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논문은 주희(朱熹)와 김창협의 지각론(知覺論)을 비교함으로써 김창협의 지각론(知覺論)이 어떠한 특징을 띄는지 살펴보았다. 주재(主宰)의 측면에서, 주희(朱熹)는 한편으로는 지각(知覺)을 주재(主宰)를 통해 나타난 상태로 여겼고 다른 한편으로는 주재(主宰)를 가능케 하는 주체의 작용으로 여겼다. 김창협은 지각(知覺)이라는 표현을 부각시키는 과정에서 이러한 혼용을 해소하고 지각(知覺)을 한정적인 의미에서 재정의했다. 그는 심(心)의 여러 측면 중에서 주재(主宰)의 주체 측면에 해당하는 작용이 지각(知覺)이며, 주재(主宰)를 가능하게 하는 작용, 혹은 주재(主宰)를 행하는 주체 자체를 지각(知覺)이라고 상정했다. 그리고 지각(知覺)을 성(性)이나 정(情)과 구분하고 지각(知覺)의 작용을 상술함으로써 주재(主宰) 주체로서의 심(心)의 역할을 구체화시켰다. 그러나 지각(知覺)과 성(性)의 구분에서 주체와 본성의 괴리라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기(氣)가 리(理)와 별개로 움직인다고 볼 수 있으므로 이기불리(理氣不離)를 침범한다고도 볼 수 있다. 김창협 당대에 제기된 지각(知覺)의 소이연(所以然)이 무엇인가 하는 쟁정은 이 문제를 거론한 것이다. 김창협은 지각(知覺)과 성(性)을 각각 주재(主宰)의 주체와 대상으로 구분하려 했으므로, 한편으로는 소이연(所以然)이 아닌 소당연(所當然)으로서의 성(性)을 강조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지각(知覺)의 근거가 기(氣)의 허령(虛靈)함이라고 주장했다. 기(氣)의 허령(虛靈)함으로 근거를 제시하는 것은 지각(知覺)의 소이연(所以然)이 되는 리(理)가 무엇인가 하는 질문에 대한 회피에 가깝다. 또한 성(性)이 소당연(所當然)으로 설정될 경우 지각(知覺)이 성(性)을 갖추고 작용으로 드러날 때는 이기불리(理氣不離)라고 할 수는 있지만 주체인 지각(知覺) 자체는 여전히 성(性)과 구분되므로 이기불리(理氣不離)에 대한 문제제기가 완전히 해결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주희(朱熹)는 지각(知覺)을 지(智)의 용(用)이라고 주장하여 지각(知覺)의 소이연(所以然)을 지(智)로 설정한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불교 비판에서 지각(知覺)을 언급할 때는 김창협과 유사하게 성(性)을 지각(知覺)의 소당연(所當然)으로 설정하기도 했다. 주희(朱熹)가 성(性)을 지각(知覺)의 소이연(所以然)으로 설명하려 했는가에 대해서 재고의 여지가 있는 셈이다. 지각(知覺)의 소이연(所以然) 문제에 대한 해명은 주자학의 체계를 공고히 하려 했던 조선 학자들에 의해 심각한 문제로 떠오른 것이다. 지각(知覺)과 본성의 관계에 있어서는 주희(朱熹)와 김창협은 유사한 관계에 있다고도 볼 수 있다. 따라서 지각(知覺)을 주체의 측면에만 한정하고 구체화하려고 한 것만을 김창협 지각론(知覺論)의 특징이라 꼽을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주희(朱熹), 김창협, 지각(知覺), 주재(主宰), 소이연(所以然).

참고문헌(17)open

  1. [기타] / 書經

  2. [기타] / 孟子

  3. [기타] / 中庸

  4. [기타] / 四書集註

  5. [기타] / 朱子語類

  6. [기타] / 朱子大全

  7. [기타] / 農巖集』(韓國文集叢看本)

  8. [단행본] 陳來 / 2002 / 주희의 철학』 / 예문서원

  9. [학위논문] 文錫胤 / 1995 / 조선 후기 湖洛論辨의 성립사 연구

  10. [학술지] 김우형 / 2014 / 김창협의 지각론과 퇴율절충론의 관계에 대한 일고찰- 知覺과 智의 분리에 따른 도덕심리학적 견해 / 한국철학논집 (40) : 69 ~ 93

  11. [학술지] 강문식 / 2013 / 金昌協의 朱子書 연구와『朱子大全箚疑問目』 / 한국사연구 (160) : 83 ~ 111

  12. [학술지] 박정원 / 2013 / 김창협 미발지각론 연구 / 한국문화연구 25 : 103 ~ 129

  13. [학술지] 안영길 / 2004 /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의 지각론(知覺論)에 관한 소고 / 한문고전연구 8

  14. [학술지] 이선열 / 2010 / 김창협과 김간의 지각 논변 / 동양철학연구 (62) : 39 ~ 77

  15. [학술지] 이선열 / 2013 / 남당 한원진의 김창협 지각론 비판 / 한국철학논집 (36) : 43 ~ 74

  16. [학술지] 이천승 / 2003 / 農巖 金昌協의 知覺論議와 心의 의미 / 한국사상사학 (21) : 331 ~ 358

  17. [학술지] 조남호 / 2009 / 조선후기 유학에서 허령지각과 지의 논변 -송시열, 김창협, 한원진을 중심으로- / 철학사상 (34) : 3 ~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