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교육의 본연이자 궁극적인 목적은 사람다움을 실현하도록 이끌어 주는 일이다. 이와 같이 사람다움으로 나아가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하는 작업이 바로 인성 교육이며, 이러한 인성 교육의 본연에 대한 검토와 실행을 위한 큰 틀 및 세부 방안을 마련하여 일관되게 그리고 지속적으로 강조해 나가야만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 교육은 도구적·단편적 지식교육에 치중한 나머지 인성 함양 교육을 매우 소홀하게 다루어 왔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 방안에는 개념적인 명료성과 방법상의 체계성 및 현실 적합성을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성의 핵심 요소는 무엇이고 어떻게 형성되는지, 인성 교육의 지향점은 무엇이고 교과와 비교과 활동을 통해 인성 교육을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해야 하는 것은 오늘날 우리에게 주어진 진정한 교육 과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철학적 관점과 심리학적 관점, 그리고 다양한 교육적 관점(가치·도덕·시민성·인격 교육과의 관계)을 토대로 인성 교육의 개념을 규정한 후, 도덕과와 일반 교과를 포함한 정규 교과 교육과정을 통해 인성 교육을 체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키워드

인성 교육, 도덕과 교육, 도덕교육, 가치 교육, 시민성 교육

참고문헌(38)open

  1. [단행본] Blasi, A. / 2009 / The moral functioning of mature adults and the possibility of fair moral reasoning. in: Personality, identity, and character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단행본] Flanagan, O. / 2009 / Moral science? Still metaphysical after all these years. in: Personality, identity, and character /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단행본] Kupperman, J. / 1991 / Character / Oxford University Press

  4. [단행본] McAdams, D. P. / 2001 / The Person: An integrated introduction to personality psychology / Harcourt

  5. [단행본] McAdams, D. P. / 2009 / The moral personality. in: Personality, identity, and character /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단행본] Narvaez, D. / 2009 / Triune ethics and moral personality. in: Personality, identity, and character /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단행본] Taylor, M. / 2006 / The development of values through the school curriculum. in: Values education for citizens in the new century / The Chinese University Press

  8. [단행본] Walker, L. / 2009 / Moral personality exemplified. in: Personality, identity, and character /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학술지] Walker, L. / 2007 / Moral personality of Brave and caring exemplars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3 (5)

  10. [단행본] 강선보 / 2008 / 인성교육 / 양서원

  11. [보고서] 교육개혁위원회 / 1995 /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는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 제2차 대통령 보고서

  12. [단행본] 교육과학기술부 / 2009 /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Ⅱ-국어, 도덕, 사회 / 교육과학기술부

  13. [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 2010 /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창의·인성교육 기본방안

  14. [단행본] 교육과학기술부 / 2009 /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 교육과학기술부

  15. [단행본] 김기민 / 1988 / 도덕교육의 세가지 방식. in: 삶의 원리와 도덕교육 / 제주도교육위원회

  16. [학술지] 김명진 / 2007 / 도덕과 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방법 연구 / 윤리교육연구 (14) : 181 ~ 206

  17. [학술지] 김성기 / 2004 / 인성교육 특성화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전통유학 교육관의 반성적 고찰 / 동양철학연구 39 : 415 ~ 454

  18. [학술지] 김태훈 / 1997 / 도덕과에서의 인성교육 방안 연구 / 도덕윤리과교육 (8)

  19. [학술지] 문용린 / 2010 / 이제는 창의 인성 교육이다 / 과학창의

  20. [학술대회] 문용린 / 1997 / 인성 및 시민교육: 교육내용과 방법적 원리의 재개발 / 한국교육개발원 창립 25주년 학술대회자료집

  21. [학술지] 박균섭 / 2008 / 학교 인성교육론 비판 / 교육철학 (35) : 35 ~ 69

  22. [단행본] 박병기 / 2009 / 동양 도덕교육론의 현대적 해석 / 인간사랑

  23. [단행본] 박찬구 / 2006 / 개념과 주제로 본 우리들의 윤리학 / 서광사

  24. [단행본] 박철홍 / 2002 / 도덕을 중심에 두는 학교교육. in: 도덕성 회복과 교육 / 교육과학사

  25. [학술지] 손봉호 / 1995 / 인성교육: 필요, 성격, 방법 / 철학과 현실 (겨울)

  26. [단행본] 신창호 / 2010 / 함양과 체찰 / 미다스북스

  27. [학술지] 윤영돈 / 2009 / 효과적인 학교 인성교육의 방향 : 범교과 학습과 도덕과 학습의 관계를 중심으로 / 도덕윤리과교육 (29) : 127 ~ 150

  28. [보고서] 윤현진 / 2009 / 도덕과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

  29. [보고서] 이계학 / 1998 / 덕성함양의 전통적 방법론

  30. [단행본] 이돈희 / 2002 / 도덕성의 회복을 위하여. in: 도덕성의 회복과 교육 / 교육과학사

  31. [단행본] 이홍우 / 2008 / 지식의 구조와 교과 / 교육과학사

  32. [학술대회] 정세구 / 2003 /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방식의 개선방안 탐색 /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한국교육과정학회 공동주최 발표 자료

  33. [학술지] 정창우 / 2008 / 도덕과 교육에서 시민교육 영역의 교육내용과 지도 방법 / 도덕윤리과교육 (26) : 1 ~ 28

  34. [단행본] 정창우 / 2006 / 도덕교육의 새로운 해법 / 교육과학사

  35. [학술지] 조난심 / 1995 / 인성교육과 도덕교과서 / 철학과 현실 (겨울)

  36. [학술지] 조일수 / 2009 / 윤리와 정치의 관계에 대한 연구: 도덕․윤리과 교육에서 다루는 정치 관련 교육에의 함의를 중심으로 / 윤리교육연구 (18) : 47 ~ 67

  37. [단행본] 추병완 / 2000 / 열린 도덕과 교육론 / 도서출판 하우

  38. [단행본] 한국교육학회 / 2001 / 인성교육 / 문음사