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정약용은 주자학에 대한 비판을 통해 새로운 사상체계의 정립을 시도하였다. 다산의 사상 가운데 가장 중요한 분야의 하나는 윤리사상에 관한 것이다. 다산은 윤리사상뿐 아니라 윤리교육에 대해서도 남다른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유배지에서 인근의 아동들을 모아서 교육하는 가운데 『제경(弟經)』을 편찬해서 가르쳤다. 다산은 『소학(小學)』이 아동들을 대상으로 교육하는데 있어서 일부 문제가 있다고 여겨서 『제경』을 편찬하였다. 『제경』은 『소학』에 비해 내용이 간결하고, 철저하게 아동중심의 교재이며 일상생활의 실천예절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부모⋅스승⋅어른에 대한 예절, 일상에서의 음식예절, 남녀 사이의 예절 등을 포함하고 있다. 비록 내용이 『소학』의 범위를 크게 벗어난 것은 아니지만, 합리적인 내용을 선택하였으며 실천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하여 실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산은 논어⋅맹자⋅대학⋅중용 등 사서(四書)에 대해서도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 다산의 사서에 대한 새로운 해석서도 넓은 의미의 윤리교육의 교재로 볼 수 있다. 다산은 사서의 핵심적인 윤리적 원리가 서(恕)라고 보았다. 따라서 성인을 위한 윤리교육에 있어서는 서(恕)라는 윤리적 원리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실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여겼다. 그리고 다산은 도덕적 마음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제(上帝)의 존재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마음 수양을 위해서는 늘 상제(신)의 존재를 의식하고 경외(敬畏)하는 계신공구(戒愼恐懼), 그리고 혼자만이 아는 것에 대해서도 삼가는 신독(愼獨)이 매우 중요하다고 이해하였다. 다산은 윤리교육의 궁극적 근거와 기초를 형이상학적 태극이 아니라 인격적 상제의 존재에서 찾고자 하였다. 이것은 상제의 존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설득력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를 남긴다.

키워드

윤리교육, 도덕교육, 제경, 정약용, 한국유교

참고문헌(11)open

  1. [단행본] 정약용 / 1985 / 여유당전서 / 여강출판사

  2. [단행본] 정약용 / 2012 / 정본 여유당전서 / 다산학술문화재단

  3. [기타] 정약용 / 弟經 / 윤동옥씨 소장본(『다산과 현대』1호에 영인본 수록)

  4. [단행본] 정약용 / 국역 다산시문집

  5. [단행본] 정약용 / 1984 / 국역 목민심서4 / 창작과 비평사

  6. [단행본] 정약용 / 2016 / 대학공의⋅대학강의⋅소학지언⋅심경밀험 / 사암

  7. [학술지] 장승구 / 2007 / 다산 정약용의 윤리사상 연구 / 한국철학논집 (21) : 165 ~ 195

  8. [단행본] 장승희 / 2005 / 다산 윤리사상 연구 / 경인문화사

  9. [단행본] 정일균 / 2000 / 다산사서경학연구 / 일지사

  10. [단행본] 한국철학사연구회 / 2004 / 다산경학의 현대적 이해 / 심산

  11. [학술지] 황병기 / 2008 / 『제경(弟經)』의 체제 분석과 저작자 연구 / 다산과 현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