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한자문화권에서 宋學의 의의라고 한다면 자아실현의 인간학적 지평을 열었다는 점이다. 그 학문체제인 道學은 바로 자아실현의 본질과 그 과정이 무엇인지를 밝혀놓은 것이다. 자아실현은 天人合一의 이념 하에서 內聖外王 혹은 皇極經世의 궁극적 단계를 성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육구연의 심본론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된다. 그는 ‘天人一本’의 강령에 입각하여 인간 내면세계의 화합적 경지를 제시한다. 특히 그는 우주론에서 거론된 皇極과 太極 개념을 해석하고 그 속에서 ‘大中’의 범주를 도출함으로써 인간 마음의 경지를 규명한다. 이 경지가 천도와 인도의 일체성을 체득하는 데에서 도달하는 주체의식의 궁극적 단계, 즉 ‘大中의 道’이다. ‘大中’이라는 말은 우주 혹은 천체의 운행질서에 합당하다는 의미에서 충만성과 충족성의 규준을 가리키며, ‘大中의 道’는 이 규준을 인간 마음의 원칙이나 원리로 환원한 관념이다. 그러므로 ‘大中의 道’란 인간 마음에서 실천행위의 도덕적 준칙을 체득하는 경지를 함축한다. 修養經의 원칙에 따르면, 전우주적으로 합당하고도 타당한 ‘大中’의 全一的 방식을 통해서만이 인간의 내면적 덕성에 주체적 자율성이 확보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의 心本論은 ‘大中의 道’의 인간학적 차원에서 心卽理의 원리를 구현하고 궁극적으로는 인간 마음에 正義와 正道의 보편적 가치를 담보하고자 한 것이다.

키워드

도학, 천인일본, 대중의 도, 심즉리, 태극, 황극, 내성외왕, 황극경세

참고문헌(27)open

  1. [기타] / 『周易』, 十三經注疏本

  2. [기타] / 『書經』, 十三經注疏本

  3. [기타] / 『禮記』, 十三經注疏本

  4. [기타] / 『論語』, 十三經注疏本

  5. [기타] / 『孟子』, 十三經注疏本

  6. [기타] / 『大學』, 十三經注疏本

  7. [기타] / 『中庸』, 十三經注疏本

  8. [단행본] 周敦 / 1936 / 太極圖說(周濂溪集) / 商務印書館

  9. [기타] / 周敦?, 『通書』, 상동

  10. [단행본] 程顥/程 / 1981 / 河南程氏遺書(二程集) / 中華書局

  11. [단행본] 陸九淵 / 1936 / 象山全集, 明李氏刻本, 四部備要 / 中華書局

  12. [단행본] 楊簡 / 1991 / 慈湖先生遺書 / 山東友誼書社

  13. [단행본] 王守仁 / 1995 / 王陽明全集 / 上海古籍

  14. [단행본] 王畿 / 2007 / 王畿集 / 鳳凰

  15. [단행본] 馮友蘭 / 1984 / 中國哲學史 / 中華書局

  16. [단행본] 朱伯崑 / 2005 / 易學哲學史 / 昆侖

  17. [단행본] 劉宗賢 / 1997 / 陸王心學硏究 / 山東人民

  18. [단행본] 董玉整 / 1996 / 中國理學大辭典 / 南大學

  19. [단행본] 關長龍 / 2001 / 兩宋道學命運的歷史考察 / 學林

  20. [단행본] 김길락 / 1995 / 象山學과 陽明學 / 예문서원

  21. [단행본] 시마다 겐지 / 1993 / 주자학과 양명학 / 까치

  22. [단행본] Lyman Van Law Cady / 1939 / The Philosophy of Lu Hsiang-shan, A Neo-Confucian Monistic Idealist / Academy Books Co

  23. [학술지] 김연재 / 2006 / 楊簡의 心學에 있어서 ‘心卽道’의 원칙과 그 修養經 / 동양철학 26

  24. [학술지] 김연재 / 2004 / 왕양명 도덕철학의 역리(易理)적 토대 ―‘수시치양지’(隨時致良知)와 내심수양의 본체론적 원리 / 동양철학 22

  25. [학술지] 김연재 / 2006 / 왕기의 心本論과 그 易理的 해석 / 양명학 (16) : 5 ~ 44

  26. [단행본] 鄧慶平 / 2006 / 試論陸學的基本問題, 『六經注我』, 鄭曉江 / 社會科學文獻

  27. [단행본] 鍾小石 / 2006 / 論陸九淵哲學的本體論思想(六經注我) / 社會科學文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