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생태학적 자아의 정립과 생태학적 감수성 증진을 위한 교육

Establishment of Ecological Self and Education for Promoting Ecological Sensitivity

환경철학
약어 : E.P.
2013 no.16, pp.61 - 81
DOI : 10.35146/jecoph.2013..16.003
발행기관 : 한국환경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환경철학회
153 회 열람

본 글은 생태학적 자아의 정립과 생태학적 감수성의 증진을 위한 교육 방안에 대해 탐색한 것이다. 오늘날의 생태학적 위기는 세계관의 문제임과 동시에 생태학적 감수성의 문제와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우리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생태친화적인 생태학적 자아를 정립함과 동시에 생태학적 감수성을 증진하는 데 진력해야 한다. 전체론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는 생태학적 자아는 무한한 생태학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자연에 대해 인지적ㆍ정서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하며 자연의 아름다움과 신비로움을 식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생태학적 감수성을 지닌 자아다. 생태학적 감수성을 증진하는 교육은 생태학적 상상력을 키우는 교육, 생명을 사랑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기르는 교육, 공감적 의식과 이해를 고양하는 교육, 심미적 감수성을 증진하는 교육을 지향하며, 이러한 생태학적 감수성을 증진하는 데는 서사적 접근 방법과 자연체험 학습 방법이 가장 적합하다. 이 두 가지 교수학습 방법은 인간과 자연의 유기적 관계, 과정과 맥락, 직접적이고 감각적인 자연체험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생태학적 감수성 증진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생태학적 감수성의 증진 교육은 자연친화적인 태도와 자연의 아름다움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고, 궁극적으로는 인간 사회의 발전과 지구공동체의 보전에 크게 이바지할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establishment of ecological self and education for promoting ecological sensitivity. We must establish the ecological self, and promote ecological sensitivity in order to solve this current ecological crises, because ecological crises are matters of worldview and issues related to ecological sensitivity. An ecological self based on holistic worldview has ecological sensitivity, in that ecological self can present imaginations, have a cognitively and emotionally sensitive responses about nature, and appreciate the beauty and mistery of nature. Education for promoting ecological sensitivity aims at promoting an ecological imagination, an attitude of love and respect about life, empathetic consciousness and understanding, and aesthetic sensitivity. And the most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se educations are the narrative and nature learning experience. These approaches focus on organic relationships between man and nature, processes and contexts, and direct, sensual experiences in nature. Therefore, education for promoting ecological sensitivity will cultivate the nature-friendly attitude and capacity of aesthetic appreciation about nature,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human society and preservation of global community.

생태학적 자아, 기계적 세계관, 전체론적 세계관, 생태학적 감수성, 심미적 감수성, 자연체험학습
ecological self, mechanistic worldviews, holistic worldviews, ecological sensitivity, aesthetic sensitivity, Nature experience learning

