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가장 본질적으로 당면한 과제는 실상 인간의 자질, 인성에 관한 문제이다. 이는 현 교육의 실상과 현행법을 보더라도 쉽게 알 수 있는 사실이다. ‘인성’에 대한 동양철학에서의 연구는 양명학의 입장에서 이루어져 왔으나, 사실 주자학에서 그 실제적인 교육원리를 찾아볼 수 있다. 이는 바로 육왕이 비판하는 주자의 ‘격물치지’공부이다. 본 연구는 지(知)공부로 알려져 있는 격물치지가 인성교육에 있어 적용되는 실제적인 원리를 모색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주자학의 수양공부특성인 존덕성(尊德性)과 도문학(道問學)의 관계를 고찰하고, 도문학의 주요 방법인 격물과 치지를 검토함으로써 주희 공부의 특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그리고는 격물과 치지의 과정과 원리를 통해 인성 교육적 요소와 교육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는 원리를 탐색함으로써 이 시대에 적합한 인성 교육적 측면에서 격물치지 공부의 의의를 드러내고자 한다.

키워드

주자, 인성 교육, 격물치지, 절기체찰, 배움

참고문헌(28)open

  1. [기타] / 近思錄

  2. [기타] / 朱子語類

  3. [기타] / 宋元學案

  4. [기타] / 孟子集註

  5. [기타] / 大學或問

  6. [기타] / 朱文公文集

  7. [기타] / 近思錄集註

  8. [단행본] 성백효 / 1991 / 대학⋅중용집주』 / 전통문화연구회

  9. [단행본] 최원호 / 2013 / 인성코칭, 아이의 미래를 디자인하다』 / 푸른영토

  10. [단행본] 김우형 / 2005 / 주희 철학의 인식론』 / 심산

  11. [단행본] 趙峰 / 2004 / 朱熹的窮極關懷』 / 華東師範大學出版社

  12. [학위논문] 임희정 / 2008 / 주⋅륙 논쟁의 교육학적 해석

  13. [학위논문] 임정자 / 2002 / 양명학의 인성교육적 함의

  14. [학위논문] 전현희 / 1999 / 주희의 격물치지론 연구

  15. [학위논문] 양훈식 / 2008 / 주자의 인식론 연구

  16. [학위논문] 정태문 / 1995 / 주희 공부론중 격물설 연구

  17. [학위논문] 전병욱 / 2008 / 주자 인론 체계와 공부론의 전개

  18. [학위논문] 이은미 / 2005 / 교육방법으로서의 독서 : '주희의 독서론'을 중심으로

  19. [학술지] 홍성민 / 2009 / 궁극적 이치와 실천적 앎 — 朱子 致知論의 실천지향성 — / 동양철학연구 (58) : 193 ~ 222

  20. [학술지] 연재흠 / 2006 / 朱熹 哲學에 있어 ‘知覺’의 意義 / 한국철학논집 (18) : 173 ~ 212

  21. [학술지] 김우형 / 2015 / 덕 인식론의 관점에서 본 지(智)와 지각(知覺)의 문제 : 성리학에서 지적인 덕에 관한 두 입장의 현대적 해석 / 동서철학연구 (75) : 115 ~ 146

  22. [학술지] 이상돈 / 2015 / 이일분수론으로 보는 주자의 격물치지설 / 한국철학논집 (44) : 39 ~ 60

  23. [학술지] 송봉구 / 2009 / 朱子의 格物致知論 / 동양문화연구 3 : 151 ~ 187

  24. [학술지] 박경환 / 1994 / 공부방법로서의 존덕성과 도문학-주희와 육구연의 아호논쟁 / 중국철학 14

  25. [학술지] 황금중 / 2010 / 주자의 독서론: 격물치지공부로서의 독서 / 교육철학연구 (47) : 249 ~ 280

  26. [학술지] 황금중 / 2009 / 주자학의 공부 원리로서의 ‘위기지학’, ‘하학이상달’, ‘존덕성이도문학’ / 한국교육사학 31 (2) : 181 ~ 204

  27. [학술지] 이연정 / 2016 / 주희 독서론: 함양공부로서의 독서 / 양명학 (44) : 201 ~ 226

  28. [학술지] 강영안 / 2001 / 주자의 독서론 / 철학연구 5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