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인도의 수행 전통 속에서 수행자의 표상으로 전승되었던 ‘요가적 좌법으로서 아사나’가 수행차제에서 그 위상을 상실한 듯하다. 아사나는 8지 중의 쁘라나야마처럼 쁘라나(氣)를 중심으로 한 기체(氣體)로서 몸에 대한 경맥학적 원리를 내재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아사나 단계에서는 체표로 떠서 상기(上氣)하는 열기를 제어하여 순행시킨다. 그래서 소화기관(6부)에 연결된 나디들을 정화하면서, 체표로 흩어지는 열기를 복부로 하강시키고 사지 말단까지 나디(경맥)를 소통시킨다. 그 결과 아사나는 불(火)을 요소로 하는 maṇipura-cakra의 자리인 배꼽을 중심으로 ‘소화의 불’을 일으키게 되고, 이렇게 발생된 복부의 열은 꾼달리니 현상의 발단이 된다. 쁘라나야마 단계에서는 호흡에 따라 체내외로 연결된 나디들을 소통시켜서 전신의 나디 체계에 장애가 없도록 정화한다. 이때 쁘라나를 보유하는 kumbhaka을 수련할 수 있는 조건이 구비된다. 그 결과 saṃyama 단계에서는 나디들이 몸의 중심과 anāhata-cakra(心中)이나 ājñā-cakra(미간)에 몰입되는 수련으로 진전된다. 이러한 전체 수행차제는 유출(流出) 내지 원심성 수행에서 시작하여 환멸(還滅) 내지 구심성 수행으로 진전된다. 본론에서는 요가의 수행차제가 쁘라나(=氣)와 나디(=經脈)를 근간으로 한 경맥학적 원리에 따라, 아사나 단계에서부터 체계화되어 있음을 고찰했다.

키워드

아사나, 수행차제, 생리학, 8지, 쁘라나(氣), 나디(경맥), 열기, 상기(上氣), 소화의 불, 꾼달리니, 경맥학

참고문헌(43)open

  1. [단행본] The Gheranda Samhita / 1981 / Gheraṇda-saṃhitā. Rai Bahadur Srisa Chandra Vasu / Sri Satguru Publications

  2. [기타] / Haṭhayoga-pradīpikā of Svātamārāma

  3. [단행본] Jyotsnā. K. Kunjunni Raja / 1972 / The Haṭhayogapradīpikā of Svātmārāma: With the Commentary / The Adyar Library and Research Center

  4. [단행본] / 2001 / Rājamārtaṇḍa of Bhojarāja. Pātañjalayogasūtrāni / Pravachan Prakashan

  5. [기타] / Sarvadarśana-saṃgraha

  6. [단행본] The Siva Samhita / 1981 / Śiva-samhitā. Rai Bahadur Srisa Chandra Vasu / Sri Satguru Publications

  7. [기타] / Śvetāśvatara Upaniṣad

  8. [기타] / 大正新脩大藏經

  9. [기타] / Yogasūtra-bhāṣya of Vyāsa

  10. [기타] / Yogasūtra of Patañjali

  11. [기타] / Yogatattva Upaniṣad

  12. [단행본] T. S. Rukmani / 1983 / Yogavārttika of Vijñānabhikṣu, Vols. 2 /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Pvt. Ltd.

  13. [기타] / Yogavāsiṣṭa of Vālmīki

  14. [기타] / 大智度論 권7 / T 25

  15. [기타] / 坐禪三昧經 卷上 / T 15

  16. [기타] / 增壹阿含經 권50

  17. [기타] / 大愛道般涅槃品 / T 2

  18. [단행본] Eliade, Mircea / 1958 / Yoga: Immortality and Freedom / Princeton Unive rsity Press

  19. [단행본] Feuerstein, Georg / 2001 / The Yoga Tradition / Hohm Press

  20. [단행본] Flood, Gavin / 1996 / An Introduction to Hinduism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단행본] Frawley, David / 1999 / Yoga and Ayurveda: Self-Healing and Self-Realization / Lotus Press

  22. [단행본] Ghosh, Shyam / 1980 / The Original Yoga as Expounded in Śiva-Sa mhitā, Gheraṇḍa-Samhitā, and Pātañjala Yoga-sūtra /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Pvt. Ltd.

  23. [단행본] Kāvyatīrtha, Nyāyāchārya / 2001 / Yogasūtram by Maharṣipatañjali / Chaukambha Publications

  24. [단행본] Krishna, Gopi / 1978 / The Dawn of a new Science / Kundalini Researchand Publication Trust

  25. [단행본] Motoyama, Hiroshi / 2001 / Theories of The Chakras: Bridge to Higher Consciousness / Shri Jainendra Press

  26. [단행본] Satyananda Saraswati, Swami / 2001 / Kundalini Tantra / Yoga Publication Trust

  27. [단행본] Venkatesananda, Swami / 1993 / Vasistha’s Yoga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8. [단행본] Vishnu-devananda, Swami / 1987 / Hatha Yoga Pradipika /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29. [단행본] Woodroffe, John / 1914 / Principles of tantra / Ganesh & Co

  30. [단행본] Woodroffe, John / 2009 / Śakti and Śākta / Ganesh & Co

  31. [학술지] 박영길 / 2009 / 『하타요가쁘라디삐까(Haṭayogapradīikā)』제3장 무드라 의 국역과 주해(Ⅰ) / 요가학연구 1

  32. [단행본] 박영길 / 2013 / 하타요가의 철학과 수행론 / CIR

  33. [학위논문] 박애란 / 1998 / 「쉬바상히타(Siva-samhitá)」에 나타난 하타요가의 의의

  34. [학위논문] 배주현 / 2001 / 백은선사의 『야선한화』에 나타난 선병치료에 관한 연구

  35. [단행본] 안영기 / 2002 / 經穴學叢書 / 성보사

  36. [학술지] 이거룡 / 2013 / 아유르베다, 요가, 딴뜨라에서 몸(Śarīra)의 구원론적 의미_5종 조대요소 병렬구조, 5겹 덮개 중층구조, 남성-여성 양극구조를 중심으로_ / 인도철학 (39) : 135 ~ 170

  37. [단행본] 이경우 / 2010 / 黃帝內經素問 中 / 여강출판사

  38. [학술지] 이동규 / 2000 / 募穴의 位置및 作用과 反應帶와의 相關性 考察 / 대한경락경혈학회지 17

  39. [학술지] 정승석 / 2004 / 고전 요가 좌법의 다양성 / 인도철학 (16) : 247 ~ 283

  40. [학술지] 정승석 / 2004 / 고전요가의 부수적 좌법 / 인도철학 (17) : 69 ~ 90

  41. [단행본] 정승석 / 2010 / 요가수트라 주석 / 소명출판

  42. [단행본] 채인식 / 1974 / 국역편주의학입문 I / 남산당

  43. [인터넷자료] / http://blog.youthwant.com.tw/fk1955/hc1151/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