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루이 라벨의 『나르시스의 오류』에 나타나는 ‘현대인의 왜곡된 자아관념’
Distorted Self-concept of Modern Man in Louis Ravelle’s Error in Narcissus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대동철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대동철학 바로가기
  • 통권
    제91집 (2020.06)바로가기
  • 페이지
    pp.223-246
  • 저자
    이명곤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378440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Louis Ravel, after various definitions of 'human consciousness’ and ‘self’ in La conscience de soi, analyzes the errors made by Narcissus who appeared in the ancient Greek mythology, from an existentialist point of view in L’erreur de Narcisse. Narcissist’s errors in this book can be analyzed from various perspectives, but this paper analyzes them in four ways: 1) The error of distorting the human self as a spirit, 2) The error of denying morality, 3) The error of neglecting ontological integrity, and 4) The denial of the duality of human existence and the error of denying the spiritual (mental) world. This analysis suggests that human beings are inherently mental beings and are in a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that they form a true self through this relationship. However, Narcissus was ignorant of this fundamental condition and nature of human existence, or denied it because of mental laziness. This first error caused the rest of the errors to occur sequentially, eventually making his life impossible after tha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Narcissus’ error metaphorically shows the error of modern people about self in the sense that modern society is approaching a mechanized, technological civilization, and material universalism.
한국어
루이 라벨은 『자아(la conscience de soi)』에서 ‘인간의 의식’과 ‘자아’에 대해 다양하게 규정한 이후에, 『나르시스의 오류(L’erreur de Narcisse)』에서는 고대 희랍의 신화에 나오는 ‘나르시스’가 범한 오류를 실존주의자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다. 이 책에서 말하고 있는 나르시스의 오류는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 가능하겠지만, 본 논문에서는 크게 4가지로 개념화 하여 분석하고 있다. 1) 정신으로서의 인간적 자아를 왜곡하는 오류, 2) 도덕을 부정하는 오류, 3) 존재론적 성실성을 외면하는 오류 그리고 4) 인간실존의 양면성에 대한 부정과 영적(정신적) 세계를 부정하는 오류가 그것이다. 이 같은 분석은 인간이란 본래 정신적인 존재로서 타자와의 관계성 중에 있으며 이 관계성을 통해 진정한 자아를 형성하는 존재임을 말해주고 있지만, 나르시스는 이 같은 인간 존재의 근본적인 조건과 본질에 대해 무지하였거나, 혹은 정신적인 게으름으로 인해 이를 부정하였다. 이 첫 오류가 그 이후 자신의 삶을 불가능하게 한 나머지 오류들도 순차적으로 발생하게 한 것이다. 따라서 나르시스의 오류는 현대사회가 보다 기계, 기술 문명과 물질만능주의에 접근해 있다는 차원에서 자아에 관한 현대인들의 오류를 은유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나르시스의 오류』가 가지는 철학사적인 맥락과 의의
3. 나르시스의 오류에서 ‘자기동일성에 대한 질문’과 ‘관계성’
4. 나르시스의 오류의 네 가지 특징들
가. 정신으로서의 인간적 자아를 왜곡하는 오류
나. 도덕을 부정하는 오류
다. 존재론적 성실성을 외면하는 오류
라. 인간실존의 양면성에 대한 부정과 영적(정신적) 세계를 부정하는 오류
5.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명곤 [ Lee, Myung-Gon | 제주대학교 철학과 교수 ]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대동철학회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 설립연도
