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유가의 도덕철학에서 자아실현(self-realization)의 인간학적인 논변은 육구연의 학문체계에서도 중요한 내용이 된다. 그의 학문의 종지는 인간의 내면적 덕에 주체적 의지를 담보하려는 尊德性의 문제에 있다. 존덕성은 바로 완전한 인격체에는 능동적이고도 자율적인 최고의 준칙이 자리잡고 있다는 확신에서 나온 말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최고의 준칙을 ‘修養經’이라는 말로 표현한다. 이는 人道의 본령과 그 실현가능성의 지평을 가리킨다. 육구연에게 修養經은 ‘心卽理’의 체현적 경지로 대변되는데, 이는 인간 마음속에 正義와 正道의 보편적 가치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는 『역전』에서 논한 九卦의 덕목을 논변하는 과정에서도 이러한 내용을 피력한다. 『역전』에서 九卦의 덕목을 거론함으로써 인간 삶에 대한 자각의식이 어떻게 윤리의식으로 고양될 수 있는가 하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다면, 육구연은 아홉 가지 괘의 덕목과 그 義理的 논변을 통해 존덕성의 본령이 무엇이며 그 실현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잘 드러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육구연의 존덕성의 취지에 맞게 九卦 전체를 일련의 修身의 과정으로 보고, 이를 자아로부터 타자에로 진행하는 3단계로 나누어 논하고 있다. 즉 존덕성의 내면적 태도로서 履卦, 謙卦, 復卦의 덕성을, 그 운용원칙으로서 恒卦, 損卦, 益卦의 덕성을, 그 외면적 발현으로서 困卦, 井卦, 巽卦의 덕성을 설정한다. 이는 心學의 논지, 즉 “마음을 보존하여 리를 밝힌다(存心明理)”는 본령과 일치하고, ‘心卽理’의 체현적 경지와 일맥상통하며, 궁극적으로는 자아와 타자의 관계로 대변되는 ‘修己治人’의 윤리학적 人間觀으로 귀결된다.

키워드

도학, 역도, 인도, 삼진구덕, 존덕성, 수양경, 수기치인

참고문헌(16)open

  1. [단행본] / 『周易』, 十三經注疏本

  2. [단행본] / 『論語』, 十三經注疏本

  3. [단행본] / 『大學』, 十三經注疏本

  4. [단행본] 金景芳 / 1988 / 周易講座 / 吉林大學

  5. [단행본] 高亨 / 1988 / 周易大傳今註 / 齊魯書社

  6. [단행본] 孔潁達 / 1999 / 周易正義 / 北京大學出版社

  7. [단행본] 勞思光 / 1988 / 中國哲學史 / 탐구당

  8. [단행본] 陸九淵 / 1936 / 象山全集, 四部備要 / 中華書局

  9. [단행본] 馮友蘭 / 1984 / 中國哲學史 / 中華書局

  10. [단행본] 朱伯崑 / 2005 / 易學哲學史 / 昆侖

  11. [단행본] 劉宗賢 / 1997 / 陸王心學硏究 / 山東人民

  12. [단행본] 김길락 / 1995 / 象山學과 陽明學 / 예문서원

  13. [학술지] 김연재 / 2004 / 왕양명 도덕철학의 역리(易理)적 토대-'수시치양지'(隨時致良知)와 내심수양의 본체론적 원리 / 동양철학 (22) : 163 ~ 188

  14. [학술지] 김연재 / 2007 / 주역 九卦덕목에 나타난 憂患의 易道와 수양론의 綱領 / 양명학 (19) : 281 ~ 324

  15. [학술지] 김연재 / 2008 / 육구연의 心本論과 天人一本의 강령 ― 皇極의 범주화 및 大中의 道를 중심으로 ― / 동양철학 (30) : 247 ~ 274

  16. [학술지] 박재주 / 2007 / 유가윤리에서의 도덕적 딜레마 해결방식으로서의 경(經)→권(權)〓선(善) / 윤리연구 1 (64호) : 157 ~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