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지역미술관의 전시에 관한 미학적 연구

A Aesthetic Research on the Exhibitions of Local Museums

동서철학연구
약어 : S.P.E.W
2010 no.58, pp.99 - 123
DOI : 10.15841/kspew..58.201012.99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동서철학회
204 회 열람

예술종말론 이후 다원화의 특징을 이루는 현대미술에 있어 더 이상의 중심과 주변, 고급과 저급에 대한 경계는 없다. 주체에 대한 다중적 사유가 가능하고 고착적 의미의 구조가 파괴된 미술에서는 과거의 어떠한 규범도 필요치 않다. 단지 요구되는 것이 있다면 예술작품으로서 볼 수 있는 이론적 해석의 잣대 즉 철학만이 요구되는 것이다. ‘지각되는 것에서’에서 ‘의미하는 것’으로 전환된 현미술계는 매체의 확장과 장르간의 혼합을 적극적으로 이뤄내는 역사적 경계가 없는 노마드적 세계다. 작품에 대한 자격부여는 철학적 범주로서만 가능한 상황에서 전시와 전시기획의 의미는 중차대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지역에 관한 새로운 논의가 부각되는 시기에 지역미술관의 전시에 관한 철학적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지역의 국공립미술관과 지역미술관은 문화적 다양체로 차이와 타자가 공존하는 특정 장소로서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철학적 비전을 가지고 전시를 기획하고 지향해야할 것이다. 한 지역이 갖고 있는 시간적․공간적 역사성의 구체적 독자성에 관한 진지한 철학적 기반을 통한 전시기획이 선행되어야 지역미술관의 전시기획에 있어서 발전적인 지평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Since the eschatology of art, pluralistic contemporary art has not had a border between its center and surrounding areas, or between its high and low classes. Art, in which multiple thoughts about a subject are possible, and the structure of fixed meanings are destroyed, no longer needs the regulations of the past. If something is needed, it is a measure of theoretical analysis that regards a piece as an artistic work, that is, a philosophy. The current art circles, which have changed from ‘recognized arts’ to ‘meaning arts’, are a nomadistic world in which the expansion of media and the mixture of genres are actively conducted and there is no historic border. Since qualifying a piece as an artistic work is possible only in a philosophical category, exhibitions and their plans have an important meaning. As national and private museums within a region are special places where people and artistic differences exist as culturally diverse bodies, museums should plan exhibitions with a philosophical vision based on their region. When an exhibition is planned through a sincere philosophical basis on the concrete identity of the temporal and spatial historicity of a region, such exhibitions of local museums can secure the horizon of development.

지역미술, 지역기반성, 전시, 전시기획, 예술계, 예술제도론
local art, local basis, exhibition, exhibition plan, art world, institutional nature of art

  • 1. [단행본] 김형숙 / 2001 / 미술,전시,미술관 / 예경
  • 2. [단행본] 김형숙 / 2001 / 미술관과 소통 / 예경
  • 3. [단행본] 아서 단토 / 2007 / 철학하는 예술 / 미술문화
  • 4. [학술지] Danto,A / 1964 / Journal of Philosophy / 15
  • 5. [단행본] 허버트 리드 / 2004 / 예술의 의미 / 문예출판사
  • 6. [단행본] 데이비드 딘 / 1998 / 미술관 전시 이론에서 실천까지 / 학고재
  • 7. [단행본] 마이클 벨처 / 2006 / 박물관 전시의 기획과 디자인 / 예경
  • 8. [단행본] 배영달 / 2005 / 보드리야르와 시뮬라시옹 / 살림
  • 9. [단행본] 발터 벤야민 / 1988 /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 민음사
  • 10. [단행본] 발터 벤야민 / 1994 / 현대사회와 예술 / 문화과 지성사
  • 11. [단행본] 윤난지 / 2002 / 전시의 담론 / 눈빛
  • 12. [단행본] 이영진 / 2004 / 박물관 전시의 이해 / 학문사
  • 13. [단행본] 조지 디키 / 1998 / 예술사회 / 문학과지성사
  • 14. [단행본] 조지 디키 / 1996 / 미학입문 / 서광사
  • 15. [단행본] 조상영 / 2008 / 대전현대미술의 패러다임 / 다빈치기프트
  • 16. [단행본] Hooper-Greenhill / 1992 / Eliean, Museum and the Shaping of Knowledge / Routledge
  • 17. [단행본] Robert Lumley / 1988 / The Museum Time-Machine / A Comedia Book
  • 18. [학술지] Elsen, Albert / 1986 / Assessing the Pros and Cons / Art in America
  • 19. [기타] 손지연 / 2009 / 천상에서 지상으로의 대이동-르네상스 프레스코 걸작 재현전을 준비하며- in MASTERPIECES of Renaissance Frescoes / 아주미술관
  • 20. [학술지] 김형숙 / 2000 / 전시에 있어 재현의 의미 /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14)
  • 21. [기타] 최영근 / 2008 / 대전미술 빠진 10주년 아쉽다 / 중도일보
  • 22. [기타] 이지호 / 2008 / 대전미술 하나 : 그림으로 말하다
  • 23. [기타] 임양수 / 1995 / 대전미술의 어제와 오늘
  • 24. [기타] 이윤희 / 2008 / 대전미술 에 대한 小考 / 대전미술 하나:그림으로 말하다
  • 25. [기타] 송미경 / 2008 / 대전미술의 형성과 전개 / 대전미술 하나 : 그림으로 말하다
  • 26. [기타] 문화체육관광부 / 2009 / 전국문화기반시설총람 / 문화체육관광부
  • 27. [기타] / 2008 / 대전시립미술관 개관 10주년 기념전 도록 in 대전미술 하나 : 그림으로 말하다 / 대전시립미술관
  • 28. [기타] / 2009 / MASTERPIECES of Renaissance Frescoes / 아주미술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