    1998
  • 분야
    인문학>철학
  • 소개
    오늘날 우리 한국 사회가 처해 있는 국내외적인 많은 어려움 속에서 한국의 철학계가 이제는 자신의 존재 이유를 근본적으로 다시 생각해 보고 새로운 방향을 추구해 나아가야만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들이 더욱 높아져 가고 있습니다. 되돌아 보건대 지난 수십년간 우리 철학인들의 노력으로 많은 발전이 이어져 오기는 하였으나 아직도 한국의 철학계는 일제가 남기고 간 뿌리 깊은 구조적 왜곡의 도식적 틀로 부터 헤어나지 못하고 있는가 하면, 또 다른 한편으로는 근래에 진행되고 있는 철학 활동들의 상당한 부분이 외국 철학계의 축소판적 모방 내지는 반복에 그침으로써 진정한 의미의 현실성에 대하여 역행까지 하고 있다는 사실들이 심각한 우려를 불러 일으키고 있습니다. 철학은 분명 시대와 사회의 현실적 토양에 뿌리를 둔 자생적이고 종합적인 지적 노력들의 결집장인 것입니다. 이제 한국의 철학계는 지난 날의 왜곡된 도식적 틀과, 주체성을 상실한 타성적 모방을 면밀한 비판적 반성과 함께 철저히 극복하여야 하며 새로운 시야와 태도를 가지고 우리들 현실의 심층부에 놓여 있는 문제들에 가까이 다가가야만 합니다. 진정 우리의 철학계는 근본적인 질적 전환의 단계에 접어들고 있는 것입니다. 과거 철학사를 되돌아볼 때, 철학은 어렵고 복잡한 시대적 전환기의 상황에 놓여질수록 더욱더 그 진가를 발휘하여 그 사회의 내면에 은폐되어 있는 총체적 구조 연관의 모습들을 드러내어 밝혀 주고 새로 운 이념과 비젼을 제시함으로써 더 진일보한 인간 실현의 공동체 형성에 기여해 왔음을 우리는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한국의 현실 상황은 어려운 문제들이 구조적으로 복잡하게 얽혀 있는 난해한 장이면서 동시에 새로운 철학의 탄생을 예고하는 풍부한 다양성의 토양인 것입니다. 이 새로운 철학적 종합은, 현재 우리의 삶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성의 토양이 아직 성숙한 문화적 종합을 이루지 못한 채 그저 혼재된 상태에 놓여져 있음으로 인해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의 대학과 사회는 외양상으로는 풍부함에 넘치고 있고, 또 전반적인 사회 발전의 수준이 이미 산업사회의 단계를 넘어 첨단 과학 기술 정보사회에 진입하고 있다고 말해지고 있지만, 그 내면의 문화 적이고 사회적인 과정들은 어느 틈엔가 자각하기 힘들 정도로 기술적 효율성과 자본의 논리라는 획일적 이데올로기에 의해 지배당하는 일차원적인 단순성의 수준으로 전락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 사회의 교육과 문화는 이러한 일차원적인 경향에 밀려 비인간화의 황폐한 지대로 내몰리고 있는 것입니 다. 대학에서조차 철학은 잊혀져 가고 있는 중입니다. 그러나 바로 이러한 심각한 상황 때문에 철학은 자기 인식의 눈을 다시 떠야만 하는 것입니다. 그럼으로써 오늘날 이 사회에서 어떠한 획일적 논리가 막후에서 우리를 지배하고 있는가, 그 논리는 각 분야에서 어떠한 지식의 형태로 또 어떠한 문화의 방식으로 보이지 않게 작용하고 있는가를 공개된 담론의 무대에 올려 논의해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망각되고 왜곡된 우리들 존재의 본질을 다시 일깨우는 일이며, 또한 진정한 자유로운 인간 공동체의 문 화 형성에로 나아가는 길의 시작일 것입니다. 미래의 우리의 철학은 역사적 맥락 속에서 현실 상황의 내면적 구조 연관의 변화하는 역동적 모습을 분명히 드러내어 밝혀 주고 우리들 삶의 본질을 지켜 줌으로써 인간 공동체의 실현을 위한 교육적 문화 적 터전이 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철학의 과정은 우리의 철학인들 모두가 현실의 문제 의식에 공감하 고 서로의 학식과 구상들을 대화하며 뜻을 함께 모으는 가운데 서서히 결실을 맺어 갈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들의 이러한 대화와 논의의 과정이 본래부터 국제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것은 오늘날 모든 국가들의 사회 생활이 국제적인 상호 교류와 영향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우리의 한국 사회는 동서양의 문화적 교차 지점에서 매우 복잡한 다양성의 현실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을 위시한 세계 여러 나라의 미래 사회를 이끌어갈 새로운 철학은 동서양의 수많은 철학 이론 들이 함께 참여하여 토론하는 집단적인 노력을 통하여 탄생할 것이며, 본 大同哲學會는 그것을 위한 대화의 중심 무대가 될 것입니다.

간행물

  • 간행물명
    대동철학 [Journal of the Daedong(Graet Unity) Philosophical Assocition]
  • 간기
    계간
  • pISSN
    1229-0750
  • 수록기간
    1998~2023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105 DDC 105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대동철학 제91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