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새로운 경학과 함께 등장한 유교지식인들은 기존 사상과 사상투쟁을 벌이게 된다. 한국과 중국에서 나타난 禁書와 異端 논쟁 등이 그 實例이다. 본 연구는 17-19C에 활동한 왕부지·대진·정약용을 중심으로 한·중 경학사에서 유교지식인의 비판의식을 검토했다. 왕부지는 기존의 우주본체와 도덕원리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經世學으로 전환하고, 制度와 禮制論의 관점에서 도덕규범의 함의를 분석한다. 이러한 철학적 문제의식의 전환은 그의 새로운 경학을 통해 현실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용성이 강조되었으며, 정치·경제적으로는 제도에 대한 강한 비판의식으로 전개된다. 대진은 宋·明代 유학자들이 儒家經典을 왜곡시켜 사상적·국가적 혼란을 초래했다고 보았다. 대진은 朱熹와 陸九淵, 王守仁 등이 사용한 개념을 고증학적으로 분석한 『孟子字義疏證』을 저술하여 理·氣·心·性 개념을 새롭게 해석한다. 정약용은 조선의 주자학에 대해 ‘실제 일이 아닌 마음을 다스리는 養心에 힘쓴 결과 결국 실제 일과 관련 없는 것이 되었다’고 비판한다. 다산의 비판은 조선 성리학이 義・利와 王・覇에 대한 구별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엄격한 義理만을 중시하는 道學的 전통에 치우쳤음을 반영한 것이다. 이러한 정약용의 실학적 경학은 성리학적 관념성을 비판하기 위해 고증적 태도를 취한 점과 ‘실천’ 중심의 실용학문을 추구한 것이 특징이다.

키워드

經學, 氣哲學, 王夫之, 戴震, 丁若鏞

참고문헌(34)open

  1. [기타] / 船山全書

  2. [기타] / 明儒學案

  3. [기타] / 戴震文集

  4. [기타] / 戴東原集

  5. [기타] / 孟子字義疏證

  6. [기타] / 與猶堂全書

  7. [기타] / 四庫全書總目

  8. [기타] / 王文成公全書

  9. [단행본] 葛兆光 / 2005 / 中國思想史第二卷 / 復旦大學出版社

  10. [단행본] 왕국량 / 2002 / 明淸時期儒學核心價値的轉換 / 安徽大學出版社

  11. [단행본] 好適 / 1971 / 戴東原的哲學 / 商務印書館

  12. [단행본] 미조구치 유조 / 2012 / 중국제국을 움직인 네 가지 힘 / 글항아리

  13. [단행본] 황준지에 / 2009 / 동아시아 유교경전 해석학 / 문사철

  14. [단행본] 벤저민 엘먼 / 2004 / 성리학에서 고증학으로 / 예문서원

  15. [단행본] 곽신환 / 2005 / 조선조 유학자의 지향과 갈등 / 철학과 현실사

  16. [단행본] 송영배 / 2004 / 동서철학의 교섭과 동서양사유 방식의 차이 / 논형

  17. [단행본] 한국실학연구회 / 1998 / 韓中實學史硏究 / 민음사

  18. [단행본] 유명종 / 1989 / 청대철학사 / 이문출판사

  19. [단행본] 山井湧 / 1994 / 明淸思想史의 硏究 / 학고방

  20. [단행본] 금장태 / 1993 / 한국실학사상연구 / 집문당

  21. [단행본] 南伯崔根德先生華甲紀念論叢刊行委員會 / 1996 / 韓國人物儒學史(4) / 한길사 : 1640 ~ 1644

  22. [단행본] 李篪衡 / 1995 / 第五回東洋學國際學術會議論文集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3. [단행본] 鄭仁在 / 1982 / 淸代實學派의 本體論, 東洋哲學의 本體論과 人性論 / 연세대학교 출판부

  24. [학위논문] 진성수 / 2005 / 왕부지 역학사상에 관한 연구

  25. [단행본] 章太炎 / 2006 / 中國近三百年學術史論 / 上海古籍出版社

  26. [기타] 王汎森 / 1997 / 中央研究院歷史語言研究所集刊)第68本第3分

  27. [학술지] 鐘鳴旦 / 1991 / 格物窮理: 格物窮理: 十七世紀西方耶蘇會士與中國學者間的討論 / 哲學與文化 18 (7)

  28. [학술지] 최형식 / 2011 / 대진 인성론의 존재론적 근거와 그 특징 / 철학연구 120 : 309 ~ 332

  29. [학술지] 구만옥 / 2008 / 다산학 연구의 최근 동향; 자연학 / 다산과 현대 1

  30. [학술지] 안재순 / 2007 / 17세기 한국의 유학사상―주자학의 심화와 그에 대한 비판 / 유교문화연구 11

  31. [학위논문] 林玉均 / 1995 / 戴震철학에 나타난 ‘주자학적 사유의 비판’에 관한 연구

  32. [단행본] 石井剛著 / 2014 / 戴震と中國近代哲學-漢學から哲學へ- / 知泉書館

  33. [단행본] 河田悌一 / 1979 / 淸末の戴震像-劉師培の場合 / 朋友書店

  34. [단행본] Joseph R. Levenson / 2000 / 鄭大華譯(中譯本) / 中國社會科學出版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