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왕심재는 『대학』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을 통하여 ‘身’을 중심으로 하는 철학체계를 수립한다. 소위 ‘회남격물설(淮南格物說)’이라 불리는 것이 그것인데, 거기서 그는 신, 가, 국, 천하를 일물(一物)로 파악하고 그 중심(근본)에 ‘신’을 설정함으로써 ‘수신’을 통한 ‘치국평천하’를 기도한다. 그리고 당시의 사회를 ‘이욕과 사치 풍조 속에서 전통도덕질서가 점차 붕괴되어 가던 시대’로 규정한 그는, 전통도덕질서에 기초한 유가적 사회를 재구축하고자 하였다. 그 방법으로 덕과 효를 기준으로 하는 일련의 관리임용제도를 제시함으로써 전국적으로 도덕적 기풍을 진작시키고, 유덕한 儒師를 통한 덕치의 실현을 기획한다. 그가 ‘신’론을 통해 수립하려고 했던 치국평천하의 모습이 바로 이것이었다. 이러한 일련의 철학을 실천하고 전국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제시된 것이 바로 ‘사도론’이었다. 만물일체의 철저한 자각 위에서 타자의 고통을 감지하고, 그 고통으로부터 구원하여 올바른 사회로 인도하고자 하는 사명감이 ‘(관직에) 나아가서는 제왕의 사가 되고 물러나서는 만세의 사’를 지향하는 ‘사도’론으로 나타났던 것이다. 당시 그의 사도론의 과격한 양상을 비판하는 자도 있었으나, 본고는 그의 철학적 이론인 ‘신’론과 이상사회론, 그리고 그것의 실현방법론으로서의 ‘사도’론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음을 논증하고, 그 위에서 ‘사도’론이 그의 이상사회 실현에 필수불가결한 요청이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키워드

王心齋, 師道, 安身, 保身, 帝師, 萬世師

참고문헌(16)open

  1. [기타] / 『論語』, 『中庸』, 『大學』

  2. [기타] / 『朱文公文集』

  3. [기타] / 『王陽明全集』, 『王畿集』, 『王心齋全集』, 『羅近溪先生全集』, 『王東崖先生遺集』

  4. [기타] / 『明儒學案』

  5. [단행본] 岩問一雄 / 1968 / 中國政治思想史硏究 / 未來社

  6. [단행본] 島田虔次 / 1970 / 中國における近代思惟の挫折 / 筑摩書房

  7. [단행본] 岡田武彦 / 1970 / 王陽明と明末の儒學 / 明德出版社

  8. [단행본] 岡田武彦 / 1992 / 現代の陽明學 / 明德出版社

  9. [단행본] 荒木見悟 / 明代思想硏究 / 倉文社

  10. [단행본] 楊國榮 / 1994 / 陽明學 / 예문서원

  11. [단행본] 티모시브룩 / 2005 / 쾌락의 혼돈―중국명대의 상업과 문화 / 이산

  12. [단행본] 佐野公治 / 1971 / 王心齋論 / 日本中國學會報 第23集

  13. [단행본] 譚邦君 / 1987 / 淺評王艮的淮南格物說 / 中國哲學史

  14. [단행본] 中純夫 / 王畿の講學活動 / 富山大學人文學部紀要

  15. [학술지] 졸고 / 2001 / 왕심재의 ‘身’論―양명학 대중화에의 공헌― / 哲學思想 (창간)

  16. [학술지] 황갑연 / 2007 / 시대정신에서 본 왕간철학의 의의 / 양명학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