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高峯의 禮學思想 - 王室禮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thought of Gobong, Ki-Daeseong

동양철학
약어 : -
2017 no.47, pp.101 - 129
DOI : 10.19065/japk..47.201707.101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동양철학회
115 회 열람

본 논문은 高峯 奇大升의 禮學思想을 王室禮에 대한 禮說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고봉의 예학사상은 古禮를 중시하고 禮樂敎化를 강조하는 기본적인 관점을 지니고 있었으며, 『儀禮』를 禮의 正經으로 보았다. 이에 『儀禮經傳通解』의 인쇄와 보급을 주장했으며, 지방 관리들에게 禮樂을 통한 敎化에 적극적으로 나서도록 권장하여 禮敎의 확산을 강조했다. 고봉은 王室禮에 대해, 古禮의 원칙을 따라야 한다는 禮說의 기준을 제시하면서도 고례를 따르기 어려운 당시의 현실적인 상황을 인식하고, 고례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으면서 國制 및 時俗과 절충할 수 있는 變通의 방안을 제시했다. 이는 性理學的 禮制가 아직 정착되지 않았던 당시의 현실에서, 예의 名分論的 원칙과 조선 왕실의 특수한 상황을 절충하여 시행하려는 현실적인 禮學을 추구한 것이었다. 이처럼 고봉의 예학사상은 고례와 『가례』를 근거로 잘못된 因襲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원칙을 제시하면서, 예의 본질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時俗과의 절충을 모색하고자 하는 현실적인 예학이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into Gobong Ki-Daeseong’s Li-thought focused on Royal etiquette. Ki-Daeseong’s Li-thought had a basic perspective on the importance of Ancient Rites(古禮) and emphasizing social enlightenment through Rituals and Music(禮樂). He emphasize that he should follow the principles of Ancient Rites. However, according to a realistic circumstances, he proposed a compromise between the ritual system of the Chosun Dynasty and the customs of time. He seek compromise with the customs of time, but he wanted to correct it according to principles. His Li-thought were characterized by practical thought of compromise between reality and principles of Rite.

高峯 奇大升, 禮學思想, 文昭殿, 『儀禮』, 『家禮』, 服制
Gobong Ki-Daeseong, Li-thought, Munsojeun, Yi-Li, Zhu-Xi`s Family Rituals, The mourning system

  • 1. [단행본] / 2007 / 고봉전서 1~5 / 민족문화추진회
  • 2. [단행본] / 1985 / 退溪全書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3. [기타] / 世宗實錄
  • 4. [기타] / 宣祖實錄
  • 5. [기타] / 宣祖修正實錄
  • 6. [기타] / 漢書
  • 7. [기타] / 家禮
  • 8. [인터넷자료] / 한국세시풍속사전
  • 9. [단행본] 고영진 / 1995 / 조선중기 예학사상사 / 한길사
  • 10. [단행본] 鄭炳連 / 2006 / 高峯 先生의 生涯와 學問 / 전남대학교 출판부
  • 11. [단행본] 池斗煥 / 1994 / 朝鮮前期 儀禮硏究 / 서울대학교 출판부
  • 12. [단행본] 韓亨周 / 2002 / 朝鮮初期 國家祭禮 硏究 / 一潮閣
  • 13. [단행본] 황의동 / 2008 / 기대승 / 성균관대출판부
  • 14. [학위논문] 都民宰 / 1998 / 朝鮮前期 禮學思想 硏究
  • 15. [학위논문] 한재훈 / 2011 / 退溪 禮學思想 硏究
  • 16. [학술지] 김정신 / 2004 / 宣祖代 文昭殿 論爭과 朋黨 / 한국사상사학 (22) : 115 ~ 22 kci
  • 17. [단행본] 김현수 / 2011 / 고봉의 철학사상연구 / 도서출판 이화
  • 18. [학술지] 양승무 / 2001 / 고봉 기대승의 예학사상 / 동양철학 / 14
  • 19. [단행본] 한기범 / 2008 / 高峰 奇大升 硏究 / 도서출판 이화
  • 20. [학술지] 한형주 / 2007 / 조선전기 文昭殿의 성립과 그 운영 / 역사민속학 (24) : 69 ~ 24 kc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