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儒醫의 心에 관한 고찰 - 元代 朱震亨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Mind of Confucian medicine

한국철학논집
약어 : 한철논집
2009 no.27, pp.63 - 84
DOI : 10.35504/kph.2009..27.003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철학사연구회
80 회 열람

본 논문의 목적은 儒醫의 의학적 특징에 근거하여 유학의 心에 관한 논의가 의학적으로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고찰하는 것에 있다. 儒醫들은 心에 관한 유학적 논의를 축적하여 의학적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내경』의 五藏神이나 七情․五志 등 감정과 정서 등의 부분과 연계하여 유학과 의학을 회통하여 이해하려고 하였다. 天人相應의 논의는 ‘陰陽五行’ 배당으로 이어지고, 오장에 배당된 七情과 五志는 결국 인간의 심성이 외부와의 만남을 통하여 사회적․윤리적 의미의 심신관계를 설정하는 키워드가 된다. 儒醫들의 의학적 특색도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성리학의 心統性情, 人心·道心 등의 논의는 물론 主靜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된 것은 『내경』의 七情․五志의 논의와 상통점을 유학에서 찾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儒醫들은 유학적 심성에 대한 의학적 전개에는 君火·相火가 자리하고 있다. 君火․相火는 『내경』에 문헌적 근거가 있으나, 儒醫들은 이를 바탕으로 君火․相火의 논의를 유학의 심성수양의 논의와 결합하여 의학적으로 유학의 심성론을 전개하는 단초를 마련하였다. ‘心火가 一身을 主宰한다’는 주장을 수용하면서도, 活潑潑한 氣의 운동변화를 표현하고자 君火․相火라는 이원적 구조를 설정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어 ‘君火-相火’를 朱震亨이 人火-天火의 관계로 설정한 것은 君火를 交人接物하여 욕망을 일으키는 情志의 영역으로부터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 과정에서 朱震亨은 도교와 의학 그리고 유학을 회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고, 그 이해와 분석을 위해 朱震亨은 周濂溪의 『太極圖說』과 朱子의 人心道心說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이어 朱震亨은 相火의 妄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主靜과 人心․道心이라는 儒學의 방식을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신체의 陰陽中和를 위해서는 情志의 妄動으로 인한 眞陰의 고갈을 ‘滋陰’을 통하여 극복하여야 함도 제시하였다.

I analyzed about the Ruyi(儒醫)'s mind on this article. Ruyi led and Nei-Jing(內經)'s Xin(心)-Shen(神)-Qingzhi(情志) it developed a medical theory. Qingzhi comes true confucianism aims became the good tool. Junhuo(君火)-Xianghuo(相火) for them to apply medically. Junhuo-Xianghuo is a possibility of seeking a ground from Nei-Jing. Junhuo governs all body and Xianghuo takes charge of the role which raises the body. It is to divide huo(火)with relationship of the king and the liege man. After Yuan-dynasty(元代) Ruyi medical sciences grasped Junhuo-Xianghuo with confucianism structures. The representative scholar is Zhu zhen-heng(朱震亨). I analyzed Zhu's Junhuo-Xianghuo. Xin-huo rules over the body. For expression of active Chi, it set the dual structure-'Junhuo-Xianghuo'. And it divided Junhuo from desire and sentiment. And Zhu zhen-heng attempted Taoism and medical science and Confucianism from the process under integrating. And analyzed Junhuo-Xianghuo Confucianism meaning. With Junhuo-Xianghuo and Confucianism described a relationship in the Zhu zhen-heng's theory. Finally view of Ruyi, medical science is the method of confucianism aims comes true.

儒醫, 朱震亨, 心, 神, 五志, 七情, 君火, 相火
Ruyi(儒醫), Zhu zhen-heng(朱震亨), Nei-Jing(內經), Xin(心), Shen(神), Qingzhi(情志), Junhuo(君火), Xianghuo(相火)

  • 1. [단행본] / 1987 / 格致餘論 (『中國醫學大系』 14권) / 여강출판사
  • 2. [단행본] 홍원식 / 1992 / 黃帝內經素問 / 傳統文化硏究會
  • 3. [단행본] / 1993 / 醫門棒喝(上)·(下) / 도서출판 정담
  • 4. [단행본] 홍원식 / 1994 / 黃帝內經靈樞 / 傳統文化硏究會
  • 5. [단행본] 최승훈 / 1998 / 難經 In: 난경입문 / 법인문화사
  • 6. [단행본] 윤창렬 / 2004 / 黃帝內經素問王氷注(上)·(下) / 주민출판사
  • 7. [단행본] 宋天彬 / 1997 / 道敎與中醫 / 文津出版社
  • 8. [학술지] 김승혜 / 1998 / 道敎 上淸派의 생명관 / 道敎文化硏究 / 12
  • 9. [단행본] 이진수 / 1999 / 한국의 양생사상 연구 / 한양대학교출판부
  • 10. [단행본] 金南一 / 2000 / 東醫寶鑑 滋陰論의 醫易學적 해석 In: 朱子易學學術大會 資料集 / 한국주역학회
  • 11. [학위논문] 李龍植 / 2005 / 心腎의 相互關係에 대한 東西醫學的 硏究
  • 12. [학술지] 白裕相 / 2006 / 陳無擇의 君火論과 朱丹溪의 相火論 比較 考察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19 (3)
  • 13. [학술지] 성호준 / 2007 / 儒醫의 개념정립과 張介賓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20 (1) : 125 ~ 1 kci
  • 14. [인터넷자료] / 明宗實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