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논문은 철학상담의 방법론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전통적인 남성중심의 이성 대신에 여성적 경험과 관점이 반영된 감정 중심의 몸철학을 근거로 한 철학상담의 새로운 방법론에 대한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몸철학은 내면적인 상의 힘, 시각화하는 자유, 내적인 목소리의 울림을 중시한다. 여성주의 철학상담의 목적은 이성과 마찬가지로 육체적 체험, 즉 감정이 가지는 당위성을 확보하는 데 있으며, 여성들이 겪는 일상적인 문제를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식으로 드러내고 개념화하면서 치유의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감정에 보편적 가치를 부여하면서 여성이 지니고 있는 사고의 힘을 주제화한다. 이때 사고의 힘은 자기인식을 통해 몸으로 느낀 지식이나 지혜를 획득하게 하는 몸철학적 기술로서 감정의 힘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여기서 감정의 힘은 내 안에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의식적으로 알아나가는 과정이며 자기형성의 자유를 가지고 있는 힘이다. 다시 말해 감정의 힘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스스로 할 수 있는 능동적인 의지, 상처를 외면하고 싶은 유약함에 대한 용감한 관찰, 육체적 감정의 신호들을 경청하는 능력 등을 말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본다면 감정은 전통적인 의미에서 동물적이거나 비이성적인 개념으로 통제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정향력을 가진 개념으로 이해되며, 몸속에 존재하는 에너지로서 현상의 본질을 깊게 꿰뚫어 볼 수 있게 하는 통찰능력과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성의 부분으로 이해되는 개념이며, 나아가 평가하는 지각의 지적형식으로서 자기확신과 긴밀하게 연관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몸에 근거한 감정을 통해 내담자의 고통을 치유할 수 있는 소통통로를 발견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보함으로써 ‘몸의 사유함’이 중심이 되는 여성주의 철학상담의 방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키워드

철학상담, 여성주의 철학, 몸철학, 여성주의 철학상담, 감정, 사고의 힘, 육체적 지각능력, 감정의 힘

참고문헌(24)open

  1. [단행본] 미리암 그린스팬 / 2008 / 감정공부 / 뜰

  2. [학술지] 홍경자 / 2009 / 야스퍼스의 실존조명과 프랑클의 실존분석적 로고테라피와의 관계- 철학실천으로서의 철학상담 이론과 관련하여 - / 철학연구 109 : 153 ~ 180

  3. [단행본] 마리트 룰만 / 2005 / 여성철학자, 아무도 말하지 않은 철학의 역사 / 푸른 숲

  4. [단행본] 김혜숙 / 1999 / 여성과 철학 / 철학과 현실사

  5. [단행본] 미리암 그린스팬 / 2008 / 우리 속에 숨어있는 힘 / 도서출판

  6. [단행본] 로지 브라이도티 / 2004 / 유목적 주체 / 도서출판 여이연

  7. [단행본] 카이 호프만 / 2003 / 철학이라는 이름의 약국 / 더불어책

  8. [단행본] Achenbach G. B. / 1987 / Philosophische Praxis, Schriftenreihe zur philosophischen Praxis; Bd. 1 / Köln

  9. [단행본] Arendt H. / 1981 / Vita Activa oder vom tätigen Leben / Neuausg

  10. [단행본] Beauvoir S. / 1989 / The Second Sex

  11. [단행본] Daniel G. / 1996 / Emotionale Intelligenz

  12. [단행본] Gilligan C. / 1988 / Die andere Stimme

  13. [단행본] Meyer U. I. / 1997 / Einführung in die feministische Philosophie

  14. [단행본] Miller J. B. / 1976 / Toward a New Pschology of Women

  15. [단행본] Mittelstrauß J. / 1982 / Wissenschaft als Lebensform

  16. [단행본] Nusbaum M. C. / 2000 / Vom Nutzen der Moraltheorie für das Leben

  17. [단행본] Polednitschek T. / 2006 / Schöperische Grenzverletzung oder: Kunst und Philosophische Praxis”, In: Beratung und Bildung

  18. [단행본] Pfundstein S. A. / 2006 / Die Macht des Denken- Die Macht der Denker / Vortrag auf der Jahrestagung der Gesellschaft für Neue Phänomenologie

  19. [단행본] Pfundstein S. A. / 2003 / Sophias Leib, Der Körper als Quelle der Weisheit

  20. [단행본] Raabe P. / 2002 / Philosophical Counseling: Theory and Practice

  21. [학술지] Ruschmann E. / 2004 / Philosophie und Beratung”, In: Das Handbuch der Beratung

  22. [단행본] Sappho / 1978 / Strophen und Verse

  23. [단행본] Spelman E. / 1999 / “Woman as Body: Ancient and Contemorary Views,” In: Feminist Theory and the Body: A Reader

  24. [단행본] Wisselink E. / 1988 / Franen denken anders, 6. Auf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