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흄의 철학에서 여성주의 논의와 관련된 첫 번째 쟁점은 인위적 덕으로서 ‘순결’과 ‘정숙’에 대한 흄의 입장이 어떠하였는가 이다. 즉 이 논의와 관련해 흄이 성차별주의자인가 아닌가 하는 것이었다. 두 번째 쟁점은 이성과 감성의 대결구도 속에서 여성주의를 새롭게 해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 두 쟁점을 소개하고 나아가 이성과 감성의 대결 구도가 아닌 확장적 의미에서의 이성 개념인 ‘반성’ 개념을 통해 여성주의의 가치를 발견하는 것이다. 흄은 ‘도덕’과 ‘이성’에 관해 본질적으로 현실적이고 진보적인 생각을 가졌다고 말할 수 있다. 즉 그는 무엇이 옳은 행위이고 참된 믿음인가에 대해 어떤 특권적이고 시간을 초월한 관점이 있다는 것에 반대한다. 흄의 이러한 생각은 20세기 여성주의철학 논의에서 두 가지 흐름에 영향을 주었다. 첫째, 평등주의 시각의 여성주의 철학자들은 ‘이성’의 능력에 있어 여자와 남자가 동일하기 때문에 정치권력에 있어서도 남녀가 평등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편, 이와 다른 전통의 여성주의 철학자들은 여성과 남성의 차별성을 통해 여성의 우월성을 부각시키려 했다. 그에 따르면 여성은 감수성에 있어 남성보다 훨씬 뛰어나고 도덕은 감수성의 문제이기 때문에 여성이 도덕적으로 더 우월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한편, 21세기에 들어 여성주의 철학에서는 ‘이성’이라는 개념에 대해 새로운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여성주의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이러한 입장에 대해 살펴보게 될 것이다. 나는 흄 철학에서 가장 논쟁적 주제의 하나인 ‘이성’ 개념에 대한 최근 게릿과 베이어의 서로 다른 해석이 양립 가능함을 보임으로써 흄 철학에서 여성주의의 가치를 부각시키고자 한다.

키워드

정숙, 순결, 인위적 덕, 이성, 반성

참고문헌(28)open

  1. [학술지] 양선이 / 2011 / 공감의 윤리와 도덕규범: 흄의 감성주의와 관습적 규약 / 철학연구 (95) : 153 ~ 179

  2. [학술지] 양선이 / 2014 / 흄의 도덕감정론에 나타난 ‘반성’ 개념의 역할과 도덕감정의 합리성 문제 / 철학 (119) : 55 ~ 87

  3. [학술지] 양선이 / 2015 / 흄의 철학에서 행복의 의미와 치유로서의 철학 / 철학논집 43 : 9 ~ 39

  4. [학술지] 양선이 / 2016 / 허치슨, 흄, 아담 스미스의 도덕감정론에 나타난 공감의 역할과 도덕의 규범성 / 철학연구 (114) : 305 ~ 335

  5. [학술지] 최희봉 / 2013 / 흄의 철학에서 지성과 정서:『논고』1권의 결론 절을 중심으로 / 동서철학연구 (67) : 57 ~ 74

  6. [학술지] Baier. A. / 1979 / Good Men’s Women: Hume on Chasitity and Trust / Hume Studies 5 : 1 ~ 19

  7. [단행본] Baier. A. / 1987 / Women and Moral Theory / Rowman & Littlefield

  8. [단행본] Baier. A. / 1991 / A Progress of Sentiments: Reflections on Hume’s Treatise / Harvard University Press

  9. [단행본] Baier. A. / 2000 / Feminist Interpretations of Hume /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0. [학술지] Cunningham, A. / 2004 / The Strength of Hume’s ‘Weak’ Sympathy / Hume Studies 30 (2) : 237 ~ 256

  11. [단행본] Diderot, D. / 1964 / Rameau’s Nephew and Other Works / Bobbs-Merrill

  12. [단행본] Garrett, D. / 2004 / Feminist Reflections on the History of Philosophy / Kluwer Academic Publishers

  13. [단행본] Herdt, J. / 1997 / Religion and Fiction in Hume’s Moral Philosophy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단행본] Hume, D. / 1975 / Enquiries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and Concerning the Principles of Morals / Oxford University Press

  15. [단행본] Hume, D. / 1978 / A Treatise of Human Nature / Oxford University Press

  16. [단행본] Hume, D. / 1987 / Essays, Morals, Political, and Literary / Indianapolis

  17. [단행본] Hutcheson, F. / 1738 / An Inquiry into the Original of our Ideas of Beauty and Virtue / D. Midwinter

  18. [학술지] Immerbar, J. / 1988 / David Hume, Sexism and Sociobiology / Southern Journal of Philosophy 21 : 359 ~ 369

  19. [단행본] Lloyd, G. / 1993 / The Man of Reason: “Male” and “Female” in Western Philosophy /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 [단행본] Lloyd, G. / 2000 / Feminist Interpretations of Hume /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21. [단행본] Jacobson, A. J. / 2000 / Feminist Interpretations of Hume /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22. [단행본] McDowell, J. / 1985 / Morality and Objectivity: A Tribute to J. L. Mackie / Routeldge

  23. [단행본] McGinn, C. / 1983 / The Subjective View / Oxford University Press

  24. [단행본] McNaughton, D. / 1988 / Moral Vision: An Introduction to Ethics / Basil Blackwell

  25. [단행본] Owen, D. / 1999 / Hume’s Reason / Oxford University Press

  26. [단행본] Vitz, R. / 2016 / The Oxford Handbook of Hume / Oxford University Press

  27. [학술지] Sayre-McCord, G. / 1994 / On Why Hume’s ‘General Point of View’ Isn’t Idea—and Shouldn’t be / Social Philosophy & Policy 11 (1) : 202 ~ 228

  28. [학술지] Winters, B. / 1979 / Hume on Reason / Hume Studies 5 (1) : 20 ~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