  • 1. [기타] 교육과학기술부 / 2012 / 「도덕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2-11호[별책 6]
  • 2. [단행본] 김성진 / 1999 / 생태문제와 인문학적 상상력 / 나남출판 : 37 ~
  • 3. [단행본] 김용민 / 2003 / 생태문학: 대안사회를 위한 꿈 / 책세상
  • 4. [학위논문] 金義洙 / 1978 / Dilthey에 있어서의 體驗의 問題
  • 5. [학술지] 노희정 / 2006 /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윤리교육 / 환경철학 (5) : 1 ~ 5 kci
  • 6. [단행본] 노희정 / 2007 / 심층생태주의에서의 자기실현, In 생태문화와 철학 / 금정 : 53 ~
  • 7. [학술지] 노희정 / 2010 / 화이트헤드의 유기체철학에 나타난 생태학적 세계관과 도덕과 교수학습방법 / 초등도덕교육 (33) : 137 ~ 33 kci
  • 8. [단행본] 문광훈 / 2006 / 김우창의 인문주의: 시적 마음의 동심원 / 한길사
  • 9. [학술지] 박병춘 / 2005 / 배려윤리의 초등 도덕과교육에의 적용방안 / 도덕윤리과교육 (20) : 247 ~ 20 kci
  • 10. [학술지] 박병춘 / 2010 / 배려윤리 중심의 홀리스틱 도덕교육 / 도덕윤리과교육 (31) : 111 ~ 31 kci
  • 11. [단행본] 안옥선 / 2006 / 지식기반사회와 불교생태학 / 아카넷 : 263 ~
  • 12. [단행본] 윤형해 / 2006 / 포스트모더니티와 생태불교: 메이시의 생태학적 자아와불교의 자아부정, In 지식기반사회와불교생태학 / 아카넷 : 236 ~
  • 13. [단행본] 정정호 / 2000 / 팽팽한 밧줄 위에서 느린 춤을: 생태학적 탈근대론과 21세기 문화인류학 / 동인
  • 14. [학술지] 진선희 / 2011 / 1970년대 이후 동시의 생태학적 상상력 / 한국아동문학연구 (21) : 65 ~ 21 kci
  • 15. [단행본] 日本ホリスティック敎育硏究會 / 1999 / 홀리스틱교육의 이해 / 책사랑
  • 16. [단행본] Capra, F. / 1985 / 새로운 과학과 문명의 전환 / 범양출판부
  • 17. [단행본] Hösle, V. / 1994 / 환경위기를 낳은 정신적 뿌리, In 환경휴머니즘과 새로운 사회 / 소나무
  • 18. [단행본] Miller, J. P. / 2000 / 홀리스틱 교육과정 / 책사랑
  • 19. [단행본] Bowers, C. A. / 1995 / Educating for an Ecologically Sustainable Culture: Rethinking Moral Education, Creativity, Intelligence, and Other Modern Orthodoxies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 20. [단행본] Brown L. M. / 1995 / Listening to Different Voice, In Moral Development: An Introduction / Allyn and Bacon
  • 21. [단행본] Cajete, G. / 1999 / Reclaiming Biophilia: Lessons from Indigenous Peoples, In Ecological Education in Action: on Weaving Education, Culture, and Environment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 22. [학술지] Heshusius, L. / 1994 / Freeing Ourselves from Objectivity: Managing Subjectivity or Turning toward a Participatory Mode of Consciousness? / Educational Researcher / 23 (3) : 15 ~ 3
  • 23. [단행본] Laura, R. S. / 1999 / Empathetic Education: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Educational Knowledge / Falmer Press
  • 24. [단행본] Macy, J. / 1990 / The Ecological Self: Postmodern Ground for Right Action, In Sacred Interconnections: Postmodern Spirituality, Political Economy, and Art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 35 ~
  • 25. [학술지] McHardy, R. J. / 2009 / Ecological Stewardship and Gifted Children / gifted children today / 32 (4) : 16 ~ 4
  • 26. [단행본] Naess, A. / 1989 / Ecology, Community and Lifestyle: Outline of an Ecosophy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27. [단행본] Naess, A. / 1993 / The Deep Ecological Movement: Some Philosophical Aspects., In Environmental Philosophy: from animal rights to radical ecology / Prentice-Hall, Inc : 193 ~
  • 28. [단행본] Naess, A. / 1993 / Identification as a Source of Deep Ecological Attitudes, In Radical Environmentalism: Philosophy and Tactics /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 256 ~
  • 29. [학술지] Naess, A. / 1993 / Beautiful Action: Its Function in the Ecological Crisis / Environmental Values / 2 (1) : 67 ~ 1
  • 30. [단행본] Naess, A. / 1995 / Self-realization: an Ecological Approach to Being in the World, In Deep Ecology for the 21st Century / Shambhala Publications : 225 ~
  • 31. [단행본] Noddings, N. / 1984 / Caring: A Feminie Approach to Ethics and Moral Education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32. [단행본] Orr, D. W. / 1994 / Earth in Mind: on Education, Environment and the Human Prospect / Island Press : 131 ~
  • 33. [단행본] Thomashow, M. / 1995 / Ecological Identity: Becoming a Reflective Environmentalist / The MIT Press
  • 34. [단행본] Wilson, E. O. / 1984 / Bilophilia / Harvard University Press
  • 35. [단행본] 吉田 誠 / 2011 / 體驗學習에 의한 道德指導의 充實, In 道 德敎育論 / 培風館 : 1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