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다서(茶書)가 드믄 우리나라에서 초의선사(艸衣禪師)의 ‘동다송(東茶頌)’은 위상이 대단하다. 「동다송」은 이목(李穆: 1471∼1498)의 「다부(茶賦)」, 이덕리(李德履: 1728∼?)의 『기다(記茶)』와 함께 세 봉우리를 이룬다. 이들 다서는 모두 육우(陸羽)의 『다경(茶經)』을 바탕으로 한다. 『다경』의 위치를 기(起)라 할 때, 「다부」는 승(承), 『기다』는 전(轉), 『동다송』은 결(結)에 비할 수 있다. 『동다송』은 『다신전(茶神傳)』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다. 『다신전』은 장원(張源)의 『다록(茶錄)』을 초록한 것이다. 『다신전』의 핵심 주제어는 바로 ‘다신(茶神)’이다. 초의는『다록』 『다록』의 핵심 개념을 자기 관점으로 뽑아 자신의 다도철학을 수립하였다. 또 자신의 철학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한국사상의 전통 가운데 하나인 ‘묘합(妙合)’의 원리를 이끌어 체계를 다시 짰다. 한국사상은 정신과 물질을 분리시켜 보지 않는 데 특징이 있다. 정신과 물질은 엄연히 다른 것임에도 이것을 갈라서 보지 않은 것이 이른바 ‘묘합’이다. 둘이면서 하나이고 하나이면서 둘인 관계가 묘합이다. 초의의 다도철학은 한국사상의 전통을 잘 계승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키워드

초의(艸衣), 『동다송』, 『다신전』, 다신(茶神), 한국사상, 묘합

참고문헌(11)open

  1. [단행본] 류건집 / 2009 / 동다송 주해 / 이른아침

  2. [단행본] 류승국 / 2009 / 한국사상의 연원과 역사적 전망 / 성균관대출판부

  3. [단행본] 이종찬 / 2010 / 艸衣詩稿 / 동국역경원

  4. [단행본] 이종찬 / 2010 / 一枝庵文集 / 동국역경원

  5. [단행본] 정민 / 2011 / 새로 쓰는 조선의 차문화 / 김영사

  6. [단행본] 朱自振 / 1995 / 中國茶葉歷史資料選輯 / 弘益齋

  7. [단행본] 최범술 / 1975 / 한국의 다도 / 보련각

  8. [단행본] 최영성 / 2014 / 교주 사산비명 / 이른아침

  9. [학위논문] 최진영 / 2013 / 東茶意識의 形成과 展開에 관한 연구 : 『茶賦』·『記茶』·『茶神傳』·『東茶頌』을 중심으로

  10. [단행본] 류무상 / 2005 / 한국사상과 동서교섭, 류무상선생고희기념논문집 / 심산출판사

  11. [학술지] 최진영 / 2013 / 다신전에 나타난 ‘神氣’ 의식 일고 / 한국전통문화연구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