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논문은 메이지 일본의 개화사상가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 1835-1901)의 ‘궁리(窮理)’ 개념을 중심으로 그의 과학사상과 문명론을 살펴본 것이다. ‘궁리’라는 어휘는 일찍이 ‘격물’과 함께 사물의 이치에 대한 탐구를 뜻하는 주자학의 대표적 어휘였다. 그러나 후쿠자와에 의해 이 ‘궁리’ 개념은 물리적 대상세계에 대한 법칙적 탐구로 한정되었다. 즉, 후쿠자와는 ‘궁리’를 자연철학(natural philosophy), 혹은 자연과학(natural science)의 뜻으로 사용했고, 그것은 인간의 삶의 환경을 개선하는데 중요한 실용적 학문이라고 보았다. 후쿠자와의 ‘궁리’가 문명 발달의 핵심적인 지식으로 규정된 것은 『학문의 권유』(1872년 초편), 『문명론의 개략』(1875년) 등을 통해서였다. 후쿠자와는 인류의 문명이란 애당초 ‘미개’, ‘반개’, ‘문명’이라는 3단계의 발전 과정을 거친다고 보았다. 아울러 당시 문명의 발달에서 가장 앞선 것은 서양문명으로, 그 근저에는 바로 궁리(궁리학)에 대한 탐구가 있다고 역설했다. 그러나 동시에 후쿠자와에게 있어 문명이란 국가의 독립이 없이는 가능한 것이 아니었다. 후쿠자와의 문명론에 놓인 이 같은 문명=국가의 논리는 1881년 『시사소언』의 집필 이후, 일본의 독립에 대한 위기감이 심화될수록, 후쿠자와의 문명론을 국가론 속에 매몰시켜간 요인이었다. 즉, 후쿠자와는 일본의 독립을 위해서라면 주변국인 중국, 조선을 문명의 세계로 이끌 필요가 있고, 불가피한 경우에는 위력의 사용 또한 용인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 같은 문명론의 국가주의적 경도는 일찍이 후쿠자와 스스로가 문명 발달의 핵심적 지식으로서 인간의 삶의 환경을 개선하는 학문으로 이해했던 ‘궁리’를 국가적 산업, 즉 식산을 위한 학문으로 재인식하게 만들었다. 즉, 후쿠자와에게 있어 문명의 발달이 국가 독립의 수단으로 인식되어갈 때, 문명 발달의 중요한 척도였던 궁리(물리)도 국가의 독립을 위한 수단으로 인식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 같은 후쿠자와의 궁리(물리) 이해는 메이지 계몽사상의 시대적 특징을 보여줌과 동시에, 20세기 초에 등장했던 일본의 ‘국가적 과학’의 모습을 미리 예견한 것이기도 했다.

키워드

후쿠자와 유키치, 궁리, 문명, 과학, 제국주의

참고문헌(31)open

  1. [단행본] 福澤諭吉 / 1926 / 『福澤全集』第一卷 / 時事新報社

  2. [단행본] 福澤諭吉 / 1926 / 『福澤全集』第二卷 / 時事新報社

  3. [단행본] 福澤諭吉 / 1926 / 『福澤全集』第二卷 / 時事新報社

  4. [단행본] 福澤諭吉 / 1926 / 『福澤全集』第三卷 / 時事新報社

  5. [단행본] 福澤諭吉 / 1926 / 『福澤全集』第四卷 / 時事新報社

  6. [단행본] 福澤諭吉 / 1926 / 『福澤全集』第五卷 / 時事新報社

  7. [단행본] 福澤諭吉 / 1926 / 『福澤全集』第七卷 / 時事新報社

  8. [단행본] 福澤諭吉 / 1926 / 『福澤全集』第七卷 / 時事新報社

  9. [단행본] 福澤諭吉 / 1926 / 『福澤全集』第七卷 / 時事新報社

  10. [단행본] 福澤諭吉 / 1926 / 『福澤全集』第八卷 / 時事新報社

  11. [단행본] 福澤諭吉 / 1926 / 『福澤全集』第八卷 / 時事新報社

  12. [단행본] 福澤諭吉 / 1926 / 『福澤全集』第十卷 / 時事新報社

  13. [단행본] 村上陽一郎 / 1999 / 文明のなかの科学 / 青土社

  14. [단행본] 蓮實重彦 / 1995 / 文明の衝突か共存か / 東京大学出版部

  15. [단행본] 藤江邦男 / 2004 / 実学の理念と起業のすすめ: 福澤諭吉と科学技術 / 慶應義塾大学出版部

  16. [단행본] 周程 / 2010 / 福澤諭吉と陳獨秀 / 東京大學出版會

  17. [단행본] 飯田鼎 / 1984 / 福澤諭吉: 国民国家論の創始者 / 中央公論社

  18. [단행본] 佐々木力 / 2000 / 科学技術と現代政治 / ちくま書店

  19. [단행본] 日本物理學會 / 1978 / 『日本の物理学史』上 / 東海大學出版會

  20. [단행본] 安川寿之輔 / 2000 / 福沢諭吉のアジア認識 / 高文硏

  21. [단행본] 安川寿之輔 / 2003 / 福沢諭吉と丸山昌男 / 高文硏

  22. [단행본] 安川寿之輔 / 2006 / 福沢諭吉の先争論と天皇制論 / 高文硏

  23. [단행본] 豊田利幸 / 1994 / 福澤諭吉の科学概念 / 慶應義塾大學

  24. [단행본] 永田守男 / 2003 / 福澤諭吉のサイエンス / 慶應義塾大學出版會

  25. [단행본] 高城幸一 / 2011 / 政治評論家・福澤諭吉, その朝鮮評論 / 文芸社

  26. [학술지] 丸山眞男 / 1947 / 福澤における實學の轉回: 福澤諭吉の哲學硏究序說 / 東洋文化硏究 (3)

  27. [단행본] 塚原東吾 / 1999 / 『科学技術のゆくえ』叢書3 転換期のフイロソフイー / ミネルヴァ書房

  28. [학술지] 梅原利夫 / 1980 / 福澤諭吉の窮理認識 / 教育 30 (2)

  29. [단행본] 李延挙 / 1998 / 科学技術 / 大修館書店

  30. [단행본] ルイス / 1989 / 科学と帝国主義 / 岩波書店

  31. [학술지] 김성근 / 2014 / 일본의 난학과 뉴턴적 물질관의 수용 -物(matter) 개념의 번역을 중심으로- / 동서철학연구 (74) : 209 ~ 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