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힌두교와 자연관, 그리고 생태윤리

Hinduism, the Views of Nature and Ecological Ethics

환경철학
약어 : E.P.
2010 no.9, pp.145 - 176
DOI : 10.35146/jecoph.2010..9.006
발행기관 : 한국환경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환경철학회
362 회 열람

오늘날 현대인이 직면하고 있는 환경위기는 사회제도와 생활양식의 문제이면서 동시에 가치관의 문제이다. 환경위기를 근원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패러다임의 전환을 모색하는 생태주의는 대안적 세계관의 관점에서 힌두교(Hinduism)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힌두교는 아리아인의 경전인 리그베다를 계승하면서 인도 선주민의 토착적 신앙을 적극 수용하는 형태로 개방적 포용성을 보여 왔다. 특히 핵심 경전으로 간주되는 우파니샤드와 바가바드기타는 범아일여 사상과 다양한 해탈의 길을 제시함으로써 영성적 사유의 깊이를 더함과 동시에 인도인의 폭넓은 칭송을 받고 있다. 힌두교의 자연관은 다소 변화 양상을 보였지만, 중심적 흐름에 비추어보면 자연 친화적이다. 필자는 생태사회의 윤리로서 사회윤리의 기본 논제와 유기적 연계성 논제, 자연의 탈도구적 가치 논제 셋을 제시하면서, 이것에 의거하여 힌두교를 평가하고자 한다. 힌두교는 계급사회를 용인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결함을 보이고 있지만, 인간과 자연을 하나로 연결해서 보는 유기적 세계관을 구축하고 있고 또 업과 윤회 사상으로 인해 자연의 탈도구적 가치를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힌두교는 생태주의 사회를 지향하는 현대인에게 그 장점인 영성적 지혜와 바람직한 생태윤리의 자세를 전해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할 수 있다.

The present man in an industrial society is faced with environmental crisis. It will be considered that our ecological crisis is a problem of social institutions and modes of lives on the one hand, and is a problem of views of value on the other hand. If ecological thoughts will hope to pursue the shift of paradigm in order to overcome environmental problems fundamentally, they should scrutinize Hinduism from the point of cosmological views. The Hindu religion ha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open tolerance in the way that it does succeed to the Rig Veda of Arian tribes and accommodate the traditional believes of indigenous residents. The Rig Veda lavishes high praise on various natural forces. The Upanishads teach that our true self is none other than brahman, that is absolute reality. If one could reach one's true reality, atman, then one might merge with the undifferentiated oneness of brahman. The Bhagavad Gita suggests the various ways of spiritual liberation(mokṣa), and thus is praised by people. Hindu views of nature have experience of a little change historically, but the core is nature-friendly obviously. I suggest three theses as the necessary conditions of ethics of ecological society. one is the basic thesis of social ethic, another is the thesis of organic relationships between man and nature, the other is the thesis of non-instrumental value of nature. Hinduism has a difficulty to violate the basic thesis of social ethic, since it allows the hierarchical system of class in society. Nevertheless Hinduism satisfies the thesis of organic relationship and the thesis of non-instrumental value, because it has the thoughts of oneness of Brahman-Atman and action(karma), the cycle of reincarnation(saṁsāra). Therefore it will be regarded that people to intend the realization of ecological society should receive a lot of spiritual wisdoms and the desirable attitudes of ecological ethics from Hinduism.

힌두교, 자연관, 생태윤리, 생태사회, 리그베다, 우파니샤드, 바가바드기타
Hinduism, the views of nature, ecological ethics, ecological society, Rig Veda, Upanishad, Bhagavad Gita.

  • 1. [단행본] 길희성 / 1984 / 인도철학사 / 민음사
  • 2. [단행본] 나라 야스아키 / 1990 / 인도불교 / 민족사
  • 3. [단행본] 라다크리슈난 / 1996 / 인도철학사Ⅰ / 한길사
  • 4. [단행본] 로버트 매킨토시 / 1999 / 생태학의 배경: 개념과 이론 / 아르케
  • 5. [단행본] 스가누마 아키라 / 2003 / 힌두교 / 여래
  • 6. [학술지] 이광수 / 2009 / 고대 힌두교에서 지존위 쉬바와 우빠니샤드 이데올로기 / 역사와경계 / 70 (70) : 79 ~ 70 kci
  • 7. [학술지] 이은주 / 2004 / 인도의 베다사상과 대중신앙 형성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 / 인도연구 / 9 (2) : 201 ~ 2 kci
  • 8. [단행본] 이재숙 / 1996 / 우파니샤드Ⅰ / 한길사
  • 9. [단행본] 정승석 / 1984 / 리그베다 / 김영사
  • 10. [단행본] 존 M.콜러 / 2003 / 인도인의 길 / 소명
  • 11. [단행본] 프리초프 카프라 / 1994 / 현대 물리학과 동양사상 / 범양사
  • 12. [단행본] 한면희 / 2009 / 동아시아 문명과 한국의 생태주의 / 철학과현실사
  • 13. [단행본] 한면희 / 1996 / 우파니샤드Ⅱ / 한길사
  • 14. [단행본] 한면희 / 1996 / 인도철학사Ⅱ / 한길사
  • 15. [학술지] 한면희 / 2009 / 스피노자와 생태철학의 함의 / 환경철학 (8) : 29 ~ 8 kci
  • 16. [기타] / Bhagavad Gītā
  • 17. [기타] / Bṛhadāraṇyaka Upaniṣad
  • 18. [기타] / Chāndogya Upaniṣad
  • 19. [기타] / Muṇḍaka Upaniṣad
  • 20. [기타] / Taittirīya Upaniṣad
  • 21. [기타] / Ṛg Veda
  • 22. [학술지] Callicott,J.B / 1984 / Non-anthropocentric value theory and environmental ethics. / merican Philosophical Quarterly / 21 : 299 ~
  • 23. [학술지] Callicott,J.B / 1985 / Intrinsic value,quantum theory,and environmental ethics / Environmental Ethics / 7 : 257 ~
  • 24. [단행본] Callicott,J.B / 1994 / Earth's insights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25. [단행본] Capra,Frithof / 1975 / The tao of physics / Shambhala
  • 26. [단행본] Chapple,C.K / 1994 / Hindu environmentalism:traditional and contemporary resources in: Worldviews and ecology: religion, philosophy, and the environment / Orbis Books
  • 27. [단행본] Kinsley,D.R / 1982 / Hinduism. Englewood Cliffs / Prentice Hall
  • 28. [단행본] Leopold,Aldo / 1989 / A sand county almanac / Oxford University Press
  • 29. [단행본] Radhakrishnan S / 1976 / The Bhagavadgītā / George Allen & Unwin
  • 30. [단행본] Russell,C.A / 1994 / The Earth,humanity and God / UCL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