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순자의 경험주의적 진리관과 치도론의 명암

Reasoning of Ideal Governance in Xunzi’s Empiricism and Its Limit

동서철학연구
약어 : S.P.E.W
2016 no.82, pp.75 - 104
DOI : 10.15841/kspew..82.201612.75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동서철학회
207 회 열람

순자 철학은 경험주의적 관점에서 공정한 관찰을 통해 진리에 이르는 길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중국 철학사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님에도 불구하고, 성왕을 중심으로 하는 권위주의적 치도론을 주장한다는 점에서 정치철학적 한계를 드러낸다. 이상적 통치술, 곧 치도가 무엇인지는 유가, 도가, 법가, 묵가 등 다양한 사상들 간에 치열한 논쟁이 끊이지 않았을 만큼 정치철학적 난문이다. 공자의 사상을 계승한 순자는 경험주의적 진리관에 기초해 성왕의 통치술을 정당한 것으로서 변호하고자 한다. 순자가 성왕의 치도를 정당화하는 과정에는 진리에 관한 두 가지 입장이 전제되어 있다. 하나는 세계 내에 절대적 진리가 객관적인 형태로 내재한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인간이 관찰과 사유를 통해서 그러한 진리를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순자는 비움, 집중, 고유함 등과 같은 대청명의 마음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정치적 진리인 치도를 온전하게 인식할 수 있다고 본다. 순자는 대청명의 마음 상태를 유지한 공정한 관찰자가 되어 치도에 관한 여러 가설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해본다면 과거 성왕의 치도야말로 최선의 정치적 모범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고 단정한다. 그 결과 순자는 성왕의 치도 모델을 범국가적 차원에서 절대적인 가치로서 선포해야 마땅하다는 권위주의적 통치술을 주장하는 데 이르지만, 이러한 주장은 새로운 가설의 제시 가능성과 사상의 자유를 제약한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In this essay, I try to criticize the limit of Xunzi(荀子)'s political authoritarianism even though his philosophical idea of empirical truth, criticism on prejudice, and impartial observation can be considered a significant achievement in the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It is a controversial issue among Confucianism, Daoism, Legalism, and Mohism what the ideal governance is. Xunzi, who inherits Confucian thought, argues that the sage-kings’ governance in past should be considered an ideal model to govern from the perspective of empiricism. There are two premises for him to rationalize the sage-kings’ governance as the ideal one. One is that there is an absolute and objective truth in the world, and the other is that man can understand the truth with his reason. The person who is in a state of Xu 虛, Yi 壹, and Jing 靜 can recognize the ideal truth of governance by impartial observation. Xunzi insists that our overall examination gives us the confidence that sage-kings in past are one of the most paradigmatic examples in governance. For this reason, he advocates the political authoritarianism that the sage-kings’ governance should be proclaimed as the fundamental basis of politics, which is open to criticism of liberalist philosophy.

순자, 진리, 편견, 치도, 권위주의
Xunzi, truth, prejudice, ideal governance, and authoritaria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