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인식주체를 중시하는 순자철학이 과연 중서문화의 융합을 이룰 수 있는 모델이 될 수 있는지 인식론적 관점에서 살펴보는데 있다. 모종삼(牟宗三)은 중국전통문화에서 도덕생명의 학문은 발전하였지만, 과학과 민주제도가 발전하지 못한 것은 도덕주체를 중시하는 도통(道統) 이외에 인식주체가 확립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하였다. 과학과 민주제도는 인식주체에 의한 주객대립의 인식론적 구조가 확립되어야 가능하다. 이런 점에서, 인식주체인 마음의 인식작용을 중시하는 순자철학은 유가의 현대화를 성취하는데 좋은 단서가 될 수도 있는 듯하다. 이러한 맥락 하에서, 이 논문은 “순자는 어떻게 인식주체를 건립하는가”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순자철학의 인식의 구조와 본성, 인식의 주체와 대상, 인식의 오류와 확실성, 과학적 사고로의 발전가능성 등의 인식론적 문제를 살펴보았다. 나는 순자철학이 비록 주객대립의 인식론적 구조와 과학적 정신을 중시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지만, 그 철학적 의도가 도덕행위와 사회질서의 확립에 있었기 때문에 과학적 사고방식으로의 발전가능성이 매우 희박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키워드

천관, 천군, 징지, 해폐, 변합부험

참고문헌(16)open

  1. [단행본] 王先謙 / 1992 / 荀子集解 上下 / 中華書局

  2. [단행본] 李滌生 / 1991 / 荀子集釋 / 臺灣學生書局

  3. [단행본] 牟宗三 / 1985 / 名家與荀子 / 臺灣學生書局

  4. [단행본] 牟宗三 / 1984 / 歷史哲學 / 臺灣學生書局

  5. [단행본] 陳大齊 / 1989 / 荀子學說 / 中國文化大學出版部

  6. [단행본] 蔡仁厚 / 1984 / 孔孟荀哲學 / 臺灣學生書局

  7. [단행본] 夏甄陶 / 1979 / 論荀子的哲學思想 / 上海人民出版社

  8. [단행본] 夏甄陶 / 1992 / 中國認識論思想史稿 上卷 / 中國人民大學出版社

  9. [단행본] 김형효 / 2003 / 물학 심학 실학 / 청계

  10. [학술지] 閔永順 / 1996 / 荀子的“天官意物”與“心有徵知”思想探析 / 管子學刊 3

  11. [학술지] 東方朔 / 2005 / 客觀化及其限制 / 北京靑年政治學院學報 14 (4)

  12. [학술지] 吉興 / 2004 / 解蔽與成聖:荀子認識論新探 / 河北學報 24 (5)

  13. [학술지] 정인재 / 순자의 지식론 / 철학회지

  14. [학술지] 김병채 / 1993 / 순자의 지식론 / 중국학보

  15. [학술지] 유희성 / 2000 / 순자철학에서 ‘도덕성’은 무엇에 근거하는가 / 동양철학 13

  16. [학술지] 엄연석 / 1988 / 순자에 있어서의 심에 관한 소고 / 철학논구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