 전환과정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왕부지 經學과 本體論의 내재적 연관성을 살펴보고, 經世論 및 修養論의 성격을 검토하였다. 明朝의 遺臣이었던 왕부지의 철학사상은 大義名分的 성격이 매우 강하다. 따라서 그의 경세론은 강한 민족의식에 기초하고 있으며, 經世致用을 통해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겠다는 염원이 담겨있다. 이에 왕부지는 새로운 세계관의 필요성을 자각하고 張載의 氣哲學을 계승하여 氣一元論을 완성했다. 기일원론을 토대로 왕부지는 宋明理學과 老佛을 비판하고, 儒學의 오래된 과제였던 ‘道德과 經世’의 合一을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왕부지는 ‘존재하지만 움직이지 않는 우주’라는 程朱學의 본체론을 비판하고, ‘움직이는 우주 본체’라는 새로운 세계관을 제시했다. 이를 바탕으로 왕부지는 지식보다 실천을 강조한 새로운 경학방법론과 수양론을 완성하였다. 현실개혁에서 출발한 왕부지의 비판의식은 결국 宋明理學에 대한 비판을 거쳐 인간의 능동적 실천을 강조하는 경세론과 수양론으로 발전하였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왕부지의 四書學은 실용성을 강조한 청대 실학으로의 전환기 사상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王夫之, 四書學, 經世論, 經學, 實學

참고문헌(36)open

  1. [단행본] 船山全書編輯委員會 / 1996 / 船山全書 / 嶽麓書社

  2. [기타] / 「船山全書」, 1冊, 「周易內傳」

  3. [기타] / 「船山全書」, 2冊, 「尙書引義」, 「周易內傳」

  4. [기타] / 「船山全書」, 5冊, 「春秋家說」, 「續春秋左氏傳博議」

  5. [기타] / 「船山全書」, 6冊, 「讀四書大全說」

  6. [기타] / 「船山全書」, 10冊, 「讀通鑑論」

  7. [기타] / 「船山全書」, 12冊, 「張子正蒙注」, 「思問錄」, 「俟解」, 「黃書」

  8. [기타] / 「船山全書」, 15冊, 「薑齋詩話」

  9. [기타] / 「船山全書」, 16冊, 「大行府君行述」

  10. [기타] / 周易

  11. [기타] / 論語

  12. [기타] / 中庸

  13. [기타] / 老子

  14. [기타] / 正蒙

  15. [기타] / 朱子語類

  16. [기타] / 傳習錄

  17. [단행본] 錢穆 / 1979 / 國學槪論 / 商務印書館

  18. [단행본] 山井湧 / 1980 / 明淸思想史の硏究 / 東京大學出版會

  19. [단행본] 湖南省社會科學院 / 1984 / 王船山學術思想討論集 / 湖南人民出版社

  20. [단행본] 錢穆 / 1986 / 中國近三百年學術史 / 中華書局

  21. [단행본] 嵇文甫 / 1987 / 王船山學術論叢 / 谷風出版社

  22. [단행본] 林聰舜 / 1990 / 明淸之際儒家思想的變遷與發展 / 學生書局

  23. [단행본] 松川健二 / 1994 / 論語の思想史 / 汲古書院

  24. [단행본] 張岱年 / 1997 / 大儒列傳 王夫之 / 吉林文史出版社

  25. [학위논문] 林亨錫 / 2000 / 王船山 <周易內傳>硏究

  26. [단행본] 陳來 / 2004 / 詮釋與重建-王船山的哲學精神 / 北京大學出版社

  27. [단행본] 다카다아쓰시 / 1991 / 주역이란 무엇인가 / 여강출판사

  28. [단행본] 프랑스와쥴리앙 / 2003 / 운행과 창조 / 케이시아카데미

  29. [단행본] 안재호 / 2011 / 왕부지철학 / 문사철

  30. [단행본] 왕부지 / 2014 / 왕부지 중용을 논하다 / 소나무

  31. [단행본] 葛兆光 / 2015 / 중국사상사2 / 일빛

  32. [학술지] 유명종 / 1986 / 船山 王夫之의 氣哲學 / 석당논총 11

  33. [학술지] 鄭台燮 / 1997 / 明末淸初 經世學과 淸代 漢學의 內在的理路 / 明淸史硏究 6

  34. [학위논문] 진성수 / 2005 / 왕부지 역학사상에 관한 연구

  35. [학술지] 진성수 / 2010 / 王夫之의 『大學』觀 — ‘大學之道’⋅‘明德’⋅‘心’을 중심으로 — / 동양철학연구 (63) : 79 ~ 105

  36. [학술지] 진성수 / 2013 / 王夫之의 역사와 인간 이해 / 유교사상문화연구 (54) : 153 ~ 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