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맹자(孟子)의 왕도론(王道論)과 화이(華夷)사상

동양철학
약어 : -
2008 no.30, pp.183 - 213
DOI : 10.19065/japk..30.200812.183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동양철학회
130 회 열람

이 글은 『맹자』에 분명히 드러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화이(華夷)사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화이사상을 맹자 사상의 독립적인 부분으로 다루는 것이 아니라, 그의 중요 사상인 왕도론과의 상관성 아래에서 논하였다. 맹자는 인정에 의한 왕도론이 고대 제왕들의 정치방식이며, 그것이야말로 중화문화의 본질을 형성한다고 주장하여 이적의 문화와 대립시켰다. 맹자는 왕도론을 공문 정통의 이론으로 수립하기 위하여 화이사상을 도입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그의 당초 염원인 민생구제의 길에서 현실적 굴절을 나타냈다. 이 글은 맹자의 왕도론과 화이사상이 정치-문화적으로 동아사아의 중화주의의 서막을 열었음을 밝혔다.

这本个研究着虽在孟子显明写而轻看的华夷思想。这不是关于孟子另外部分,论考和他的主要思想王道论的相关。孟子主张依靠仁政的王道论是以中华文明成为古代君王的政治,它竟然成中华文明本质,对立华夷文化。他为了树立孔儒正统原理输入华夷思想,在这场局面现形救济人民瓦解。这本说明孟子的王道论和华夷思想打开政治文化的东亚中华主义幕启。

인정, 왕도론, 왕자(王者), 농가, 화이(華夷), 용하변이(用夏變夷), 선왕지도(先王之道), 패권, 시가불이(市價不貳), 정전제, 중화주의
仁政, 王道論, 王者, 農家, 華夷, 用夏變夷, 先王之道, 覇權, 市價不貳, 井田制, 中华主义

  • 1. [기타] / 『논어』
  • 2. [기타] / 『맹자』
  • 3. [기타] / 『순자』
  • 4. [기타] / 司馬遷. 『史記』
  • 5. [기타] / 朱熹. 『論語集注』
  • 6. [기타] / 朱熹. 『孟子集注』
  • 7. [단행본] 丁若鏞 / 1994 / (다산)맹자요의 / 현대실학사
  • 8. [단행본] 顧?剛 / 2008 / 중국사입문 / 창경사
  • 9. [단행본] 顧?剛 / 1988 / 顧?剛選集 / 天津人民出版社
  • 10. [단행본] 顧?剛 / 1988 / 顧?剛古史論文集 / 中華書局
  • 11. [단행본] 蕭公權 / 1998 / 中國政治思想史 / 서울대학교출판부
  • 12. [단행본] 白川靜 / 1977 / 공자전 / 知人社
  • 13. [단행본] 武內義雄 / 1935 / 老子と莊子 / 岩波書店
  • 14. [단행본] 渡邊卓 / 1973 / 古代中國思想の硏究 / 創文社
  • 15. [단행본] 淺野裕一 / 2008 / 공자신화 / 태학사
  • 16. [단행본] 신정근 / 2004 / 동중서(董仲舒) :중화주의의 개막 / 태학사
  • 17. [단행본] 백민정 / 2005 / 맹자(孟子): 유학(儒學)을 위한 철학적 변론 / 태학사
  • 18. [단행본] 김영수 / 2005 / 중국 역대 정권 정보표 / 창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