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는 16세기 도학파 가운데 퇴계와 그 직전문인들로 이루어진 퇴계학파의 예학 사상을 검토하여 이들의 예학이 理學과 心學을 기저로 하여 성립되는 內聖外王의 道學 혹은 聖學의 實踐的 歸結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이학-심학의 연관구조 혹은 道學, 聖學 체계에 따라 분석하되, 外王의 다른 한 축인 經世論과의 연결에 특히 유의하였다. 내성외왕의 논리로 볼 때 이학과 심학은 지치의 왕도로 전환되어야 하고, 도학에서 경세와 예학은 ‘義理’라는 측면에서 소통된다. 의리는 수양을 통해 완전히 인식될 수 있지만, 그 근거는 理와 性이다. 따라서 이 모두는 하나의 정합적인 체계를 형성하여야 한다. 퇴계의 예학은 矯俗의 차원에서, 호발의 내성론이 지행을 병진시키며 점진적 기질변화를 추구하듯이 풍속의 교정 역시 급격하지 않게 차츰차츰 추구하여 자연스럽게 교화하는 방식을 추구한다. 內聖학의 반면에 경세의 일변으로서의 外王의 禮敎가 존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제자들은 聖君의 存體應用이 아니라 자신들의 爲己之學, 혹은 戒愼恐懼의 차원에서 예학에 접근하고 있다. 이는 내성의 연장선에서, 도학자로서의 出處를 논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퇴계의 논의에 비해서 상당히 경직되고, 내면적으로 후퇴해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祖述이 가진 본질적인 의미, 즉 이론의 계승이 아니라 이론을 포함한 학문적 본령의 계승이라든가 爲己之學으로서의 道學이 가지는 기본 특징, 즉 학문내용의 자기화에 따른 결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지만, 끝없이 확인하고자 하는 本源이 아직 應用의 主體로 서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논의의 정점에 이르지 못하고 있음 역시 분명하다. 16-17세기 퇴계학파의 학문은 스승 퇴계의 사상을 祖述하려는 경향이 강하고, 특히 예학의 경우 이러한 특징이 자주 지적되는데, 바로 이러한 學統이나 道統을 중시하는 도학적 사고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큰 틀에서 보면 퇴계학파의 예학 역시 당시 예학의 당면 과제를 고민하고 있다는 점에서 여타의 예학들과 크게 다를 것은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운용하는 주체의 사상적 기반이 달랐던 만큼 서인 계통의 논리와는 일정한 차이를 가질 수밖에 없는데, 특히나 호발의 논리 속에 점진적인 교속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원론적인 일원화를 추구하는 입장과는 분명한 차별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수범과 예치의 방향이 이러한 사상적 기반에 따라 결정되었으므로 양자의 차이는 결과적으로 보면 상대적이지만 그러한 결과를 도출한 원인은 본질적인 학문 차이였다고 할 수 있다. 17세기 이후 전례논쟁이 본격화되면서 퇴율의 학문적 차이가 새로이 부각되는 것도 이러한 학문적 기반의 차이가 예설의 차이로 이어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퇴계학파, 도학, 예학, 이학, 심학.

참고문헌(22)open

  1. [기타] / 경서

  2. [기타] / 예기

  3. [기타] / 송사

  4. [기타] / 범문정집

  5. [기타] / 장자전서

  6. [기타] / 화담집

  7. [기타] / 퇴계집

  8. [기타] / 남명집

  9. [기타] / 월천집

  10. [기타] / 백담집

  11. [기타] / 성재집

  12. [기타] / 고봉집

  13. [기타] / 겸암집

  14. [기타] / 학봉집

  15. [기타] / 서애집

  16. [기타] / 간재집

  17. [기타] / 지산집

  18. [학술지] 김종석 / 1998 / 『도산급문제현록』과 퇴계학통제자의 범위 / 퇴계학과 유교문화 26

  19. [학술지] 박종천 / 2009 / 16~7세기 禮問答으로 살펴본 退溪와 退溪學派 禮學 / 퇴계학보 125 (125) : 93 ~ 142

  20. [학위논문] 정경희 / 2000 / 조선전기 예제·예학 연구

  21. [학술지] 정도원 / 2010 / 전통적 學 개념과 퇴·율 성학의 이학-심학 연관 구조 / 한국사상사학 36 (36) : 217 ~ 261

  22. [학술지] 한재훈 / 2010 / 『喪祭禮答問』 分析을 통한 退溪의 俗禮觀 考察 / 퇴계학보 128 (128) : 5 ~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